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Factors of Serendipity in Online Video Environment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 요인에 관한 탐색

  • 백소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 이원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 채안병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 황은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 김성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8.10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Current video service market doesn't satisfy the users' needs who want to find new and interesting contents despite the vast amount of contents. Now it is continuously necessary to Study on technology and using experience is continuously required in online video service area to stimulate the watching motivation efficiently with such as recommendation or promotion. One of efficient ways of increasing the using motivation is to give the users pleasure when they use the services. This study focused on 'unexpected funny finding' as a strategy of providing pleasure of using.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increase the pleasure of using the service, if serendipity, which means unexpected pleasure, accidental finding such as finding a beautiful $caf{\acute{e}}$ or meeting a friend at a certain place unexpectedly, is applied. This study defines the serendipity as 'contents that give unexpected pleasure' at the online video environment. First it theoretically extract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through reading many books. Next it verified the other concept of serendipity through the diary of users' survey to additionally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at video environment that are hard to find in books. It formed estimation item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ed serendipity and tested them in youtub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being found in video service and observe potential factors that make it. As a result if verified and confirmed four factors that cause serendipity at video environmen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erendipity. It has an academic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c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the future study that analyzes the role or effect of serendipity at IT area including online video service.

현재의 동영상 서비스 시장은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롭고 재미있는 콘텐츠 발견'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분야에서는 추천이나 프로모션과 같이 사용자의 시청 동기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키는 영역에서의 기술/사용경험의 연구가 꾸준히 제기된다. 사용 동기를 향상 시키는 효과적인 한 방법은 사용자가 서비스의 사용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전략으로 '뜻밖의 재미있는 발견'에 주목하였다. 마치 우연히 발견한 좋은 분위기의 카페나 예기치 않았던 장소에서 우연히 만난 친구처럼 '뜻밖의 기쁨, 우연한 발견'을 뜻하는 '세렌디피티(serendipity)'가 적용되면 서비스의 사용에 즐거움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를 '뜻밖의 즐거움을 주는 콘텐츠의 우연한 발견'으로 정의한다.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폭넓은 문헌 고찰을 통해 세렌디피티의 다양한 속성들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사용자 조사 다이어리를 통해 문헌 고찰만으로는 발견하기 힘든 온라인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의 속성을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세렌디피티의 속성에 대해 각 항목을 평가 문항으로 작성하여 유튜브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동영상 환경에서 발견되는 세렌디피티 속성을 확인하고 이를 유발하는 잠재적 요인에 대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동영상 환경에서 세렌디피티를 유발하는 4가지 요인을 실증하고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렌디피티의 개념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비롯한 IT 분야에서 세렌디피티의 역할이나 작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Remer, T. G. Serendipity and the three princes: From the Peregrinaggio of 1557.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65.
  2. Foster, A. and Ford, N. Serendipity and information seeking: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59(3). pp. 321-340. 2003. https://doi.org/10.1108/00220410310472518
  3. Liang, R. H. Designing for unexpected encounters with digital products: Case studies of serendipity as fel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6(1). pp. 41-58. 2012.
  4. 김운한. OOH 광고의 세렌디피티 속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고 PR 실학연구. 7(3). pp. 29-56. 2014.
  5. 김진우.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서울 : 안그라픽스. 2005.
  6. 조인성, 서지희, 이민주, 허소임, 이윤지, 이효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터랙션으로 인한 세렌디피티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18(4). 한국감성과학회. pp. 59-74. 2015.
  7. Andel, P. V. Anatomy of the unsought finding. serendipity: Orgin, history, domains, traditions, appearances, patterns and programmability. The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45(2). pp. 631-648. 1994. https://doi.org/10.1093/bjps/45.2.631
  8. Andre, P., Teevan, J. and Dumais, S. T. Discovery is never by chance: designing for (un) serendipity. In Proceedings of the seventh ACM conference on Creativity and cognition. ACM. pp. 305-314. 2009.
  9. Makri, S., Bhuiya, J., Carthy, J. and Owusu‐Bonsu, J. Observing serendipity in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s. In Proceedings of the 78th ASIS&T Annual Meeting.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2(1). pp. 1-10. 2015.
  10. McCay-Peet, L. and Toms, E. Measuring the dimensions of serendipity in digital environments. A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16(3). Information Research. n3. 2011.
  11. 유튜브 팀. 유튜브 공식블로그. https://youtube.googleblog.com. 2017.08.14.
  12. 닐슨코리안클릭. 동영상 플랫폼 내 TV방송 콘텐츠 소비현황. http://www.koreanclick.com/english/insights/newsletter_view.html?code=topic&id=326&page=5. 2017.08.14.
  13. 이경전, 홍성우. NFC 기반 세렌디피티 시스템 설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추계). pp. 177-183. 2011.
  14. Nutefall, J. E. and Ryder, P. M. The serendipitous research proces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3). pp. 228-234. 2010. https://doi.org/10.1016/j.acalib.2010.03.005
  15. Fine, G. A. and Deegan, J. G. Three principles of serendip: insight, chance, and discovery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9(4). pp. 434-447. 1996. https://doi.org/10.1080/0951839960090405
  16. Liestman, D. Chance in the midst of design: approaches to library research serendipity. RQ. 31(4).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pp. 524-532. 1992.
  17. Oliver, R. L., Rust, R. T. and Varki, S. Customer delight: foundations, findings, and managerial insight. Journal of retailing. 73(3). New York University. pp. 311-336. 1997. https://doi.org/10.1016/S0022-4359(97)90021-X
  18. Bellotti, V., Begole, B., Chi, E. H., Ducheneaut, N., Fang, J., Isaacs, E. and Rasmussen, P. Activity-based serendipitous recommendations with the Magitti mobile leisure guide.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p. 1157-1166. 2008.
  19. Toms, E. G. Understanding and facilitating the browsing of electronic 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2(3). pp. 423-452. 2000. https://doi.org/10.1006/ijhc.1999.0345
  20. Dantonio, L., Makri, S. and Blandford, A. Coming across academic social media content serendipitously.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9(1). pp. 1-10. 2012.
  21. Bogers, T., Rasmussen, R. R. and Jensen, L. S. B. Measuring serendipity in the lab: The effects of priming and monitoring. iConference 2013 Proceedings. IDEALS. pp. 703-70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