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S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 of Science(NOS) in Exhibits of Science Museum

국내 과학관 전시물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NOS) 특징 분석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및 이의 적용

  • Received : 2017.06.08
  • Accepted : 2017.08.24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science museum reflected in the exhibition, and develop and apply Nature of Science(NOS)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cience museum exhibition. The analyse tool wa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NOS in the science museum. The researchers recognized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four exhibition halls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we developed the NOS education program. NOS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supplement the NOS that appears to be limited to scientific exhibitions based on the prior analysis of science exhib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the exhibition of two main science museums, and it was mostly implicit and most we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TS(Science-Technology-Society). And also we analyzed the NOS reflected in the exhibition of two national history museum, and it was also mostly implicit and most were about the way of how to find out the knowledge, inference. Second, in order to supplement the NOS of the science museum, we developed the NOS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xhibits. After applying it to the science museum,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only in the aspects of NOS (science is tentative, science is from creativity and imaginative, science is the produce of social and culture, science is from the scientific method) that reflected explicitly.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or the cultivation of science in the scientific museum, various factor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theme of the science museum. Also, it is helpful to actively implement the NOS educational programs that utilize the exhibit. Therefore, the exhibit planners' and developers' competencies are critical to develop explicit NOS education programs in its expertis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비형식 교육기관인 과학관에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특징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과학관 전시물 기반의 과학의 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과학관에서의 과학의 본성 분석 도구(NOSAT_ISM)를 이용하여, 국내 과학박물관 4곳의 전시물의 과학의 본성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과학관에 과학의 본성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과학관 전시물의 과학의 본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 전시물에 제한적으로 나타난 과학의 본성을 보충하기 위해 과학관 전시물 기반의 과학의 본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과학관 두 곳의 전시물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암시적이었으며,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나타낸 과학의 본성 요소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연사박물관 두 곳의 전시물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을 분석한 결과, 역시 대부분 암시적이었으며, 관찰과 추론의 과정을 묘사한 과학의 본성 요소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관 전시물에 제한적으로 나타난 과학의 본성을 보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사를 반영한 과학관 전시물 기반의 과학의 본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 한 후 질적 연구를 통해 설문을 개발하여 투입한 결과, 사전과 사후검사에 명시적으로 반영시킨 과학이 잠정적이며, 창의력과 상상력을 필요로 하고, 사회 문화적임을 반영하고, 과학적 방법을 사용한다는 과학의 본성의 경우에만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과학관과 자연사박물관 이라는 전시관의 주제에 따른 특징별로 전시물에 나타나는 과학의 본성 요소가 달랐으며, 암시적인 접근의 과학의 본성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과학관에서 과학의 본성 함양을 위해, 과학관 전시물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관람객의 과학의 본성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명시적인 과학의 본성을 반영하였을 때 그 변화가 크다는 점에서 명시적인 과학의 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개발 및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위한 과학관 교육자들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교육과학기술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3. 김도욱 (2015). 과학사 주제에 따른 과학사-역할놀이가 대학생의 과학의 본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원자모형의 변천과 멘델레프의 주기율표의 변천 주제를 중심으로-. 39(1), 15-27.
  4. 김영선 (2013).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 북스힐
  6.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7. 박영신, 이정화 (2011).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881-901. https://doi.org/10.5467/JKESS.2011.32.7.881
  8. 박영신 (2015a).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98-1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98
  9. 박영신 (2015b). 2015 과학관 전문인력양성 교육자료집.
  10. 양찬호, 김민환, 노태희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549-55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549
  11. 윤혜경, 장병기, 나지연 (2005). 과학 수업시간에 해보는 과학연극. 서울 : 드림웍스21.
  12.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 26(5), 376-386.
  13. 이영희 (2008). 전래동요 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영희 (2014).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77-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77
  15. 이정원 (2016). 지구과학교육과정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수준과 특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원, 박영신, 정다혜 (2016).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정도 탐색: 7차 및 2009 개정교육과정사례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217-23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217
  17. 정감순 (2011). 자연사박물관의 진화관 전시물 패널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은지 (2013). 과학대중화를 위한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과학커뮤니케이션 반영정도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수진, 양찬호, 노태희 (2013).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의 영향. 대한화학회지, 57(1), 115-126. https://doi.org/10.5012/jkcs.2013.57.1.115
  20.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https://doi.org/10.1080/09500690050044044
  21. Duschl, R. A. (1990). Restructuring scienc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ories and their develop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2. Irwin, A. R. (2000). Historical case studies: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in context. Science Education, 84(1), 5-2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1)84:1<5::AID-SCE2>3.0.CO;2-0
  23.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The influence of explicit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https://doi.org/10.1002/tea.10036
  24.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25. Lederman, N. G. (1998). Avoiding De-Natured Science: Activit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McComas, W.F.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83-126.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6. Lederman, N. G., Schwartz, R. S., Abd-El-Khalick, F., & Bell, R. L. (2001).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 intervention study. The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2), 135-160. https://doi.org/10.1080/14926150109556458
  27. Lederman, N. G., Abd-El-Khalick, F. & Bell ,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https://doi.org/10.1002/tea.10034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How people learn. Bridging research and practic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0. Park, Y-S., Park, J-H., & Ryu, H-S. (2014).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program developed by docents and its educational impact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75-90.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75
  31. Solomon, J., Duveen, J., Scott, L., & McCarthy, S.(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409-421.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