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the Elderly Feeling of Self-Efficacy on Preparation after Retire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노인의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신근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고재욱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8.17
  • Accepted : 2017.09.04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cure the foundational data for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from the influences of the feeling of self-efficacy of the elderly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arch 20 to April 1, 2016 for the elderly over 60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S city. Regarding the data, the SPSS 20.0 and the AMOS 20.0 were used.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the following: First, if we take a look at the influences of the feeling of self-efficacy on social capital, the feeling of self-efficacy has the positive influences. And, second, the influences of the feeling of self-efficacy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also, are positive. Third, the influence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oo, are positive. As such, we can find out that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shown. Lastly, we can find out that the feeling of self-efficacy ha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social capital and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Consequently, although the feeling of self-efficacy is insufficient with regard to the economic preparations, we can positively find out that it was able to effectively derive the satisfaction in life by utilizing the social capital. In preparation for the super-aged society, the improvements and the expansions of the social programs and the services resulting from them are nee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regarding the life-periodical, social parti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ly-shared system that can be continued, and the policy of strengthening the social capital.

본 연구는 노인의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 역할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20일-4월1일 설문지 518부를 배부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효능감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직접과 간접 효과 모두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 효능감이 사회적 자본과 노후준비에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기 효능감은 경제적 준비가 미흡하지만, 사회적 자본을 활용함으로써 삶의 만족을 효과적으로 끌어낼 수 있었음을 긍정적으로 알 수 있다. 초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생애 주기적 사회참여에 대한 기반구축과 지속할 수 있는 사회 공유시스템 구축과 사회적 자본 강화책으로 사회적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서비스의 개선 및 확충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세진, "우리나라의 고령화 취약성," 한국경제학보, 제19권, 제2호, pp.49-80, 2002.
  2. 강성옥, 하규수,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11권, 제2호, pp.21-144, 2013.
  3.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5.
  4. 이종경, 이은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 생각 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7-26, 2010.
  5. 김동배, 신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98-303, 2012.
  6. 김명일, 신혜리, "노인의 우울과 자살 생각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와 과거 노후준비가 가지는 조절효과,"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4호, pp.185-201, 2013.
  7.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제34권, 제4호, pp.621-648, 2002.
  8. 김영범, 박준식,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24권, 제1호, pp.169-185, 2004.
  9. 임중철,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 김경희, 이성국, 윤희정, 권기홍, "70세 이상 후기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6권, 제6호, pp.3889-3901, 2015.
  11. 김태호,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 Phyllis Moen, Donna Dempster-McClain and Robin M.,& Williams. Social integration and longevity: Anevent history analysis of women's roles and resili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4, No.4, pp.635-647, 1989. https://doi.org/10.2307/2095884
  13.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14. 김효신, "노후준비와 우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3권, 제4호, pp.117-128, 2008.
  15. 박창제,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4호, pp.139-166, 2008a.
  16. 김민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7. 김연선,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급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8. 김선, 셀프리더십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중년기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9. 김보경, 이진향, 김장락, 정백근, 박기수, "건강한 성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과 지각된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제11권, 제3호, pp.144-153, 2011.
  20. 박인숙, 중․장년층의 자아효능감과 노후생활인식에 따른 은퇴준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1. 오영은, 농촌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사회적 자본이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K. Lewin, Principles of Topological Psychology. Transl. Fritz Heider & Grace M. Heider. New York: McGraw-Hill. 1936.
  23. U.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1979.
  24.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25. 백인경,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6. 강유진, "한국 성인 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30대, 40대, 50대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제16권, 제4호, pp.159-174, 2005.
  27. 김양이, 이채우,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9권, 제1, pp.52-82, 2008.
  28. 이신영,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28권, 제1호, pp.205-224, 2009.
  29. 최성재,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29-352, 2009.
  30. 김재희, 김욱, "노인의 노후준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2권, 겨울호, pp.231-256, 2013.
  31. 임왕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관계망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2. 김우철, 노인의 운동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자기효능감, 우울, 스트레스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3. 홍경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박희봉, 이희창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3호, pp.709-728, 2005.
  35. 신상식,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6. A. Bandura, Self-Efficacy in Changin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7.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1.
  38. 김주성, 중․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9. 임선미,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와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0.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4, No.13, pp.35-42.
  41. J. C.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of Sociology, Vol.94, pp.95-120, 1988. https://doi.org/10.1086/228943
  42. 임우석, 사회적 자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3. 최승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속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4. 김대업,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경기: 학현사, 2009.
  45.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3호, pp.97-119, 2010.
  46. 박지영,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257-270,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257
  47. 강신기, 중년층의 재무교육,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8. 박지원, 중년 남성의 댄스스포츠 참여를 통한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9. 이정복, 노인평생교육에서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