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Emotion in early childhood has been observed to make an important effect on behavioral development. The teacher has coached to develop good behavior based on considering emotional response rather than rational respon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ignificance of emotional coaching for behavior development according emotion recognized by non-verbal measurement system developed specially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44 people and were asked to study in four experimental situati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four situation such as class without coaching, behavioral coaching, emotion coaching, and emotion coaching based on emotional recognition system.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ubjective evaluation, behavioral amplitude, and HRC (Heart Rhythm Coherence) of heart response. The result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evaluation, behavioral amplitude, and HRC at emotion coaching based on emotional recognition system. In post-doc analysis, the subjective evalua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emotion coaching and system based emotion coaching. However, the behavioral amplitude and HRC showed a significant response between two coaching situation. In conclusion, quantitative data such as behavioral amplitude and HRC was expected to solve the ambiguity of subjective evaluation. The emotion coaching of teacher using emotional recognition system was can be to improve posi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for children.
유아시기 정서발달은 전반의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속적인 마음 상태인 정서는 일시적인 마음상태인 감정의 인식과 처리가 핵심 자원이 되어 발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발달에 중요한 유아시기 감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교사의 효율적인 감정코칭을 제안하며, 그 효과의 유의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교사2명, 유아 42명 피험자를 대상으로 기준 무자극, 행동코칭, 감정코칭, 감성인식 시스템 피드백 감정코칭 자극을 제시하였고 영상기반 집단의 행동 양과 유아 개별의 주관평가 그리고 Heart Math Tools을 이용하여 HRC (Heart Rhythm Coherence)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주관평가, 영상의 움직임 양, HRC (Heart Rhythm Coherence)수치는 감성인식시스템 피드백 수업 시 긍정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 주관평가는 감정코칭과 감성인식 시스템 피드백과는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정량적인 데이터 유아의 행동 양에서는 그 양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유아의 주관적 반응에 미흡한 정보를 정량적 데이터로 보완 할 수 있으며, 기관에서 정서교육의 효과적 접근으로 감정코칭 교육 프로세스 시스템을 제안하며 아동 정서발달의 정량적 연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