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발적 갱도폭발에 따른 다층 주방식 채광광산 구조요인별 피해 기여도 분석

Damage Contribution Rate Analysis by Accidental Tunnel Explosion at a Multi-layered Room and Pillar Mine

  • 고영훈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화) ;
  • 양형식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화) ;
  • 김승준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화)
  • 투고 : 2017.08.31
  • 심사 : 2017.09.12
  • 발행 : 2017.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층 주방식 채광 광산에서 우발적 폭발이 일어났을 때 구조변수가 파괴(낙석 등)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여도를 평가 분석하였다. 다층 주방식 광산에서 대형 폭발에 따른 최대진동속도 영향을 산출하기 위해 AUTODYN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각 인자들의 기여도 분석을 위해 강건설계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설계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직교배열은 $L_9(3^4)$ 이었고 변수는 각각 3수준의 값을 갖는 광주의 높이, 광주의 폭, 갱도 폭, 바닥필라 두께 등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폭발원 갱도로 부터 하부레벨 갱도 천반에서 최대진동속도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광주의 높이이며, 이어서 바닥필라, 갱도 폭, 광주의 폭 순으로 나타났다. 수평인접 갱도 측면중앙의 경우는 광주의 폭, 갱도 폭, 광주의 높이, 바닥필라의 두께 순으로 기여율이 평가되었다.

In this paper, parametric studie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ibute effect of multi layered room and pillar mine structures by underground accidental explosions. Influence of PPV(Peak Particle Velocity) obtained from large explosion at a multi layered room and pillar mine was numerically simulated by using AUTODYN. Parameters for contribution rate Analysis was analyzed by the robust design method. Orthogonal array is $L_9(3^4)$, which was adopted in this study, the parameters were pillar height, pillar width, mine span and sill pillar of 3 levels.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bottom mine of vertical direction from explosion point are most affected by pillar height, followed by sill pillar thickness, mine span and pillar width. Parameters affecting adjacent mine of horizontal direction from explosion are in the order of pillar width, mine span, pillar height and sill pillar thick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관, 2014, 주방식 채광 석회석 광산의 응력상태와 지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 한국광물자원공사, 2015, 광산재해예방매뉴얼, pp. 22.
  3. ANSYS, 2010, Autodyn User's Subroutines Tutorial, pp. 50.
  4. Chanakya Nariseti, 2013, Quantification of Damage in Selected Rocks due to Impact with Tungsten Carbide Bit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oronto, United states of America.
  5. Hendron, A.J., 1977. Engineering of rock blasting on civil projects. In: Hall, W.J. (Ed.), Structural and Geotechnical Mechanics, A Volume Honoring NM Newmark. Prentice Hall, New Jersey.
  6. Kendorski, F. S., Jude, C.V., Duncan, W. M., 1973. Effect of blasting on shotcrete drift linings. Min. Eng. 25 (12), pp. 38-41.
  7. Riedel, W., Thomas, K., Hiermaier, S., Schmolinske, E.,1999, Penetration of Reinfored Concrete by BETA-B-500 Numerical Analysis using a New Macroscopic Concrete Model for Hydrocodes, 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Interaction of the Effects of Munitions with Structures, Berlin-Strausberg, Germany, pp. 315-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