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he Use of Plan-Sequence in Digital Films

디지털영화의 플랑세캉스 사용에 관하여

  • Received : 2017.04.14
  • Accepted : 2017.06.20
  • Published : 2017.07.25

Abstract

As the field of film aesthetics expands, the concept of classical the mise-en-scene expands too its scop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mise-en-scene through spatial connections. The primary goals of this study are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shot,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ene and the sequence, and the aesthetic dimension to the plan-sequence. In modern cinema theory, the elements of mise-en-scene are more emphasized in terms of efficiency, but this study is concerned that the classical aesthetic system is still important. To this end, we examine the concept of plan-sequence, which was called the best technique of past visual realism aesthetics, is utilized in digital cinema. Finding significance for the modern use of plan-sequences is a secondary goal of this paper and we expect it to be a stepping stone to search for the aesthetics of digital cinema. The plan-sequenc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can be evaluated i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vent for the movie director. In the real world where the film itself is used commercially, digital film will have a conceptual tool that can utilize allegorics of 'geopolitical unconsciousness' through plan-sequences.

영화미학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고전적 연출의 미장센 개념 또한 그 영역을 확장하게 되었다. 본고는 영화 미장센의 개념을 공간적인 연관성을 통해 들여다보면서, 이를 프레임과 쇼트의 차원, 신과 시퀀스의 연속성 개념, 그리고 미학적 차원에서의 플랑세캉스 개념에 이르기까지 세부적 연관성을 통해 들여다보려 한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영화에서 플랑세캉스 사용에 관한 현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현대영화에 이르러 미장센의 요소는 효율적인 측면에서 더 강조되는 측면이 있지만, 본고는 여전히 고전주의적 미학 체계가 여전히 중요하다는 점을 이르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리얼리즘 미학의 최고 테크닉으로 불렸던 플랑세캉스(plan-séquence) 개념이 현대의 디지털영화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핀다. 다양한 미장센의 영역 중에서도 특히 플랑세캉스의 '길게 찍기(long take)'는 사건을 준비하고 응용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사실주의의 도구로 쓰인다. 영화 자체가 상업적으로 활용되는 현실의 영역에서, 디지털영화가 플랑세캉스 개념을 통해 '지정학적 무의식'의 알레고리를 활용할 수 있는 개념적 도구임을 본고는 말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플랑세캉스가 이루고자 하는 거시적 목표가 '시각적 매개 변수'가 아닌, '지속시간'과 관련한 특정 의도로 보는 편이 더 적합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때 지속시간 개념이 크로노스(Chronos)가 아닌, 카이로스(kairos)로서의 '주관적이고 의식적인 시간'이라는 점도 본 연구 과정에서 드러나는 성과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