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at Do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ee in Class?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Criticism of Class-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 -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 Received : 2017.07.28
  • Accepted : 2017.08.20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as a good science class in evaluating class demonstr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2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college who are attending teacher training schools located in central region, Korea. 32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the class with a group of 2 students, and a total of 16 lessons were demonstrated. They also evaluated the class by participating in 15 lessons except ones own class. Therefore all the collected evaluation papers were 480 sheets. This study analyze this evaluation paper and find out the good science class that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think.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good science class analyzed by 3 categories. The three categories were 'Highly Engaged Instruction', 'Well-structured class design', and 'Qualitatively superior class materials'. In other words, the pre-service teachers' views that well-structured class design and active interaction were the requirements of good science class. This study confirmed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draw images of good science class through experience of class demonstration and class 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을 평가하며 좋은 과학 수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사 양성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32명의 예비교사들은 2인 1조로 수업을 시연하여 총 16회의 수업이 시연되었다. 또 자신의 수업을 제외한 15회의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업을 평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평가지는 모두 480장이었다. 이 평가지를 분석하여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은 3개 범주 9개의 주제 묶음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3개의 범주는 '참여도가 높은 수업', '잘 구성된 수업 설계', '양질의 수업자료'이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잘 짜여진 수업 설계, 활발한 상호작용이 좋은 과학 수업의 요건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 및 수업 평가의 경험을 통해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를 그려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희 (2012).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방법연구, 24(1), 209-228.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략, 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3), 260-268.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4.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 (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5. 김민형, 최지연, 정성봉 (2009). 실과 수업의 평가를 보는 초등학교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관점. 실과교육연구, 15(2), 27-46.
  6. 김순희 (2009). 초등 사회 수업에 대한 관점 연구: 수업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8(3), 75-91.
  7. 김재춘, 변효종 (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73-382.
  8. 김찬종, 오필석, 전진구 (2005).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차이 및 피드백에 대한 반응. 초등과학교육. 24(2). 111-122.
  9. 나귀수 (2008).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0(2), 279-296.
  10.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2009).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169-197.
  11. 소경희, 김종훈 (2010).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48(1), 133-155.
  12. 소경희, 이화진 (2001).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5p.
  13. 손정우, 조선옥 (2008). 학습 흥미 진작을 위한 과학 관련 TV프로그램의 특성과 학습자 생산 미디어 학습자료(UCC)에 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2(2), 537-553.
  14. 신나민, 이정훈 (2009). 교사의 목소리 매체에 대한 학생의 감정적 반응 및 선호하는 교사 목소리의 특질. 교육광학연구, 25(4), 29-52.
  15. 심규철, 김해미 (2010). 생물 예비 교사의 선수 학습확인 및 학습 동기 유발 활동에서 수업 행동의 특성. 생물교육, 38(2), 309-318.
  16.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 (2009). '좋은 수업' 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한국교육학연구, 15(1), 107-132.
  17.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 (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92), 187-19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87
  18. 윤혜경 (2013). 과학 모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초등과학교육, 32(2), 113-126.
  19. 이봉우 (2016).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03-112.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03
  20. 이명제, 이제용 (1999). 학습 과제의 맥락과 탐구의 수준을 고려한 자연과 학습지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48-460.
  21. 이재천, 김범기 (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15-328.
  22. 정남미 (2016).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20(5), 201-222.
  23.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4. 정한호 (2013).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 분석 관점 탐색: 수업비평문을 바탕으로. 교사교육연구, 52(2), 267-295.
  25. 최승현, 황혜정 (2009).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27-45.
  26. 최은아 (2012). 초등 예비교사의 음악 수업 비평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9(3). 173-194.
  27. 한재영 (2013).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7(2), 310-322.
  28. 허영주 (2009). 교사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21(1), 115-139.
  29. Ball, D. L., & Forzani, F. M. (2009). The work of teaching and the challenge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5), 497-511. https://doi.org/10.1177/0022487109348479
  30. Berry, A., Mulhall, P., Loughran, J. J., & Gunstone, R. F. (1999). Helping students learn from laboratory work.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5(1), 27-31.
  31. Brophy, J. E. (1998).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McGrawHill, New York, 418 p.
  32. Brophy, J. E. (1999). Perspectives of classroom management: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H. Freiberg (Ed.), Beyond behaviorism: changing the classroom management paradigm, Boston: Allyn. and Bacon. 43-56.
  33. and Bacon. Brunye, T. T., Taylor, H. A., Rapp, D. N., & Spiro, A. B. (2006). Learning Procedures: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multimedia learning experience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0, 917-940. https://doi.org/10.1002/acp.1236
  34.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5. Freed, A. F. (1994). The Form and Function of Question Informal Dyadic Conversation. Journal of Pragmatics, 21(1), 621-644. https://doi.org/10.1016/0378-2166(94)90101-5
  36. Gallimore, R., Ermeling, B. A., Saunders, W. M., & Goldenberg, C. (2009). Moving the learning of teaching closer to practice: Teacher education implications of school-based inquiry team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5), 537-553. https://doi.org/10.1086/597001
  37.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8. Lederman, N. G., Gess-Newsome, J., & Latz, M. 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5
  39. Matthew, K. (2014). Identifying a Core Set of Science Teaching Practices: A Delphi Expert Panel Approach. Journal of Researching in Science Teaching, 51(9), 1185-1217. https://doi.org/10.1002/tea.21171
  4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1. Niess, M. L., & Scholz, J. M. (1999). Incorporating subject matter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into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257-276).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 Oliver, H. M., Anderson, M., & Allen, D. D. (2004). Inquiry-Guided Instruction: Practical Issues of Implementat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3(6), 20-25.
  43. Ryan, R. M., & Deci, E. L. (2000a).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https://doi.org/10.1006/ceps.1999.1020
  44. Ryan, R. M., & Deci, E. L. (2000b). Self-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evelopment, and well-being. The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45. Taber, K. S. (2004). Discovering students' interests opens doors to their learning. Physics Education, 39(5), 378-379. https://doi.org/10.1088/0031-9120/39/5/F01
  46.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C. (2004).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NJ: Pearson Prentice Hall.
  47.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https://doi.org/10.1002/sce.2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