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iversity-level Flipped Classroom Learner Competency Modeling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모델링

  • Received : 2017.10.31
  • Accepted : 2017.12.1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Flipped classroom has used widely in university in that its unique structure can facilitate learners' higher-thinking skills and promote competencies. Learners are expected to extend knowledge through performing online and offline, but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ir roles and specific behaviors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in the flipped learning. Therefore, a guidance for students has been required to support learners' maste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uccessful learner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mpetency". For this, three-phased competency modeling was employed. In Phase I, Behavioral Ev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learners of the flipped classroom. In Phase II for identifying competencies and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the data was coded, followed by testing reliability of the coding. Based on the meaning code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exes were developed. The final competencies consist of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management, feedback seeking, peer interaction, and knowledge extension. In Phase III, valid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was conducted by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s last, competencies were aligned by the two-phase of the flipped classroom. The finding will be used as the guidance for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in the flipped classroom.

최근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으로 플립드 러닝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환경으로서 플립드 러닝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강의식 수업에 익숙한 다수의 학습자들은 보다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는 플립드 러닝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에서 성공적인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역량모델링을 통하여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우수한 학습자의 역량과 행동지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역량모델링은 1) 자료수집, 2) 역량도출 및 모형개발, 3) 역량모형 타당화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시내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으로 운영된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수 학습자들은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된 대학 강좌에서 형성 평가와 팀 프로젝트 평가에서 상위 10%이내의 성적을 받았으며 학습과정에서 우수한 수행으로 교수자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이었다. 이들에 대한 면담 자료를 분석 후,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으로 '피드백 도움 요청', '성실한 학습관리', '지식 확장', '동료 상호작용', '학습지향성'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행동지표들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역량모형의 타당화를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강생 13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플립드 러닝의 수업 전과 수업 중의 두 단계에 따라 보다 중요시되는 역량들을 확인함으로써 플립드 러닝의 수업단계에 따라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최종 역량모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