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teractive Significance of Red in Film Color : Concentration and Diffusion

영화에서 빨강의 상호작용적 의미 : 집중과 확산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5.24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Film color is equivalent to other elements of film, including narrative, and has a textual meaning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expression. In general, red has a function of focusing attention, and the meaning derived from it is diffused. In the interaction of text and context, the function of concentration and the meaning of diffusion can be presented. The concept of concentration and diffusion is shap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colors, colors and other cinematic elements, and interactions between colors. In order to confirm this, this study analyzes a series of popular Korean films, how film colors interact, and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function of red and the meaning of prolif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popular films, at its most basic, red symbolizes a nation, a people, and a nation. The red of nationalism surrounding ethnicity, nationality and country visualizes ideology and conflict. The purpose of an individual or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ender and the victim is mediated through red. The flag, the name tag, the costume appearing in the film are red. This can be seen in films such as Train to Busan, Assassination, Masquerade, Miracle in Cell No.7, Brotherhood of War, Northern Limit Line, Joint Security Area, Welcome to Dongmakgol, and May 18. Second, the red color attached to the female body fixes or strengthens socio-cultural sexuality and gender. The examples are films like Ode to My Father, The Thieves, The Host, Purpose Of Love, Sunny, Like A Virgin, Forbidden Quest, Untold Scandal, Bewitching Attraction, and Ssanghwajeom. Third, the blood red in Korean films is a visual device that directs magical horror, anger, and asceticism. Such films include The Neighbors, Bunshinsaba, R-Point, A Tale Of Two Sisters, Whispering Corridors, The Uninvited, Thirst, SECTOR 7, Asura:The City of Madness, The Tiger, Veteran, and so on. Fourth, red of tears constitutes the specific emotions such as a beautiful desire and a brilliant tragedy in films like King and The Clown, Oldboy, Memories of Murder, 26 Years, The Attorney, Unbowed, Sympathy For Lady Vengeance, Happy End, Punch, Calling, The Yellow Sea, and He's on Duty.

색채는 영화의 다른 요소들과 동등한 기능을 하며, 표현의 자율성에 따른 상호작용적 의미를 갖는다. 빨강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기능을 하며, 그로부터 유발된 의미는 확산된다.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관계에서 집중의 기능과 의미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다. 집중과 확산은 색상의 독자성, 색상과 다른 영화적 요소들과의 관계, 색상들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구체화된다. 이 연구는 대중성을 담보한 일련의 한국영화를 선정하여, 영화색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특히 빨강의 집중 기능과 확산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부산행>, <암살>, <광해, 왕이 된 남자>, <7번방의 선물>, <태극기 휘날리며>, <로보트태권V>, <연평해전>, <공동경비구역JSA>, <웰컴투동막골>, <화려한 휴가>와 같은 대중영화에서 빨강은 민족, 국민, 국가, 이념의 갈등을 표상한다. 둘째, <국제시장>, <도둑들>, <괴물>, <연애의 목적>, <님은 먼 곳에>, <천하장사 마돈나>, <음란서생>,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 <쌍화점>에서는 여성의 몸에 부착된 빨강이 한국사회에 고착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강화시킨다. 셋째, <이웃사람>, <분신사바>, <알포인트>, <장화, 홍련>, <여고괴담>, <4인용 식탁>, <박쥐>, <7광구>, <아수라>, <대호>, <베테랑>에서는 생명의 빨간 피가 주술과 공포의 근원이며 분노와 복수의 시각장치이다. 넷째, <왕의 남자>, <올드보이>. <살인의 추억>, <26년>, <변호인>, <부러진 화살>, <친절한 금자씨>, <해피엔드>, <완득이>, <소명>, <황해>, <방가? 방가!>에서 눈물의 빨강은 아름다운 욕망과 화려한 비극 같은 특정한 감정을 구성한다.

