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여성가족부,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통계자료, 2015.
- 김소현, "다층성장모형표(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7권, pp.7-31, 2010.
- 이순래, 박현기, "비행소년의 발전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학, 제1권, 제2호, pp.149-190, 2007.
- G. F. Jensen, "Delinquency and adolescent self-conceptions: A study of the personal relevance of infraction," Social Problems, Vol.20, pp.84-103, 1972. https://doi.org/10.2307/799503
- 김영희,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제71권, pp.1105-1127, 2007.
- J. D. Campbell, P. D. Trapnell, S. J. Heine, M. Katz, L. F. Lavellee, and D. R. Lehman,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141-156,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1.141
- J. D. Campbell, "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538-549,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9.3.538
- M. A. Gara, R. L. Woolfolk, B. D. Cohen, R. B. Goldston, L. A. Allen, and J. Novalany, "Perception of self and other in majo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2, No.1, pp.93-100, 1993. https://doi.org/10.1037/0021-843X.102.1.93
- J. D. Campbell, S. Assanand, and A. Paula, "The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and its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Vol.71, No.1, pp.115-140, 2003. https://doi.org/10.1111/1467-6494.t01-1-00002
- 이기재, 최해림, "분리-개별화, 자기개념 명확성 및 비합리적 신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0권, 제2호, pp.81-99, 2009
- 정현희, 상담자의 완벽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청소년상담원, 학업중단 청소년 실태조사, 2004.
- 최연수, 학교 밖 청소년의 도시형 대안학교 적응과정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청소년상담원, 위기청소년 사회진출지원을 위한 두드림존 특성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 청소년 실태조사, 2014.
- 이용교, 김영자, 김형수, 남국희, 박영석, 이형하, 임성욱, 정광익, 조준, 청소년 문제와 청소년 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2002.
- 홍봉선, 남미애,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차원의 회복적 사법의 적용," 형사정책, 제26권, 제2호, pp.45-79, 2014.
- 조규필, "학업중단 청소년 대책을 위한 정책제안," 학교 밖 청소년 문제 대책 마련 토론회 자료집: 학교 밖 청소년 문제 대책 마련 토론회, pp.74-82, 2013.
- 김문희, "학업중단 예방 및 Wee센터의 역할,"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지원을 위한 정책 토론회, pp.95-100, 2013.
- 김범구, 조아미,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5-31, 2013.
- 이자영,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양은주,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제2호, pp.225-241, 2010.
- 한상철, 김혜원, 설인자, 임영식, 조아미, 청소년심리학, 교육과학사, 2004.
- 배영태, "학교 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청소년상담연구, 제11권, 제2호, pp.323-35, 2003.
- 이숙영, 남상인, 이재규,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 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97.
- R. W. Rumberger, "High school dropouts: A review of issues and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7, No.2, pp.101-121, 1987. https://doi.org/10.3102/00346543057002101
- A. Fomm, 지경자 역, 자유로부터의 도피, 홍신문화사, 2000.
- 서정아, 권해수, 정찬석, 학교밖 청소년의 실태와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 남미애, "학교밖 청소년의 욕구와 사회적 지원방안," 사회과학논문집, 제24권, 제4호, pp.147-196, 2006.
- 금명자, 권해수, 이자영, 이수림, 김상수, "학교밖 청소년 종합지원체제 구축 운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pp.2-221, 2004.
- 황정숙, 중퇴경험생과 일반재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성격특성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G. A. Bernstein and C. M. Borchardt, "Anxiety disorder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30, pp.519-532, 1991. https://doi.org/10.1097/00004583-199107000-00001
- 김지현,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 차이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신희, 방임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혜련, "심리상담지원: 치유를 위한 심리치료," 발간자료, 제1호, pp.65-70, 2004.
- 장연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D. Cicchetti and S. L. Toth, Disorders and Dysfunctions of the Sel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1.
- G. Achenbach, Die Eroffnung, Philosophische Praxis: Vortrage U, Aufsatze. Koln: Verglag fur Philosophie dinter, 1991.
- A. Kazdin, "Adolescent mental health: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American Psychologist, Vol.48, pp.127-141, 1993. https://doi.org/10.1037/0003-066X.48.2.127
-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 1976.
- J. Altrocchi, "Individual differences in pluralism in self-structure," In J. Rowan & M. Cooper (Eds.), The plural self: Multiplicity in everyday life(pp.168-182), London: Sage, 1999.
- 송보라, 이기학,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적응관계에서의 인지적 유연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제23권, 제3호, pp.73-88, 2009.
- 유성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분노 수준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와 가족응집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S. Harter and A. Monsour, "Developmental analysis of conflict caused by opposing attributes in the adolescent self-portrai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8, No.2, pp.251-260, 1992. https://doi.org/10.1037/0012-1649.28.2.251
- T. S. Stucke and S. L. Sporer, "When a grandiose self-image is threatened: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s predictors of negative emotions and aggression following ego-threat," Journal of Personality, Vol.70, pp.509-532, 2002. https://doi.org/10.1111/1467-6494.05015
- 안연옥, 자기애와 공격성 간의 관계: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홍정순, 자기개념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김유영, 고등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N. Komiya, G. E. Good, and N. B. Sherrod, "Emotional openness as a predictor of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sychologic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1, pp.138-143, 2002. https://doi.org/10.1037//0022-0167.46.4.524
- 이민지, 손은정, "낙인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간의 관계 :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949-966, 2007.
- 김대익,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 성격, 자의식, 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오승환,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지, 제12권, pp.109-133, 2001.
- 조수민, 가정외보호아동의 낙인감,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의 양방향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최인실,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정원철, 김진영,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45-35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345
- M. Bigler, G. J. Neimeyer, and E. Brown, "The divided self revisited: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cept differenti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1.20, pp.396-415, 2001. https://doi.org/10.1521/jscp.20.3.396.22302
- J. D. Campbell, B. Chew, and L. S. Scratchley,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s: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lex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59, pp.473-505, 1991.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1.tb00257.x
- 옥주희, 부정적 자기개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지초점적주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L. Stopa, M. J. Brown, M. A. Luke, and C. R. Hirsch, "Constructing a self: The role of self-structure and self-certainty in social anxiet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48, pp.955-965, 2010. https://doi.org/10.1016/j.brat.2010.05.028
- 문경하,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