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ivations for the Using Emoticon : Exploring the effect of Motivations and Intimacies between Users on the Attitude and Behaviors of Using Emoticon

이모티콘 사용자의 이용 동기에 대하여 이용 동기와 친밀도에 따른 이모티콘 이용 태도와 행태 차이

  • Received : 2016.06.27
  • Accepted : 2017.03.10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e forms of emoticon - a symbolic tool which expresses a person's sentiments and emotions in virtual space - have been diversifying by the growth of the mobile market. In light of this phenomenon, a number of studies about emoticon have been conducting in Korea. Nevertheless, those are limited not only to a certain form of emoticon which is combinations of symbolic characters but to the functional aspect of emoticon. Thu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mage-form emoticon which is the most highly used, and on the user's perspective rather than functional. It is (1)found out the motive of using image-form of emoticon, and (2)explored the attitude and using behaviors toward emoticon based on the motives found. Moreover, this study (3)examined if there is a gender effect and intimacy effect. As a result, the motives of the emoticon-users were to express their emotions, to show their intimacies to the receivers, to manage their images, and to supplement text-based messaging. Two of the motives - expressing emotions and expressing intimacy -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and the frequency of emoticon-use. It is also found that the higher intimacy users feel toward the receivers, the better the attitude they have as well as the more frequent they use emoticon.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of emoticon as a growing communication tool by identifying the motives of using it. And it also contribute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es and intimacy on the attitude and the actual behavior of using emoticon.

이모티콘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정서와 감정 등을 나타내는 상징적 장치로 모바일 시장의 성장과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화 되어왔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모티콘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모티콘 형태와 이모티콘의 기능적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 측면에 집중하여 (1) 현재 가장 보편화된 이미지 형태의 이모티콘 이용 동기에 대해 알아본 뒤 (2) 이용 동기에 따른 이미지형 이모티콘 이용 태도와 행태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기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3) 성별과 친밀도에 따른 이미지형 이모티콘 이용 태도와 행태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모티콘 사용자들의 이용 동기는 크게 감정 표현, 친밀감 표현, 이미지 관리, 문장 보완으로 추출되었다. 이 중 감정 표현과 친밀감 표현 동기가 이모티콘 이용 태도와 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와 대상간의 친밀도가 높은 경우 긍정적인 이모티콘 이용 태도를 갖고, 빈번하게 이모티콘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시장에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성장하고 있는 이모티콘의 사용자 동기를 알아보고, 동기와 대상간의 친밀도가 이용 태도와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OxfordDictionaries. http://www.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english/emoji?q=Emoji March 10. 2016.
  2. 박현주. "1000만 명이 매일 7번 사용" 이모지로 달라진 소통. http://news.jtbc.joins.com/html/454/NB11196454.html 2016. 4. 26.
  3. 김승연. 이모티콘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38. pp. 1-25. 2012.
  4. 안원미, 김종완, 한광희.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 한국HCI학회논문지. 5(1). pp. 11-18. 2010.
  5. Lo, S. K.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unctions of emotic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1(5). pp. 595-597. 2008. https://doi.org/10.1089/cpb.2007.0132
  6. 고재성, 김정연. 인터넷에서 이모티콘의 조형적 특징과 감응효과에 관한고찰. 서울디자인 포럼학회 디자인학연구집. 7(2). pp. 213-222. 2001.
  7. Tossell, C. C., Kortum, P., Shepard, C., Barg-Walkow, L. H., Rahmati, A. and Zhong, L. A longitudinal study of emoticon use in text messaging from smartpho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2). pp. 659-663. 2012. https://doi.org/10.1016/j.chb.2011.11.012
  8. 황하성, 박성복.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9(2). pp. 113-162. 2008.
  9. Derks, D., Fischer, A. H. and Bos, A. E. The role of emo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3). pp. 766-785. 2008. https://doi.org/10.1016/j.chb.2007.04.004
  10.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pp. 87-96. 2014.
  11. Xu, L., Yi, C. and Xu, Y. Emotional expression online: The impact of task,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perception on emoticon usage in instant messenger. PACIS 2007 Proceedings. 79. 2007.
  12. 이대호. 모바일스티커 사용에 1000명 중 52.4%가 호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21708 2016. 3. 20.
  13. 박선우, 박진아, 홍정의.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상: 성별과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82. pp. 95-120. 2015.
  14. 이인숙. 이모티콘(emoticon) 의 감성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 학부. 2004.
  15. Huffaker, D. A. and Calvert, S. L. Gender, identity, and language use in teenage blog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0(2). 2005.
  16. Berg, B. 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5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004.
  17. 김민정, 한동섭. 친밀성에 따른 대인 매체 이용행태 및 심리적 경험과의 관계 연구. 한국언론학보. 50(3). pp. 94-121. 2006.
  18. Lee, E., Lee, J. A., Moon, J. H. and Sung, Y. Pictures speak louder than words: Motivations for using Instagra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9). pp. 552-556. 2015. https://doi.org/10.1089/cyber.2015.0157
  19. 노승관, 위해속.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모티 콘 시각 표현에 대한 연구. 디지털영상학술지. 7(2). pp. 123-147. 2010.
  20. Jang, J. and Dworkin, J. Does social network site use matter for mothers? Implications for bonding and bridging capita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5. pp. 489-495. 2014. https://doi.org/10.1016/j.chb.2014.02.049
  21. Wall, H. J., Kaye, L. K. and Malone, S. A. An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on emoticon usage and implications for judgement accura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2. pp. 70-78. 2016. https://doi.org/10.1016/j.chb.2016.03.040
  22. 박현구. 온라인 환경의 이모티콘과 비언어 행위의 관계. 언론과학연구. 5(3). pp. 273-302. 2005.
  23. 홍장선.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특성과 자아표현 연구: SNS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4(3). pp. 5-3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