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Tim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시각과 시간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 Received : 2017.08.10
  • Accepted : 2017.09.13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on time and to induce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Concretely, the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2009 national 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for the longitudinal analysis. In each textbook, the contents such as clock reading, units of time, and calculation of elapsed time among various contents about time were chosen. The learning elements and their teaching sequence, the teaching method (the introducing ways of each concept and principle), and the didactical representations are set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many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ways of dealing contents about tim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writing the unit of tim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 about time in classro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시각과 시간 내용을 종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지도에 대한 함의점을 얻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시각과 시간의 여러 가지 학습 주제 중 시계 읽기, 시간 단위, 시간 계산을 선정하여, 지도 시기, 지도 방법, 교수 표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우리나라 교육과정별 교과서의 시각과 시간 내용의 지도 시기 및 방법에 관한 특징 및 차이점을 제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각과 시간의 지도 및 교과서 구성을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수학 1-나. (주)두산.
  3. 교육과학기술부(2009a). 수학 1-2. (주)두산.
  4. 교육과학기술부(2009b). 수학 2-1. (주)두산.
  5. 교육과학기술부(2009c). 수학 3-1. (주)두산.
  6. 교육부(1995a). 수학 1-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 교육부(1995b). 수학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8. 교육부(1996a). 수학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교육부(1996b). 수학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교육부(2000). 수학 2-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1. 교육부(2001a). 수학 3-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2. 교육부(2001b). 수학 4-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3. 교육부(2013a). 수학 1-2. (주)천재교육.
  14. 교육부(2013b). 수학 2-2. (주)천재교육.
  15. 교육부(2014). 수학 3-1. (주)천재교육.
  16. 김택본(1997). 초등학교 아동의 측도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혜련, 김선유(1999).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교과서 내용 분석: 초등학교 측도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 25, 101-113.
  18. 남지현, 장혜원(2016). 시각과 시간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학적 이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79-498.
  19. 문교부(1955a). 산수 1-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 문교부(1955b). 산수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1. 문교부(1955c). 산수 2-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2. 문교부(1962a). 산수 3-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3. 문교부(1962b). 산수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4. 문교부(1962c).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5. 문교부(1965a). 산수 1-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6. 문교부(1965b). 산수 2-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7. 문교부(1965c). 산수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8. 문교부(1965d). 산수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9. 문교부(1966). 산수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0. 문교부(1975a). 산수 1-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1. 문교부(1975b). 산수 2-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2. 문교부(1976a). 산수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3. 문교부(1976b). 산수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4. 문교부(1979). 산수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5. 문교부(1982a). 슬기로운생활 1-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6. 문교부(1982b). 산수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7. 문교부(1982c). 산수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8. 문교부(1983). 산수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9. 문교부(1989a). 산수 1-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0. 문교부(1989b). 산수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1. 문교부(1989c). 산수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2. 문교부(1990). 산수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3.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2016). 길이와 시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학교수학, 18(2), 301-322.
  44. 이대현(2011). 초등수학 지도의 원리와 방법. 경기: 동명사.
  45. 장지영, 김성준(2013). 측정 영역에서의 수직선활용에 관한 고찰. 교과교육학연구, 17(2), 297-321.
  46. 조영미, 임선혜(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220.
  47. 현종익(2011). 초등수학 교육론. 서울: 교우사.
  48. Burny, E., Valcke, M., & Desoete, A. (2013). Curriculum sequencing and the acquisition of clock-reading skills among chinese and flemish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1(3), 761-785. https://doi.org/10.1007/s10763-012-9362-z
  49. Dixon, J. K. (2008). Tracking time representing elapsed time on an open timeline.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5(1), 18-24.
  50. Earnest D. (2017). Clock work: how tools for time mediate problem solving and reveal understand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8(2), 191-223.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8.2.0191
  51. Kamii, C., & Russell, K. A. (2012). Elapsed time: why is it so difficult to teach?.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96-315.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3.3.0296
  52. Long, K. & Kamii, C. (2001). The measurement of time: children’s construction of transitivity, unit iteration, and conservation of speed.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3), 125-131.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1.tb18015.x
  53.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4. Siegler, R. S. (1988). Strategy choice procedures and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on skil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7, 258-275. https://doi.org/10.1037/0096-3445.117.3.258
  55. Thompson C. S. & Van de Walle J. (1981). A single-handed approach to telling time. The Arithmetic Teacher, 28(8), 4-9.
  56. Williams, R. F. (2004). Making meaning from a clock: material artifacts and conceptual blending in time-telling instruction. Doctor of philosophy in cognitive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57. Van de Walle, J. A. (200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 남승인 외(역)(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