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Adequacy of Vocabulary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for Grades 5 and 6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의 어휘 적정성 분석

  • Received : 2017.06.08
  • Accepted : 2017.08.21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vocabulary us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for the grade band of 5~6. This study focused on the adequacy of vocabulary using 9-degree of semantic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vocabulary in the textbooks and workbooks was adequate for the target grades. In some cases, however, vocabulary that was supposed to be difficult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was employed in a way that the meaning of such vocabulary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infer in the given context. The most frequent vocabularies in the main activities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included 'method', 'investigate', 'number', 'communicate', and 'repres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5~6 grade textbook writers with implications on what to further consider in dealing with vocabulary in instructional materials.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사용된 어휘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으로, 수학 교과서의 본문 차시, 수학 교과서의 본문 이외 차시, 익힘책의 본문 차시를 분석하였다. 어휘 적정성 분석은 9등급 어휘 체계에 따라 어휘 난이도 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어휘 빈도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어휘 적정성 분석 결과, 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시된 어휘 중 5~6학년 수준보다 높은 등급의 어휘는 10% 미만으로 대부분의 어휘는 5~6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어휘의 경우 학생 수준보다 어휘 수준이 높았으며 어휘의 의미를 맥락상 유추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어휘 빈도 분석 결과,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의 본문 차시에 공통적으로 방법, 알아보다, 수, 이야기하다, 나타내다 등의 어휘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기 5~6학년군 수학 교과서 개발과 실제 수업 시 적정한 어휘 사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일, 박교식(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01-316.
  2. 권점례(2016).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 적정성 분석: 단원 구성 및 어휘 사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5(3), 281-297.
  3. 김진호, 권나영 편집(2017). 학교수학과 교과서 개발. 경문사.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5. 교육부(2016a).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2016b). 수학 익힘책 5-1.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2016c).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2016d). 수학 익힘책 5-2.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2016e).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10. 교육부(2016f). 수학 익힘책 6-1. 서울: 천재교육.
  11. 교육부(2016g).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12. 교육부(2016h). 수학 익힘책 6-2. 서울: 천재교육.
  13. 김광해(2008).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서울: 박이정.
  14. 박교식, 임재훈(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무정의 용어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97-213.
  15. 방정숙, 권미선(2016).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의 어휘 적정성 분석. 학교수학, 18(4), 903-922.
  16. 백대현(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17. 신호재(2016). 초등 도덕과 교과서 어휘 선정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초등도덕교육, 51, 163-187.
  18. 양정실, 권점례, 신호재, 박재현, 오필석, 이미미(2015).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5-14.
  19. 이기연(2015).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어휘 양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5(6), 669-689.
  20. 이미미(2016). 초등 사회 교과서 어휘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사회과교육, 55(2), 37-55.
  21. 이성영(2011). 초등 교과서의 이독성 비교 연구 - 국어, 사회,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 연구, 41, 169-193.
  22. 이정우, 곽한영(2007).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 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213-236.
  23. 장혜원, 임미인(2016).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247-267.
  24. 주간조선(2016). 어휘력 부족이 사고력 부족으로 ( 2 0 1 6 . 5 . 3 . )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3&aid=0000021725.
  25. 조항범, 장충덕, 김경렬(2008). 어휘력이 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개신어문연구, 28, 31-57.
  26. 한국과학창의재단(2016).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용도서 연구.집필 착수 워크숍.
  27. 황현미(2013).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서 사용 실태 분석 및 수준 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Donlan, C. (2007). Mathematical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In D. B. Berch & M. M. M. Mazzocco (Eds.), Why is math so hard for some children? The nature and origins of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pp.151-172). Baltimore: Brookes.
  29. Heddens, J. W. & SMITH, K. J. (1964). The readabil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books. The Arithmetic Teacher, 11(7), 466-468.
  30. Johnson, D. A. (1957). The readability of mathematics books. The Mathematics Teacher, 50(2), 10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