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부 청정식품의 경도 차이에 따른 치면세균막 제거 및 구취감소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Reduction of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Malodor according to Hardness of Detergent Food

  • 김민지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치위생학과)
  • 투고 : 2017.05.08
  • 심사 : 2017.05.19
  • 발행 : 2017.09.28

초록

본 연구는 수분이 많은 청정식품의 경도라는 규격화된 기준을 두어, 경도에 따른 청정 작용의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 그 효과로 구취가 제거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 20.8세의 여성 19(95.0%)명, 남성 1(5.0%)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PASW SPSS statistics 24.0(IBM Co,Armonk,NY,USA)를 사용하였으며, 제1종 오류는 0.05로 하였다. 모든 청정식품에서의 섭취 전과 섭취 후의 치면 세균막의 제거정도는 오이는 PHP Index, 토마토는 PHP Index와 plaque rate, 배추는 plaque rate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경도에 따른 청정식품 종류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청정식품에서의 구취제거 효과에는 구취성분 중 $H_2S$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변화량의 평균이 배추, 토마토, 오이순으로 청정식품의 경도에 따라서는 구취제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청정식품 종류의 다양화와 많은 피험자의 수, 구취측정 시간을 통제하는 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실생활에서도 이를 활용한 식이조절법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식품에 관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of dental plaque control and reduction of oral malodor according to hardness of detergent food. Subjects are 1 male(5.0%) and 19 females(95. 0%), the average age of 20.8 years ol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6 to April 24, 2014. Detergent foods which were selected during this experiment were cucumber, cabbage and tomato.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here the PHP Index, plaque rate, $H_2S$, $(CH_3)_2S$, Oral Gas, Expiration Gas were analyzed by Non-parametric Statistics and it was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compared mean whereas factors of detergent food before and after ingestion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all detergent foods, compared with the degree of control of dental plaque before and after inges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HP index from cucumber, PHP index and plaque rate from tomato, and plaque rate from cabbage.

키워드

참고문헌

  1. 백대일, 김현덕, 진보형, 박용덕, 신승철, 조자원, 마득상, 박덕영, 송근배, 최연희, 김진범, 이흥수, 홍석진, 최충호, 김동기, 제 5판 임상예방치학, 고문사, 2011.
  2. 전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 제 5판 치주과학, 군자출판사, 2010.
  3. 신승철, 이건수, "한국인의 구취실태에 대한 역학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3권, 제4호, pp.343-359, 1999.
  4. 예방치학연구회, 제3판 현대 예방치학, 군자출판사, 2010.
  5. 김재곤, 전철완, 이두철, 백병주, "어린이의 식이습관과 치아우식발생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28권, 제2호, pp.271-279, 2001.
  6. 김종배, 김광수, 김영수, 김영희, 정순희, 진보형, 최은미, 황윤숙, 공중구강보건학개론, 고문사, 2011.
  7. B. G. Bibby, The cariogenicity of different foodstuffs: the science of nutrition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dentistry, W. B. Saunders, 1966.
  8. K. Murakami, S. Sasaki, Y. Takahashi, K. Uenishi, M. Yamasaki, H. Hayabuchi, T. Goda, J. Oka, K. Baba, K. Ohki, T. Kohri, K. Muramatsu, and M. Furuki, "Hardness(difficulty of chewing) of the habitual diet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 free-living Japanese women aged 18-22y," Am J Clin Nutr, Vol.86, No.1, pp.206-213, 2007. https://doi.org/10.1093/ajcn/86.1.206
  9. 김용환, "한국식품의 치아우식유발지수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5권, 제1호, pp.35-51, 1981.
  10. 김인숙, 오정숙, 이은숙, 장영호, 정미애, 제4판 치과영양학, 고문사, 2011.
  11. 양지혜, 김남희, 박진영, 윤희인, 김소미, 성준기, 전지은, 허지은, 김현경, 문소정, "청정식품의 종류에 따른 치면세균막 제거효과 비교,"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5호, pp.511-515, 2012.
  12. 이증훈, 치과생리학, 군자출판사, 2003.
  13. P. K. Pratibha, K. M. Bhat, and G. S. Bhat, "Oral malod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Hyg, Vol.80, No.3, pp.1-9, 2006.
  14. 오혜승, "잇솔질과 구취감소보조용품제가 구취 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위생학회지, 제7권, 제3호, pp.129-133, 2007.
  15. 조상원, 곽기석, 이주항, 윤영수, 구연숙, "사과 추출물의 구취억제효과에 대한 Polyphenol Oxidase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0권, 제6호, pp.1301-130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