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ty Juggling in the North Korea-China trade: A Case Study of Korean Chinese(Chosonjok) in Dandong, China

북중무역에서 정체성 저글링: 중국 단둥 소재 조선족 무역상을 사례로

  • Chung, Su-Yeul (School of Space and Environment Studies (formerly, Department of Geography), Sangmyung University) ;
  • Kim, Minho (School of Space and Environment Studies (formerly, Department of Geography), Sangmyung University) ;
  • Chi, Sang-Hyun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Lee, Su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정수열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공간환경학부(지리학과)) ;
  • 김민호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공간환경학부(지리학과)) ;
  • 지상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이승철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7.09.22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Regarding to Dandong as the gateway city of the Sino-North Korea trade, cultural anthropology characterizes it with a hybridity of four groups with a different combination of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Korean Chinese(Chosonjok), South Koreans, North Koreans and Chinese-North Koreans. And, microeconomics views the enterprises in Dandong area have different sizes and types in the Sino-North Korea cross-border trade depending on their owner's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se researches focuses mainl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alling short in showing how the group members utilize their double identities to maintain and prosper their businesses, coping with various and changing situations.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identity juggling' and applies it to Chosonjok cross-border traders. The results from the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indicate they juggles their Korean ethnic identity and Chinese national identity selectively in terms of their bilinguality of the Korean and Chinese, mobility crossing China,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prospects on the trade revitalization thanks to potential mitigation of tensions in Korea peninsula.

