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motion Process and Governance for Establishment of the Union of Kansai Governments: A Case of the Kansai Economic Federation

일본 간사이광역연합 설립 논의과정과 추진체계: 간사이경제연합회를 사례로

  • Lee, Jeong-Rock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 Suk (Department of Social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Khe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9.19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Union of Kansai Governments of Japan is regarded as a bench marking for the successful cooperation, alliance, and cooperation of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The Union of Kansai Governments was a realization several active plan of the Kansai Economic Fed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of the Kansai Economic Federation in the process for establishment of the Union of Kansai Governments, searching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inter-municipal cooperation of Gwangyand Bay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 the activities and roles of the Kansai Economic Federation in rel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umber of promo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ance systems. We played special attention to the three important factors carried out by the Kansai Economic Federation, that is, the contineous activities, the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and establishment of various promotion organizations and effective governance systems. We suggest, in conclusion, that these three factors would also have very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scussion of inter-municipal cooperation among three cities,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일본 간사이(?西)광역연합은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의 광역적 연계 제휴 협력의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간사이광역연합 설립은 간사이경제연합회의 지속적인 활동과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광양만권 도시연합 논의를 확산시키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기 위해 간사이경제연합회 사례로 간사이 광역연휴협의회 간사이광역기구 등을 포함한 다수 추진조직 설립과 거버넌스 구축 등과 관련한 간사이경제연합회의 활동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간사이경제연합회 활동을 3개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간사이경제연합회가 보여준 분권개혁과 광역행정을 주장하는 활동의 지속적인 전개, 오랫동안 축적된 연구성과, 다양한 추진조직설립과 효율적인 거버넌스 구축 등은 광양만권 도시연합을 위한 논의 확산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혁, 2009, "네트워크도시의 이론적 검토와 동남권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3), pp.277-290.
  2. 김병기.류건우.박성호, 2014, "글로칼시대의 해외지역 경제발전 연구: 일본 간사이 광역경제권 사례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16(3), pp.275-304.
  3.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4. 안영진, 2015,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I: 역사적 전개와 주요 계획프로그램,"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3), pp.381-394.
  5. 여수상공회의소.순천광양상공회의소, 2005, 광양만권의 21세기 비전과 도시통합의 타당성 연구, 2005 연구보고서.
  6. 여수상공회의소.순천상공회의소.광양상공회의소, 2016, 광양만권 도시연합 논의 확산 및 추진전략 연구.
  7. 이정록, 2006, 광양만권 잠재력과 비전, 서울: 한울 아카데미.
  8. 이정록, 2014,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과 동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9(6), pp. 849-864.
  9. 이정록, 2016a, "여수.순천.광양의 도시연합 실험," 조선일보(2016년 2월 11일자).
  10. 이정록, 2016b, "순천시 창조도시 관련정책의 추진과정, 거버넌스, 성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 660-676.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60
  11. 이정록.장문현, 2017, "광양만권 도시연합 인식과 평가분석: 전문가 집단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pp.257-268.
  12. 関西経済同友会, 2017, 地方分権改革の突破口を目指して: 関西広域連合の更なる機能強化を.
  13. 関西經濟聯合会, 2003a, 地方の自立と自己責任を確立する関西モデルの提案, 經濟資料 03-01.
  14. 関西經濟聯合会, 2003b, 第41回関西財界セミナー合意事項.
  15. 関西經濟聯合会, 2007, 經濟人 9月號.
  16. 関西經濟聯合会, 2008, 分権改革と道州制に関する基本的な考え方, 意 08-05.
  17. 関西分権改革研究会, 2005, 分権改革における関西のあり方, 関西分権改革研究会報告書.
  18. 関西分権改革推進委員会, 2006, 関西分権改革推進委員會報告書: 関西広域連合のあり方に関する提案.
  19. 湯瀬敏之, 2010, "地域の力を結集し. 個性とパワーあふれる関西へ!: 関西広域連合がひらく関西の時代(関西広域連合)," 月刊自治フォーラム 615, pp.30-38.
  20. 中塚則男, 2011, "関西広域連合の經緯と展望," ノモス (Nomos) 29, pp.107-122.
  21. 森川 洋, 2013, "日本における市町村合併と広域行政," 經濟地理學年報 58(3), pp.219-226.
  22. 吉本誠, 2011, "関西広域連合について," 法と政治 62(2), pp.984-1038.
  23. 村上芳夫, 2011, "関西広域連合の成立と大都市圏行政," 都市問題 102(7), pp.92-106.
  24. 青木勝一, 2015, "広域的都市連携による地域政策: 関西広域連合におけるガバナンス.メカニズムを中心に," 地方自治研究 30(1), pp.1-16.
  25. Cho, M., 2011, "What Makes Korea's New Regional Policy Workable?(신지역정책의 작동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pp.486-505.
  26. Goldfeld, K. S. (ed.), 2007, The Economic Geography of Megaregions, Princeton NJ: Policy Research Institute for the Region.
  27. Harrison, J. and Hoyler, M., 2014, "Governing the new metropolis," Urban Studies 51(11), pp.2249-2266. https://doi.org/10.1177/0042098013500699
  28. Keil, R., 2000, "Governance Restructuring in Los Angeles and Toronto: Amalgamation or Sec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4(4), pp.758-781. https://doi.org/10.1111/1468-2427.00277
  29. http://www.kankeiren.or.jp (최종열람일: 2017년 8월 12일).
  30. http://www.kankeiren.or.jp/project/pdf/tihou6-2.pdf (최종열람일: 2017년 8월 5일)
  31. http://www.kankeiren.or.jp/project/pdf/tihou6-3.pdf (최종열람일: 2017년 8월 12일)
  32. http://www.kankeiren.or.jp/project/2009/04/post-11.html. (최종열람일: 2017년 8월 13일)
  33. http://www.kankeiren.or.jp/project/2009/04/post-14.html. (최종열람일: 2017년 8월 13일)
  34. http://www.kouiki-kansai.jp (최종열람일: 2017년 8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