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위계적 APC모델을 활용한 가계부채결정원인 분석: 베이비부머세대 포함 중·장년·노년층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using a Hierarchical Aging-Period-Cohort Model: Baby-boomers with Middle-Aged & Older Adults

  • 김정근 (강남대학교 복지융합대학 실버산업학과)
  • 투고 : 2017.08.21
  • 심사 : 2017.09.07
  • 발행 : 2017.09.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APC(Hierarchical Age-Period-Cohort)모형과 2006~2016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한 중장년 노년층(32~76세)의 가계부채규모 결정요인을 연령(Age), 기간(Period), 코호트(Cohort)로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는 총 86,056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계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하는 특정시기 출생연도별 코호트(Cohort)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계부채도 353만원 증가하였지만 가계부채 증가폭은 연령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연령이외의 개인단위변수로 경제활동여부, 건강상태 등이 가계부채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취업자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among middle and old individuals aged between 32 and 76 that include Korean baby-boomers(born between 1955 and 1963), using a HAPC (Hierarchical Age-Period-Cohort) model and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06-2016. This study includes 86,056 individual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aging and period effec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household debt levels, however, cohort effects including a baby-boomer generation do not. While household debt increases by 3,530,000 Korean won as age increases by one year, the rate of increase in household debt reduces as individual ages. In addition, employment and health status at the individual leve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ousehold debt levels. The unemployed are more likely than the employed to have high household debt levels while unhealthy people tend than healthy people to have high household debt level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은행, 가계신용동향, 한국은행, 2017a.
  2.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한국은행 2017b.
  3. 김영일, 가계부채의 위험에 대한 이해와 위험관리 체계의 설계방향, KDI, 2012.
  4. M. Sherraden and N. Morrow-Howell, eds. Financial capability and asset holding in later life: A life course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 한국은행, 통계청,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한국은행, 2017
  6. 강성호, 조준용, "중.고령층 고용변화 추이와 고용안정성이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231-24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231
  7. B. K. Bucks, A. Kennickell, T. Mach, and K. Moore, "Changes in US family finances from 2004 to 2007: Evidence from the Survey of Consumer Finances," Fed. Res. Bull, Vol.A1, No.95, 2009.
  8. A. Lusardi and O. Mitchell, "Baby boomer retirement security: The role of planning financial literacy, and housing wealth,"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54, No.1, pp.205-224, 2007. https://doi.org/10.1016/j.jmoneco.2006.12.001
  9. N. Lewin-Epstein and M. Semyonov, "Household debt in midlife and old age: A multin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Vol.57, No.3, pp.151-172, 2016. https://doi.org/10.1177/0020715216653798
  10. B. Butrica and N. Karamcheva, Does household debt influence the labor supply and benefit claiming decisions of older Americans? Center for Retirement Research at Boston College, 2013.
  11. J. Pottow, "The Rise in Elder Bankruptcy Filings and Failure of U.S. Bankruptcy Law," The Elder Law Journal, Vol.19, pp.220-257, 2012.
  12. 성영애,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채 변동 관련 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17권, 제4호, pp.39-60, 2006.
  13. 김경아, "가계의 부채증가 추세 및 요인에 관한 연구 미시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응용경제, 제13권, 제1호, pp.209-237, 2011.
  14. 김우영, 김현정,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10.
  15. 정운영, 정세은, "소득계층별 부채가계의 특성과 결정요인의 비교: 부동산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9권, 제3호, pp.415-439, 2013.
  16.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국내 가계부채 현황 및 국제비교를 통한 위험수준 평가,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1.
  17. 통계청, 가계금융조사결과, 통계청, 2011.
  18. 이신남, "가계부채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4권, 제5호, pp.177-183,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5.177
  19. D. Cox and T. Jappelli, "The effect of borrowing constraints on consumer liabilities,"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Vol.25, No.2, pp.197-213, 1993. https://doi.org/10.2307/2077836
  20. J. Duca and S. Rosenthal, "Borrowing constraints, household debt,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loan markets," Journal of Financial intermediation, Vol.3, No.1, pp.77-103, 1993. https://doi.org/10.1006/jfin.1993.1003
  21. 김주영, 장희순, "가계부채의 결정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주거환경, 제14권, 제1호, pp.221-230, 2016.
  22. 문숙재, 김순미, 양정선, "가계의 부채보유여부 및 부채액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 가정관리학회, 제17권, 제4호, pp.193-206, 1996.
  23. 성영애, "가구주 직업이 가계의 부채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21-32, 2000.
  24. S. Wu, "The effects of health events on the economic status of married couples,"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38, No.1, pp.219-230, 2003. https://doi.org/10.2307/1558762
  25. 이창우, 전성주, "건강상태가 가계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험금융연구, 제85권(단일호), pp.43-74, 2016.
  26. G. Debelle, Macroeconomic Implications of Rising Household Debt, BIS Working Papers(No.153), 2004.
  27. 정영숙, "가계부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9권, 제6호, pp.2483-2504, 2006.
  28. 김윤중, 오정석, 한봉수, "거시경제변동이 가계신용 및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18, 2011.
  29. A. S. Bryk and S. W. Raudenbush. Hierarchical Linear Models :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Newbury Park : Sage Publications, 1992.
  30. 김지섭, 가계부채의 연령별 구성변화: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KDI, 2014.
  31. S. Frenk, M. Yang, and K. Land, "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cohort and period effects in hierarchical age-period-cohort models: applications to verbal test scores and voter turnout in US presidential elections," Social Forces, Vol.92, No.1, pp.221-248, 2013. https://doi.org/10.1093/sf/sot066
  32. Y. Yang and K. C. Land, "A mixed models approach to the age-period-cohort analysis of repeated cross-section surveys, with an application to data on trends in verbal test score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36, No.1, pp.75-97, 2006. https://doi.org/10.1111/j.1467-9531.2006.00175.x
  33. Y. Yang and K. C. Land, "Age-period-cohort analysis of repeated cross-section surveys: fixed or random effect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Vol.36, No.3, pp.297-326, 2008. https://doi.org/10.1177/0049124106292360
  34. Y. Yang and K. C. Land, Age-period-cohort analysis: New models, methods, and empirical applications, CRC Press, 2013.
  35. 이소정,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와 노후 설계 지원서비스의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36. 곽인숙, 홍성희,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전. 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7-172, 2013.
  37. 현대경제연구원. 국내가계부채 증가의 원인 및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2016.
  38. 원종현, 주택연금제도의 주요쟁점과 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 2016.
  39. 강성호, "우리나라 고령농가의 소득개선을 위한 농지연금 활성화," Kiri고령화리뷰, 제9호, pp.17-19, 2017.
  40. IMF. 2016 Article IV consultation-Press Release: Staff Report: and Statement by the Executive Director for the Republic of Korea, IIMF, 2016.
  41. 김졍숙, 퇴직 후 30년을 위한 정부의 교육훈련지원방안, 고용노동부, 2014.
  42. 배준호, "'출향'을 통한 일본의 고용조정 동향과 시사점," 산업관계연구, 제19권, 제4호, pp.99-134, 2009.
  43. 박신욱, "한국과 독일의 임대차임규제에 관한 비교연구," 비교사법, 제21권, 제4호, pp.1491-1536, 2014.
  44. 신영석,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보건복지포럼, 제248호, pp.6-17, 2017.
  45. 이승철, 노인성질환동향, 삼성경제연구소, 2012.
  46. 김제선, 한연주, "초고령사회 진입 지방자치단체 노인의 의료비부담과 가구 유형의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610-62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610
  47. 최령, 황병덕, "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예방적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31-34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