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입원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 결정요인

Exploring the Factors of Selecting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of Hospitalization Service Users

  • 투고 : 2017.05.30
  • 심사 : 2017.06.19
  • 발행 : 2017.08.28

초록

이 연구는 의료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서로 성격이 다른 사립병원과 국공립병원을 선택하는 결정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ersen의 행동모형 이론을 적용하여 욕구요인, 가능성 요인, 개인적 요인을 결정요인으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의료패널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 동안의 자료 데이터 중 입원서비스를 이용한 건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분석대상은 18세 이상자로 제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한 입원의료이용 건수는 14,365건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은 대체로 Andersen의 행동모형이 잘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경제적 약자들인 노인, 저소득층, 국가 유공자 및 의료급여자, 만성질환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사립병원보다는 국공립병원을 더 선택하였다. 따라서, 저소득 취약계층에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공립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concerns whether the public spirit of medical services, which is the foundational goal of national hospitals, is being realized. To derive results regarding this ques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national hospitals. The data are based on the number of cases of medical service use among the data for 6 years from 2008 to 2013 in the Korea Medical Panel, an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those who were 18 years old or older. In the final analysis, 14,365 cases of hospitalization service uses were employed. For the research method,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ory was applied, and predisposing, enabling, and individual 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hospital choic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use of national hospitals was very low, with 5.23% for hospitalization services. Furthermor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people, such as the elderly, low-income people, the national meritorious and medical care beneficiaries, chronic patients, and disabled pati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national hospitals than private hospitals. Therefore, for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medical service use for low-income vulnerable group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nhancement of primary medical care in national healthcare.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2015 보건복지 백서, 2016.
  2. 권순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방안,"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10, pp.21-35, 2007.
  3. 정은영, 서영준, 이해종, "지방의료원의 성과분석: Data Envelopment Analysis와 패널분석," 보건행정학회지, Vol.25, No.4, pp.295-306, 2015.
  4. 임대기, 제갈돈, "안동지역 노인들의 병원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27, No.3, pp.121-139, 2011.
  5. 이경수,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 김미교, 이동철, 김상조, 강명주, "부산지역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병원선택 효용가치가 만족․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Vol.10, No.6, pp.3387- 3398, 2008.
  7. 이진우, 안상윤, 이종형, 이무식, 김광환, "지방의료원의 선택요인 분석을 통한 복합적인 의료서비스 전략 구축," 융합복합연구, Vol.13, No.5, pp.297-307, 2015.
  8. 조우현, 김한중, 이선희, "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 Vol.25, No.1, pp.53-63, 1992.
  9. 김정연, "의료이용 동기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요인," 디지털 융복합연구, Vol.13, No.11, pp.217-230, 2015.
  10. 이선희, "소비가치 이론에 의한 병원선택 요인 연구," 예방의학회지, Vol.30, No.2, pp.413-427, 1997.
  11. 김양균, 김준석, "소비가치 이론을 이용한 의료 소비자의 의료기관 선택 요인 분석," 품질경영학회지, Vol.37, No.4, pp.71-86, 2009.
  12. R. M. Andersen,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Chicago: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1968.
  13. R. M. Andersen,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10, 1995.
  14. R. M. Andersen, "National health surveys and the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s use," Medical Care, Vol.46, No.7, pp.647-653, 2008. https://doi.org/10.1097/MLR.0b013e31817a835d
  15. 이혜재, 이태진, 전보영, 정영일, "일반층과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5, No.1, pp.79-106, 2009.
  16. 송해연, 최재우, 박은철, "한국 성인의 경제활동 참여변화가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Vol.25, No.1, pp.11-21, 2015.
  17. 전진아, 이난희,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살펴본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양상과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Vol.219, pp.75-84, 2015.
  18. 임미영, 유호신, "전국 저소득층노인의 보건의료 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2, No.3, pp.589-599, 2001.
  19. 정영호, "한국의료패널로 본 의료이용 및 본인부담 의료비 지출," 보건복지포럼, Vol.179, pp.64-81, 2011.
  20. 서남규, "한국의료패널로 본 경제활동 상태 및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 보건복지포럼, Vol.182, pp.15-23, 2011.
  21. 사공진, 임현아, 조명덕, "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과 의료비 지출의 형평성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8, No.3, pp.79-101, 2015.
  22. 서은원, 이광수,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입원 환자의 의료이용 차이 분석: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이용하여," 보건행정학회지, Vol.25, No.1, pp.3-10, 2015.
  23. 송태민, 고혜연, "공공과 민간의료기관의 외래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변량분석," 보건복지포럼, Vol.203, pp.64-7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