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reness Activation of Dance Copyrights and Research of Effectiveness Plans

무용의 저작권 인식 활성화와 실효성 방안 연구

  • Published : 2017.01.25

Abstract

Dance, as an art which expresses thoughts and emotions by movement human, is included in work that its copyright has to be protected, choreographers who are creators and dancers who are performing can exercise their rights included in copyright laws. However, artists who work in the dancing scene have lack of awareness about copyrights and the application level is lo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about dance copyright and to discuss activation plans and effectiveness plans for dance copyrights. The main point is to check into the level of awareness for dance copyrights with choreographers, dancers a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who are in charge of the art of dancing, to present issu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dance copyrights protection plans by analyzing interviews-in-depth and to prepare the dance copyrights protection plans which are concretely realistic. For the research methods, first, I looked into ideas and contents about copyrights through a document research and then, wanted to prepare theoretical background by reviewing actual cases of performing art copyrights related to dance. Next, I carried out surveys about awareness of copyrights with students majoring in dance, choreographers and dancers then carried out analysis of actual proof. Also, I chose three famous dancers who are actively performing in the current dancing scene and did interviews-in-depth about dance copyrights then carried out a recording analysis. I tried to complement the analysis by discussing deeper which I couldn't deal with in the previous surveys and to contemplate awareness activation of dance copyrights and pla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evel of the awareness about dance copyrights through age, major, education and career was very low. The level of awareness was almost same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 10 years ago. 'Music', which can be an element of copyright issue in dance, was the highest in rate, and dance was recognized as an art which is combined with various elements as a combination work. The way of protection for works of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only used data preservation and contracts and didn't register copyrights or record in dace notation. Majority of responders answered that they couldn't have any education about copyrights while they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copyrights. The analysis of interviews-in-depth was also matched to the result of the previous surveys and a deeper discussion about the status of dance copyrights and issues was carried out. The plans of effectiveness for dance copyrights through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an advanced education is necessary above all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copyrights in dancing scene. Long-term education like study curriculums and short-term education like special courses and seminars should be combined, and education about copyrights for dance groups, choreographers, dancers a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should keep on going. Second, revision of performing art works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dance copyrights, and establishing a dance copyright association to manage copyrights systematically and training dance copyright experts are necessary as well. Third, as the way of copyright protection for choreographers and dancers, an establishment for relation gain and loss about copyrights is necessary when creating dance works and performing, and registration of dance works should be activated. Also, the dancing scene should sign contracts for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and this contract culture should be activated, and it should systematically preserve and manage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records through basic ways. Hereby, it is considered to prepare a foundation to foster the awareness of dance copyrights and activate dance copyrights.

무용은 인간의 움직임으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받아야 하는 저작물성을 가지며, 창작자인 안무가와 실연자인 무용수는 저작권법 안에 해당하는 창작자와 실연자로서의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무용계에 종사하는 예술인들은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정보가 부족하고 그 활용이 지극히 적은 수준이다. 안무가의 경우 자신의 창작물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으며, 법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어려움을 가지기도 하고 적극적으로 대처 하지 못하고 있다. 무용수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데 직접 작품 안에서 실연을 하는 주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연자로서 그에 합당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무용 저작권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무용계에서 저작권의 관심과 이용이 활성화되기 위한 대책 마련과 그 실효성 방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주된 논점은 무용예술의 주제가 되는 안무가와 무용수, 무용 전공 학생들이 저작권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아 무용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구체적으로 실현가능한 무용의 저작권 보호 방안에 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무용 저작권에 대한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무용과 관련한 저작권 사례를 검토하여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2015년 실시된 무용 전공생과 안무가, 무용수를 대상으로 저작권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의 실증 분석 자료와 전문 무용가 3인의 무용 저작권과 관련한 심층면담의 채록분석 자료를 토대로 현 무용 저작권의 인식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무용의 저작권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서 진행한 연구결과에 따른 무용 저작권의 실효성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무용계의 저작권 인식과 활용을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교육이 필요하다. 교과수업과 같은 장기교육과 특강과 세미나 같은 단기교육이 병행되어 이루어져야 하며, 무용단과 안무가, 무용수, 무용 전공생을 위한 저작권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무용 저작권의 활성화를 위해 공연예술 저작물이라는 명칭과 이에 따른 개정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체계적인 저작권 관리를 위하여 무용 저작권 협회의 설립과 무용 저작권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안무가와 무용수를 위한 저작권 보호 방안으로는 먼저 무용 작품 창작과 실연 시 권리이해관계의 확립이 필요하며, 무용 저작물 등록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무용계도 안무·출연 계약서를 작성하고 계약문화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기본적인 방법으로 안무·실연의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해야 한다. 앞으로 무용계에서는 무용의 저작권 보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협의가 필요하다. 이로써 점차 무용의 저작권 인식을 함양시키고 무용 저작권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