Keywords

References

  1. 21세기연구회 (2004). 하룻밤에 읽는 색의 문화사:혁명의 색 빨강부터 이슬람의 녹색까지. 정란희 역. 예담.
  2. 강성률 (2016). 칸딘스키의 색채론으로 분석한 <살인의 추억>. 씨네포럼. 24호. 13-41쪽.
  3. 권영걸 외 (2006). 韓中日 삼국에서 적색 (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2. 기초조형학연구. 7권 4호. 13-22쪽.
  4. 권영걸 외 (2005). 韓中日 삼국에서 적색 (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1. 한국색채학회논문집. 19권 2호. 21-36쪽.
  5. 권영걸 외 (2005). 한국인의 색채기호특성에 따른 한국적색 (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19권 3호. 51-63쪽.
  6. 김선현 (2009). 컬러가 내 몸을 바꾼다. 넥서스.
  7. 김융희 (2005). 빨강:매혹의 에로티시즘에서 금기의 레드 콤플렉스까지. 시공사.
  8. 김융희 (2005). 검은 천사 하얀 악마:흑백의 문화사. 시공사.
  9. 김종국 (2013). 에이젠쉬테인의 영화색채론. 영화연구. 58호. 87-109쪽.
  10. 김종국 (2012). 영화의 색채교육방법 연구. 현대영화연구. 8권 2호. 317-342쪽.
  11. 김종국 (2008). 기호계의 <향수>, 아브젝시옹의 파랑. 영화연구. 35호. 171-190쪽.
  12. 김종국 (2006). 영화색채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13. 나병철 (2006). 소설과 서사문화. 소명출판.
  14. 남윤자 외 (2005).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적색계 색명의 의미. 서울대학교.
  15. 문은배 (2012). 한국의 전통색. 안그라픽스.
  16. 박규상 (2014). 욕망하는 집:심리학으로 들춰 본 영화 속 집과 공간에 숨은 욕망. 서해문집.
  17. 박시성 (2007). 정신분석의 은밀한 시선:라깡의 카우치에서 영화읽기. 효형출판.
  18. 박연선 편 (2007). 색채용어사전. 도서출판예림.
  19. 박진배 (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1․2. 디자인하우스.
  20. 유관호 (1998). 디지털 색채론. 세진사.
  21. 유뢰; 이견실 (2015). 중국의 상징색 빨강의 역사적 고찰.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42권. 67-76쪽.
  22. 이재만 (2011). 한국의 전통색. 일진사.
  23. 이채복 (2017). 한국사회에서 붉은색의 통제와 해체. 경성대학교 박사논문.
  24. 정진강 (2005). 중국어 색채사에 보이는 상징의미: 빨강 (紅), 노랑 (黃), 파랑 (靑)을 중심으로. 중국학보. 51권. 29-42쪽.
  25. 하용득 (1986).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명지출판사.
  26. 한국색채학회 (2012). 컬러마케팅. 지구문화사.
  27. Albers, Josef (1975). Interaction of Color 실험에 의한 색채구성. 서재행 역. 일지사. 1980.
  28. Aristotle (BC 335년경). Peri Poietikes 시학.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2002.
  29. Armengol, Josep M. (2011). Men in color: racialized masculinities in U.S. literature and cinema. Cambridge Scholars.
  30. Aumont, Jacques (1994). Introduction a la couleur:des discours aux images. Paris: Armand Colin.
  31. Ballas, Guila (1997). La Couleur dans la Peinture Moderne 현대미술과 색채. 궁리. 2002.
  32. Batchelor, David (2000). Chromophobia 색깔이야기. 김융희 역. 아침이슬. 2002.
  33. Bellantoni, Patti (2005). If it's purple, someone's gonna die: the Power of Color in Visual Storytelling. Focal Press.
  34. Brown, Simon; Street, Sarah; Watkins, Liz (2013). Color and the moving image: history, theory, aesthetics, archive. Routledge.
  35. Coates, Paul (2010). Cinema and Colour: The Saturated Image. British Film Institute.
  36. Coates, Paul (2008). "On the Dialectics of Filmic Colors (in General) and Red (in Particular): Three Colors: Red, Red Desert, Cries and Whispers, and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Film Criticism. Volume 32. Issue 3. pp. 2-23.
  37. Dalle Vacche, Angela; Price, Brian (2006). Color: the film reader. Routledge.
  38. Dalle Vacche, Angela (1996). Cinema and painting: how art is used in film. University of Texas Press.
  39. Duck, Michael John (2016). Goethe's "Exposure of Newton's Theory": a Polemic on Newton's Theory of Light and Colour. Imperial College Press.
  40. Everett, Wendy (2007). Questions of colour in cinema: from paintbrush to pixel. Peter Lang.
  41. Fuery, Patrick & Kelli (2003), Visual Cultures and Critical Theory, Arnold:Great Britain.
  42. Gage, John (1999). Color and Meaning: Art, Science, and Symbolism 색채의 역사 : 미술, 과학 그리고 상징. 박수진 외 역. 사회평론. 2011.
  43. Goethe, Johann Wolfgang von (1810). Zur Farbenlehre 색채론. 권오상 역. 민음사. 2003.
  44. Greenfield, Amy Butler (2006). A perfect red: empire, espionage, and the quest for the color of desire. HarperCollins.
  45. Gunning, Tom (2015). Fantasia of Color in Early Cinema. Amsterdam University Press.
  46. Heller, Eva (2000). Wie Farben auf Gefuhl und Verstand wirken 색의 유혹: 재미있는 열세가지 색깔 이야기. 이영희 역. 예담. 2002.
  47. Kandinsky, Wassily (1912). U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권영필 역. 열화당미술책방. 2000.
  48. Kennel, Glenn (2006). Color and mastering for digital cinema 디지털 시네마를 위한 컬러와 마스터링. 오명훈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49. Kernell, Daniel (2015). Colours and colour vision: an introductory surv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Kristeva, Julia (1974). La Revolution du Langage Poetique 시적 언어의 혁명. 김인환 역. 동문선. 2000.
  51. Kristeva, Julia (1977). "Gioto's Joy 지오토의 즐거움." 기호학과 시각예술. 김융희 외 역. 시각과언어. 1995. 147-179쪽.
  52. Misek, Richard (2010). Chromatic cinema: a history of screen color. Wiley-Blackwell.
  53. Nancy, Jean-Luc (1986). La communaute desoeuvree 무위의 공동체. 박준상 역. 인간사랑. 2010.
  54. Pastoureau, Michel (2017). Red: The History of a Col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Yumibe, Joshua (2012). Moving color: early film, mass culture, modernism. Rutgers University Press.
  56. Wittgenstein, Ludwig (1977). Remarks on Colour. translated by Linda L. McAlister and Margarete Schatt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57. 장편공상과학만화 로보트태권V. 동아일보. 1976.7.21. 5면.
  58. 태권도 소재 만화. 경향신문. 1976.5.15.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