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Applied Case of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사례

  • Received : 2016.11.12
  • Accepted : 2017.08.20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at model at the elementary pre-teachers' science classes. The model of this study, the material which was consists of all contents and information about classes was offered to learners before science class as a substitute for preceding homework at general flipped learning. In science class, the knowledges which were recorded in materials were explained directly to learners by instructor for 20minutes. So the learners resolved some inquiry questions in materials through mutual debate collaboration with learners in small group. After inquiry questions' resolving, the learner among small group makes a presentation in front of the whole class. At the same time, the instructor evaluated learning action of all small groups' learners during the classes as process evaluation. The final evaluation results of semester were obtained scores of the small group in 14 classes and the achievements of individual portfolio as final exam. The learners were very positive perception to this science class model, why it is helped to concentrate on the class, extended debating and thinking ability. Consequently,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is useful to applicate the earth science classes.

이 연구는 거꾸로 수업에 기반 한 지구과학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수업에 수업모델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델은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과 정보를 사전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거꾸로 수업에서의 선행과제를 대체하였다. 교실수업에서 '지식'내용은 교수에 의한 강의식 설명으로 20분 동안 학생들에게 수행되었으며, 그 후 학생들은 지식과 관련된 심화탐구문제를 토론 협력을 통해 모둠별로 해결하였다. 탐구문제 해결 후, 모둠원 중 발표자로 선정된 한 학생이 모든 학생들 앞에서 모둠에서 수행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4차시 수업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과정과 사전에 제공된 학습 자료의 포트폴리오는 기말고사를 대처한 한 학기의 과정평가로 교수에 의해 운영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많은 학생들은 본 수업 모델이 수업에 대한 집중력, 그리고 토론기술과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결론 적으로 본 수업모델은 지구과학수업에서 적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손정우, 김미영, 구자옥(2014).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321-33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2. 김동원, 김병수, 김지훈(2016).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수업 사례를 통한 초임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연구. 초등교육연구, 29(4), 1-23.
  3.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2014).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0(3), 467-492.
  4. 김순식, 이용섭(2014). 문제뱔견 중심의 과학토론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33-14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33
  5. 김진필, 박종률, 박대원(2012). 중등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1), 31-50.
  6. 문병찬(2014). 초등과학교육에서 지구시스템 인식강화를 위한 시스템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13-326.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3.313
  7. 문병찬, 김용택, 이형선(2016). 학교 캠퍼스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안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39-53.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39
  8. 박상준(2014).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교육과학사
  9. 박상준(2015).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2), 1-21.
  10. 박윤경, 정종성, 김병수(2016).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이 교유과정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9(2), 105-128.
  11. 신영준, 하지훈, 홍준의, 전영석, 이수영, 박지선, 지재화, 이수아, 문혜숙, 이혜숙, 이성희(2016).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개발연구. 과학교육연구지, 40(1), 90-102.
  12. 이민경(2016). 학생 주도 참여 활동(Changemaker)의 교육적 의미: S중학교 '사상최대의 수업프로젝트'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2(3), 235-264.
  13. 이희숙, 강신천, 김창석(2016). 플립러닝의 학습효과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1), 87-100.
  14. 최상호, 하정미, 김동중(2016). 학생 중심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학적 접근. 학국수학교육학회지, 30(3), 375-392.
  15. Bergmann, J. & Sams, A.(2012). Flip Your Classroom: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Eugene Oregon: ISTE & ASCD.
  16. FLN(Flipped Learning Network)(2014). "What is Flipped Learning?", www,flippedlearning.org/definition.
  17. Mayer, V. J.(1995). Using the earth system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4), 375-391. https://doi.org/10.1002/sce.3730790403
  18. Mayer, V. J., Brown, S. M., Graham, M. & Jax, D. W.(1992). The role of planet earth in new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0(1), 6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