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xhibition's Image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전시회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Si-Joong (The Graduate School of C-MBA, Woosong University)
  • 김시중 (우송대학교 C-MBA 대학원)
  • Received : 2017.09.22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xhibition's image toward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us, the survey is carried out to 489 visitors from Daejeon International Wine Fair and the result shows as following. First, after the analysis of local exhibition's image, 6 factors(wonderfulness tendency, experience tendency, purchase tendency, entertainment tendency, and utility tendency) come out. Second, the impact on image of exhibition's image from 6factors is sequentially followed as wonderfulness tendency, experience tendency, purchase tendency, entertainment tendency, and utility tendency, however the local tendency have no impact on. Third,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visit and exhibition image- as a following order- wonderfulness, purchase tendency, experiment tendency, entertainment tendency and local tendency are sequentially have an impact. For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influence between elements of the exhibition's image factor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shows that wonderfulness, experience tendency, entertainment tendency, and purchase tendency elements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however, local tendency and utility tendency do not have an impact. Fifth,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h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behavior(re-visit and recommendation).

본 연구는 전시회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재방문 및 추천), 그리고 방문객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함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대전국제와인페어 방문객 4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전시회 이미지 분석결과 6개 요인(신기성, 체험성, 구매성, 유희성 및 이용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전시회 이미지 요인에서 신기성, 체험성, 구매성, 유희성 및 이용성 요인의 순으로 방문객 만족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토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방문과 전시회 이미지 요인 간 영향 관계에서 신기성, 구매성, 체험성, 유희성, 향토성 및 이용성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추천의도와 전시회 이미지 요인간 영향력 검증 결과, 신기성, 체험성, 유희성 및 구매성 요인이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향토성 및 이용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객 만족은 행동의도(재방문 및 추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우, 1998,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경희, 2010, "축제 참가자의 추구편익에 따른 축제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간의 관계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11(1), pp.237-263.
  3. 김근우, 2004, "지역축제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도 소싸움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7(4), pp.203-218.
  4. 김문규.양리나.김시중, 2015, "지역축제 매력성이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49(2), pp.147-159.
  5. 김봉석, 2009, "IPA 분석을 통한 해외참가업체의 국내 전시회 참가목적과 선택속성에 관란 연구," 호텔관광연구 11(2), pp.146-156.
  6. 김시중, 2012, "축제 사후이미지가 관광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1), pp. 63-76.
  7. 김시중.정경숙, 2008,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4), pp.631-646.
  8. 김영기.이정록, 2015,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평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3), pp.281-295.
  9. 김효중.김시중, 2012, "계룡산 국립공원 방문객의 관광 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목적을 조절효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2), pp.314-330.
  10. 박준범, 2011, "지역축제 참가동기 집단 유형에 따른 만족 및 행동의도 영향관계 연구," 관광경영연구 15(1), pp.43-64.
  11. 서철현, 2001, "지역축제에 대한 사후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16(2), pp.7-23.
  12. 양승용, 2008, "관광객 이미지에 근거한 제주 지역 관광객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녈 22(4), pp.217-230.
  13. 이용근, 2002, "문화관광축제 방문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여행학연구 5(1), pp.5-21.
  14. 이용기.이덕우.이충기, 2003, "지각된 환경단서가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수안보 온천축제의 경우," 관광학연구 27(1), pp.85-104.
  15. 이장주.조현상, 2000, "지역축제의 이미지 특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관광학연구 24(1), pp.205-224.
  16. 이정희.오수진, 2008, "전시산업 육성을 위한 공공부문의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과학대학논문집 33, pp.1-7.
  17. 임택, 2009, 기업의 전시회 참가가치와 선택속성이 전시 참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창현.김진휘.백진휘.안병민.라윤형, 2015, "지역 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 (4), pp.492-504.
  19. 최혜수, 2009, "축제 참가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축제 참가동기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4(3), pp.211-237.
  20. Assael, H., 1998,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6th ed.),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21. Crompton, J. L., 1979, "Motivation for Pleasure Vac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6(4), pp.96-98.
  22. Crompton, J. L., 1990, "An assessment of the image of Mexico as a vacation destination and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location upon that image," Journal of Travel Research 28(4), pp.18-23.
  23. Fridgen, J. D., 1987, "Use of cognitive maps to determine perceived tourism region," Leisure Sciences 9(11), pp. 101-117.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50
  24. Kotler, P., Haider, D. H. and Rein. I., 1993,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The Free Press, New York.
  25. Milman, A. and Pizam, A., 1995, "The role of awareness and familiarity with a destination: The central florida case," Journal of Travel Research 33(3), pp.21-27. https://doi.org/10.1177/0047287595033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