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chno-mediated Rebirth of Young Precariat's Working Conditions Today

동시대 청년 알바노동의 테크노미디어적 재구성

  • Lee, Kwang-Suk (Department of Digital & Cultural Policy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 Received : 2017.04.06
  • Accepted : 2017.05.24
  • Published : 2017.06.15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ialectic tensions arising within the ICT-mediated labor culture between the dominant power of conglomerates and the precarious labor subjects in the labor practices,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grown in popularity.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much young precarious workers named 'Cheongyeon Alba' (young precariat in S Korea) suffers from continually precarious job positions as temporary staff or contract workers, being trapped at the bottom of the pay scale, and also being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workplace in a seamless way. Concrete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mobile phone becomes deeply entangled with the 'precarious' labor culture 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The mobile precariat has been in a disadvantaged position, in terms not only of the moral issue of exploitation in business but also of social injustice. Labor exploitation of young workers has been reinforced by the mobile labor culture, in which they are remotely monitored by live surveillance mobile apps, and mobile instant messaging from a boss can intrude incessantly into their private life. This study depicts the extension of the business's surveillant power by mobilizing the mobile phone in the working practices.

이 연구는 한국사회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들과 디지털 미디어기술이 '알바'노동 현장에서 결합되는 방식에 대한 관찰 연구에 해당한다. 이제까지 테크노미디어가 청년의 문화적 재기발랄함을 발산하거나 구조로부터 탈주하는 문화적 유희 수단이기도 했지만, 이 글은 미디어기술이 청년의 온라인 잉여력의 수취나 감정노동의 강화를 위한 스마트 '유리감옥'으로 크게 탈바꿈 중임을 살핀다. 즉 청년 노동, 특히 '알바'노동에 있어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미디어의 매개적 역할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노동과 활동, 놀이와 노동, 물질계와 비물질계, 오프라인과 온라인 등의 경계들이 해체되고 어떻게 이것들이 시장의 가치로 거칠게 통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청년 알바노동의 중요한 일상이자 부분이 되어가는, 스마트폰을 손에 쥔 청년들의 노동 현장 속 '모바일노동'의 새로운 양상을 주목한다. 본 연구는 대도시 알바 현장에 대한 기초설문, 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여관찰을 통해서, 일상이 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이용과 국내 청년알바 노동현장 상황이 맞물리면서 형성되는 독특한 국내 모바일노동 현실을 다층적으로 관찰한다. 이를 통해 동시대 청년 알바노동의 성격이 어떻게 억압적이지만 내면화된 방식으로 재구조화하고 있는지를 구체화한다. 즉 오늘 청년 알바노동의 현실에는 비정규 노동의 체제적 불안정성에 더해서, 모바일 테크놀로지에 의지한 일상 권력의 비공식적 노동 관리와 통제 문화가 청년의 몸에 깊숙이 아로새겨진다고 파악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3S1A5A802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