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Japan and Korea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e Modern Fashion - Japanese Aesthetic Points of View in Modern Fashion -

패션에 내재된 한·일 미적관점 비교연구(2보) - 일본의 미적 관점을 중심으로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Ju-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
  • 김주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전공)
  • Received : 2017.04.17
  • Accepted : 2017.08.04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Sensitiv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relation to design in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In the West, the concept of aesthetics has long been established but in the East, only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China did the discussion begin. In Korea, where the first scholarly discussion on aesthetics began around 1929, more and more rigorou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are emerging now. Korean beauty consists of the beauty of no-artfulness and the beauty of natural artfulness. Japanese beauty consists of the beauty of half-articulation and the beauty of articulation. While both Korea and Japan base their sense of beauty on nature, Korea emphasizes nature as it is while Japan values artful decorative elements. Especially in modern Korean fashion, the characteristic Korean aesthetics of un-artfulness appears in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such as the movement with natural gathering,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like cotton, the harmonization of black and white, and a simplified silhouette. In Japanese fashion, one can see techniques such as: the beauty of half-articulation expressed through the ambiguity of shapes, colors, and genders or simplicity and paucity using straight lines, the beauty of articulation expressed with bright flower prints and ornaments, accessories of Obi and feathers and the transformed silhouette.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숙, 윤순봉.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한국과 일본 복식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효진. (2010). 한국과 일본 현대패션에 표현된 전통미의식의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영필. (1992). 한국 전통 미술의 미학적 과제. 한국학 연구, 4, 228-231.
  4. 권영필.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서울: 돌베게.
  5. 민주식. (1992). 비교미학의 과제와 방법. 인문연구, 13(2), 181-209.
  6. 박세정. (2005). 일본적 공간 개념의 분석에 의한 실내 공간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사사키겡이치. (2002). 미학사전. 서울: 동문선.
  8. 사사키차가. (2007). 일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일본전통미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7(1). 17-27.
  9. 선승혜. (2007). 일본의 미의식. 미학대계 제1권.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 쓰지노부오. (1994).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서울:시공사.
  11. 야나기쟌 세이자. (1995). 禪과 日本文化. 서울: 불광출판사.
  12. 양취경, 김효진. (2001). 전통 미의식적 관점에서 본 요지 야마모토의 작품세계 연구. 생활문화연구, 15, 1-31.
  13. 윤보연. (2001). 현대패션에 반영된 전통 미의식의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길호. (2008). 현대 일본 실내 디자인의 일상미학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와비-사비의 미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선희. (2008). 현대패션에 표현된 일본 전통 미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3), 15-25.
  16. 조요한. (1999). 한국미의 탐구를 위한 서론. 한국미학예술학회, 9, 5-27.
  17. 채금석. (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반꾸밈 미학. 한국복식학회지, 54(8), 129-146.
  18. 채금석. (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꾸밈 미학. 한국복식학회지, 54(3), 113-127.
  19. 채금석, 김주희. (2016). 현대 패션에 내재된 한.일미적관점 비교연구(제1보): 한국의 미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8(2), 161-175.
  20. 최광진. (2015). 한국의 미학. 경기: 예술문화.
  21. 킴바라세이코. (1978). 동양의 마음과 그림. 서울:새문사.
  22. 토머스 먼로. (2002). 동양미학. 서울: 열화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