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cure the foundational data for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from the influences of the feeling of self-efficacy of the elderly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arch 20 to April 1, 2016 for the elderly over 60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S city. Regarding the data, the SPSS 20.0 and the AMOS 20.0 were used.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the following: First, if we take a look at the influences of the feeling of self-efficacy on social capital, the feeling of self-efficacy has the positive influences. And, second, the influences of the feeling of self-efficacy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also, are positive. Third, the influence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oo, are positive. As such, we can find out that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shown. Lastly, we can find out that the feeling of self-efficacy ha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social capital and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Consequently, although the feeling of self-efficacy is insufficient with regard to the economic preparations, we can positively find out that it was able to effectively derive the satisfaction in life by utilizing the social capital. In preparation for the super-aged society, the improvements and the expansions of the social programs and the services resulting from them are nee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regarding the life-periodical, social parti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ly-shared system that can be continued, and the policy of strengthening the social capital.
본 연구는 노인의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 역할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20일-4월1일 설문지 518부를 배부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효능감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직접과 간접 효과 모두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 효능감이 사회적 자본과 노후준비에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기 효능감은 경제적 준비가 미흡하지만, 사회적 자본을 활용함으로써 삶의 만족을 효과적으로 끌어낼 수 있었음을 긍정적으로 알 수 있다. 초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생애 주기적 사회참여에 대한 기반구축과 지속할 수 있는 사회 공유시스템 구축과 사회적 자본 강화책으로 사회적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서비스의 개선 및 확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