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론을 통해 살펴본 역대정부의 대북정책 연구

The Study on the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through Game Theory

  • 류호국 (경남정보대학교 전문사관과) ;
  • 임계환 (경남정보대학교 전문사관과)
  • 투고 : 2017.03.04
  • 심사 : 2017.03.31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지속적인 핵 개발과 관련하여 역대정부에서는 지금까지 이에 대응하는 뚜렷 대안없이 일방적으로 끌려가는 정책에 일관해 왔다는점에 초점을 맞춰 과거 진보정부(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와 보수정부(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가 추진해온 대북정책에 대해 게임이론을 통해 비교 연구함으로써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향후 바람직한 대북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도는 역대정부의 대북정책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지속 가능한 남북관계와 통일한국을 달성할 수 있는 대북정책의 대안을 모색하는데도 일조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ast government has been consistent with the one-sided withdrawal policy without any clear countermeasures in relation to the ongoing nuclear development of the DP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North Korea policy in the future by comparing and researching the North Korea policy pursued by Lee Myung - bak government / Park-Geun-Hye government. Such an attempt will provide a basis for evaluating the previous government'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and will also help to find alternatives to sustainable inter-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 policy to achieve a unified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우, "한국의 대북정책 분석: 혼선의 원인과 새로운 모델의 탐색", 국제지역연구, 제17권 제2호, 2013, p123.
  2. 정규섭, "6.15선언과 10.4선언에 대한 평가와 과제", 북한학보, 제37권 제2호(2012), p12.
  3. 박상현 외, "선호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남북관계발전의 통사적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제4호(2009), p133.
  4. 김창수, "한반도 정전체제의 진상과 허상",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화정평화재단 공동 국제심포지엄, (2013. 6), p28.
  5. 박상현 외, "선호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남북관계발전의 통사적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제4호(2009), p137.
  6. 박상현, "국제협력의 관점에서 본 개성공단 사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한국평화연구학회보, 제10집 제3호(2009), p48.
  7. 문정인외,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평가와 전망", 통일연구, 제13권 제2호(2009년), p.24.
  8. 백동환 외, "이란의 핵 협상 과정 분석과 정책적 함의", 융합보안 논문집, 제15권 제1호 제1권, 2015, p40.
  9. 김재철, "한반도평화통일기반구축을위한군비통제추진 방향", 융합보안 논문집, 제15권 제1호 제1권, 2015, p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