문화인류학 관점에서 단둥은 민족 정체성 혹은 국민 정체성이 상이한 조선족, 한국사람, 북한사람, 북한화교 등 네 집단이 공존함으로써 국경의 의미가 재구성되는 예외적인 공간으로 정의되었다. 또한 경제학 일각에서도 단둥소재 기업들의 대북 무역과 투자활동을 분석함에 있어 기업주의 민족-국민 정체성 조합을 기준으로 한족, 조선족, 북한화교, 기타 기업으로 분류하고 사업 규모와 활동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민족-국민 정체성 조합이 상이한 집단을 구분하고 집단별 활동에 있어 차이만을 주목하여 개별 집단이 어떻게 자신의 이중 정체성을 상황과 현안에 따라 활용하는지 밝히지 못했다. 본 연구는 조선족 대북무역상을 대상으로 타집단과 상이한 자신의 이중 정체성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정체성 저글링(identity juggling)'의 구체적 양태를 살펴보았다.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조선족 무역상이 대북무역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비록 한국에 의해 정의되었지만 한민족으로서의 민족 정체성과 중국 공민으로서의 국민 정체성을 한국과 북한을 왕래하는 데 활용하면서 이동성을 높이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향후 한반도 긴장 완화와 북한의 개혁개방 시 조선족 자신의 역할에 대한 기대에서도 정체성 저글링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원, 2012, 중.조 국경 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강주원, 2013a, "삼국(북한, 중국, 한국) 무역의 중심지로 서의 중국 단동: 중.조와 남.북 무역의 교차점의 역할과 현황에 대한 분석," 현대중국연구 14(2), pp.282-318.
  3. 강주원, 2013b, "한국어를 공유하는 네 집단의 국민.민족 정체성의 지형: 중.조 국경 도시 단동의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통일문제연구 59, pp.397-443.
  4. 강주원, 2013c, 나는 오늘도 국경을 만들고 허문다: 국경 도시 단둥을 읽는 문화인류학 가이드, 아케이드 프로젝트 003. 글항아리.
  5. 강주원, 2016, 압록강은 다르게 흐른다, 눌민.
  6. 강진웅, 2012, "디아스포라와 현대 연변조선족의 상상된 공동체: 종족의 사회적 구성과 재영토화," 한국사회학 46(4), pp.96-136.
  7. 김병로.신상진.장경섭.정은미.조은희, 2008, 북한-중국 간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형성과 구조, 서울대통일평화연구소 통일학연구 3, 서울대학교 통일 평화연구소.
  8. 김병연, 2016, "중국의 대북무역과 투자: 단둥시 현지 기업조사를 중심으로," KDI 북한경제리뷰, 2016년 3월호, pp.3-15.
  9. 김병연.정승호, 2015, 중국의 대북 무역과 투자: 단둥시 현지 기업 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 27,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0. 박소영, 2015, "외국인 담론 극복하기: 식모와 조선족 입주 가사노동자의 계급적 위치성과 이중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50(2), pp.185-201.
  11. 박우, 2017, "'초국적 상경'과 서울의 조선족," 서우석 외 엮음, 서울사회학: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13장, pp.329-346.
  12. 박경환, 2014, "글로벌 시대 인문지리학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의 적용 가능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pp.57-78.
  13. 박종철.정은이, 2014a, "국경도시 단동과 북한 사이의 교류와 인프라에 대한 분석," 한국동북아논총 72, pp.131-152.
  14. 박종철.정은이, 2014b, "국경도시 단동의 건설과 발전에 관한 연구: 한반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 pp.5-32.
  15. 이종운, 2015, "중국 경제력 신장이 북한 및 접경국가들에 미친 영향의 비교분석," 동북아경제연구 27(4), pp.261-300.
  16. 이종운.홍이경, 2013, 북.중 접경지역 경제교류 실태와 거래관행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7. 이현욱.이영민.신지연.이화용, 2014, "초국가적 이주와 기원지 로컬리티 변화에 대한 연구: 중국 왕칭쎈 (汪淸縣) 펑린춘(風林村)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pp.29-42.
  18. 이현재, 2012, "여성의 이주, 다층적 스케일의 장소 열기 그리고 정체성 저글링," 여성문학연구 22, pp.7-36.
  19. 임채완.선봉규.박경환.전형권.이장섭.허성태 저, 2013,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로트와 기억, 전남대학교 세계한인문화연구 5차 총서 01. 북코리아.
  20. 정수일, 2010,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 창비.
  21. 정은이, 2013, "접경지역 단동에 대한 현지조사," 한국개발연구원(KDI) 북한경제 리뷰.
  22. 정은이.박종철, 2014, "중국의 대북한 무역에 관한 연구: 무역 관행과 행태 및 행위자의 변화추세에 따른 역동성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6(2), pp.293-341.
  23. 정현주, 2012, "이주여성들의 역설적 공간: 억압과 저항의 매개체로서 공간성을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에 접목시키기," 젠더와 문화 5(1), pp.105-144.
  24. 정현주, 2015,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지 50(3), pp.289-303.
  25. 최재헌.김숙진, 2016,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1(1), pp.167-184.
  26. 한지은, 2002, "중국 단동시(丹東市)의 기능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46, pp.20-45.
  27. 허명철, 2011, "조선족공동체와 정체의식," 통일인문학논총 52, pp.307-328.
  28. Haggard, S. and Noland, M., 2012, "Network, Trust and Trade: The Micro-economics of China-North Korea Integration," Peterson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WP 12-8.
  29. Haggard, S., Lee, J. and Noland, M., 2011, "Integration in the Absence of Institutions: China-North Korea Cross-Border Exchange," Peterson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WP 11-13.
  30. Lee, Jong-Woon and Gray, Kevin, 2016, "Neo-Colonialism in South-South Relations?: The Case of China and North Korea," Development and Change 47(2), pp. 293-316. https://doi.org/10.1111/dech.12223
  31. Lee, Jong-Woon and Gray, Kevin, 2017, "Cause for Optimism? Financial Sanctions and the Rise of the Sino-North Korean Border Econom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24(3), pp.424-453. https://doi.org/10.1080/09692290.2017.1301977
  32. Lee, Jong-Woon and Hong, Yi Kyung, 2015, "Understanding China's Economic Engagement with North Korea: Realities and Problems," Pacific Focus 2, pp.173-199.
  33. Nguyen, Trinh Minh Anh, Kim, Doo-Chul and Ubukata, Fumikazu, 2015, "Livelihood Strategies of Ethnic Minority in the Borderlands : Case Study of the Bru-Van Kieu in Northern Central Vietnam,"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3), pp.296-318.
  34. Zhu, Shengjun and Pickles, John, 2014, "Bring In, Go Up, Go West, Go Out: Upgrading, Regionalisation and Delocalisation in China's Apparel Production Network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44(1), pp.36-63. https://doi.org/10.1080/00472336.2013.801166

Cited by

  1. DMSP-OLS 야간영상자료를 이용한 접경지역의 경제성장과 시가지 면적의 시계열 변화 패턴 추정: 중국 지린성을 사례로 vol.22, pp.4, 2017, https://doi.org/10.23841/egsk.2019.22.4.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