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외 대학 뮤지컬과 무용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Foreign College Musicals and Dance Curriculums

  • 배혜령 (청운대학교 뮤지컬학과) ;
  • 신종철 (청운대학교 뮤지컬학과)
  • 투고 : 2017.06.19
  • 심사 : 2017.07.21
  • 발행 : 2017.09.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뮤지컬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보완점이 무엇인지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교과과정의 차이를 비교하기기 위하여 4년제와 2~3년제 국내 대학의 뮤지컬관련학과와 국외로는 미국의 뮤지컬관련 학교 5개교, 프랑스 5개교를 선정하여 무용교육과정 수업실태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뮤지컬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뮤지컬 현장에 맞는 체계적인 무용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화된 뮤지컬의 표현에 맞는 무용테크닉 수업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특성화된 뮤지컬무용교과 교수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현장과 연계된 효율적인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뮤지컬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연기, 노래, 무용을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들 중 한 분야를 습득하기에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독창적인 한국스타일의 뮤지컬이라는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에서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blems and complementation of Korean curriculum by comparatively analyzing curriculums of domestic/foreign musical-related departments.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domestic/foreign curriculums, selecting musical-related departments of domestic colleges with four-year course and 2 or 3-year course, and also five musical-related schools in the US and another five schools in France, the actual lesson status of dance curriculum was researched. In the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al, it would be necessary to reorganize its curriculum. First, the systematic dance curriculum suitable for musical site would be needed. Second, the dance technique lesson suitable for diversified musical expressions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teaching methods for the characterized musical dance would be necessary. Above all, we need effective education method concerned with performance venues. Musical students are fa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acting, singing, and dancing at the same time. In reality, it is even tough to learn a single area among them. For the original Korean-style musical that could be imitated by no one, the systematic curriculum of college is very important.

키워드

참고문헌

  1. 임란정, 손각중, "뮤지컬 무용교육현황 및 작품분석을 통한 안무교육의 필요성," 대한무용학회, 제27권, 제1호, p.168, 2014.
  2. 조상원, 뮤지컬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한국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9, 2013.
  3. 전유정, 한국창작 뮤지컬 안무의 역사적 고찰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55, 2015.
  4. 임란정, 손각중, "뮤지컬 작품 특성에 따른 무용안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제48집, 제3호, p.147, 2014.
  5. 이보연, 뮤지컬 포에버, 루비박스출판사, p.74, 2012.
  6. 김종로, 김익진, 프랑스 뮤지컬의 이해, 강원대학교출판사, pp.91-9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