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jecting-Neglecting Style of Parenting

어머니의 우울과 거부-방임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

  • 박남심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박보경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
  • 김정은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변유정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7.06.15
  • Accepted : 2017.09.29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of mothers with 3 to 5 year-old children and rejecting-neglecting parenting style. Methods: Three hundred and twenty-eight mothers answered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To analyze the data,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mother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rejecting-neglecting parenting sty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respectively. Specifically, mothers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were more addicted to smartphones and exhibited more rejecting-neglecting style of parenting. Also, mothers who were more obsessed with smartphones showed more rejecting-neglecting parenting style. Second, this study fou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jecting-neglecting parenting styl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mothers'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use had an influence on their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ress the need of various interventions for mothers to decrease their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use.

Keywords

References

  1. 권호인, 권정혜 (2012). 우울증의 인지적 취약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975-1001.
  2. 김경남 (2009).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인터넷 쇼핑 중독 성향과의 관계: 24개월 이하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최지희, 박금령, 김소운 등 (2014). 한국여성의 우울증과 만성통증에 대한 심층분석(정책보고서 2014-53). 청주: 질병관리본부.
  4. 김명숙, 오현숙 (2015).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13-530.
  5. 김병년 (2013).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39, 49-81.
  6. 김영임 (201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율리 (2007). 임신 및 산후 우울증. 정신신체의학, 15(1), 22-28.
  8. 김정은 (2016).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지혜 (2013).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양행동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혜미 (2014). 한국 성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인지취약모델과 상처모델 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5(2), 233-261.
  11. 도현심, 신나나, 박보경, 김민정, 김혜인 (2014).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5(4), 179-198. doi:10.5723/kjcs.2014.35.4.179
  12. 박영희 (2017). 대학생의 우울, 자존감,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간호학회, 23(1), 111-116. doi:10.4094/chnr.2017.23.1.111
  13.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진아, 이경숙, 전연진 (2014).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정신 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1), 55-70.
  15. 변영순, 정은주 (1999). 성격유형과 우울정도에 따른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Health & Nursing, 11(1), 43-55.
  16. 서혜성, 김연하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결정요인: 사회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5), 1-14. doi:10.5723/kjcs.2014.35.5.1
  17. 신승철, 김만권, 윤관수, 김진학, 이명선, 문수재 등 (1991). 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의 사용: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신경정신의학, 30(4), 752-767.
  18. 안주아 (2016).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중독. 언론과학연구, 16(4), 128-162. doi:1.14696/jcs.2016.12.16.4.128
  19. 양경미 (201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1), 113-123. doi:10/15207/jkcs.2016.7.1.113 https://doi.org/10.15207/JKCS.2016.7.1.113
  20. 윤혜미, 최문정 (2006). 어머니 우울과 부부갈등이 방임을 매개로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7, 21-44.
  21. 이용란 (2013). 어머니 우울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정림 (2013. 11). 영유아의 스마트폰 노출 실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육아정책연구소 세미나 자료, 서울.
  23.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2016).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425-443. doi:10.23884/kjcp.2016.05.28.2.425
  24. 이주연, 장성예 (2014).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4(3), 61-79.
  25. 이충경, 박강규, 조맹제, 정은기, 김장규, 김선욱 (200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한국: 보건복지부.
  26. 장여옥 (2015).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109-129. doi:10.14698/jkcce.2015.11.2.109
  27. 정그린 (2016). 영유아기 자녀 어머니가 인식하는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미경, 김영희 (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8), 123-137.
  29. 조현주, 전태연, 채정호, 우영섭, 최정은, 기백석 등 (2007). 우울장애의 불안, 신체화, 분노 증상과 정서조절방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63-679.
  30. 최미경, 이영희 (2010).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지지 및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건강간호학회지, 19(2), 196-204.
  31. 최희정, 유장학 (2016). 여대생의 우울 및 스마트폰 의존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7(1), 43-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1.43
  32. 현은자, 박은미, 조메리명희,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181-205.
  3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6.1173
  34. Bowlby, J. (1988).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London: Routledge.
  35. Griffiths, M.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4), 191-197. doi:10.1080/14659890500114359
  36.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5), 561-592. doi:10.1016/s0272-7358(98)00100-7
  37. McCue Horowitz, S., Briggs-Gowan, M., Storfer-Isser, A., & Carter, A. S. (2007). Prevalence, correlates, and persistence of maternal depression. Journal of Women's Health, 16(5), 678-691. doi:10.1089/jwh.2006.0185
  38. Misri, S., Kendrick, K., Oberlander, T. F., Norris, S., Tomfohr, L., Zhang, H., et al. (2010).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fect postpartum parenting strees: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4), 222-228. https://doi.org/10.1177/070674371005500405
  39.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40. Shin, D. W., & Stein, M. A. (2008). Maternal depression predicts maternal use of corporal punishment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Yonsei Medical Journal, 49(4), 573-580. doi:10.3349/ymj.2008.49.4.573
  41. Toda, M., Nishio, N., & Takeshita, T. (2015). Predictive factors for smartphone dependence: Relationship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ronotype, and depressive state of university students. Ope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5(12), 456-462. doi:10.4236/ojpm.2015.512051
  42. Tsang, A., Von Korff, M., Lee, S., Alonso, J., Karam, E., Angermeyer, M. C., et al. (2008). Common chronic pain condition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Gender and age differences and comorbidity with depression-anxiety disorders. The Journal of Pain, 9(10), 883-891. doi:10.1016/j.jpain.2008.05.005
  43. Wenar, C., & Kerig, P. (2011).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Fifth edition), 발달정신병리학 5판: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이춘재,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박혜원, 정유경, 정윤경 옮김). 서울: 박학사(원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