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한국경영자총협회,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2016.
- S. Bashir and A. B. Nadeem, "Effects of the Realistic Job Preview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Met Expec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Vol.11, No.4, pp.219-227, 2016.
- A. Kristof-Brown, R. Zimmerman, and E. Johnson,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8, pp.281-342, 2005.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5.00672.x
- 손정선,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최보인, 장철희, 권석균,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효과성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권, 제1호, pp.199-232, 2011.
- 박가열, 천영민, "대졸자 취업 영향요인 분석," 고용과 직업연구, 제3권, 제1호, pp.29-59, 2009.
- 조성은, 한은영, "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변화 분석: SNS 연결관계를 통한 신뢰 사회 구현에 대한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 13-09-02, 2013.
- www.kosis.or.kr
- 조달호, "서울의 고용동향," 서울경제 2016년 6월호, pp.6-32, 2016.
- J. C. Ullman, "Employee Referrals: Prime Tool for Recruiting Workers," Personnel, Vol.43, pp.30-35, 1966.
- R. E. Hill, "New Look at Employee Referrals as a Recruitment Channel," Personnel Journal Vol.49, pp.144-148, 1970.
- Graham L. Reid, "Job Search and the Effectiveness of Job-Finding Method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Vol.25, No.4, pp.479-495, 1972. https://doi.org/10.1177/001979397202500401
- 김영철, 인적 네트워크(개인의 사회적 자본)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0.
- 장미혜, 민현주, 이택면,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사회자본: 경제 사회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방안(제3차년도),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Marmaros, David and Bruce Sacerdote, "Peer and Social Networks in Job Search," European Economic Review, Vol.46, pp.870-879, 2002. https://doi.org/10.1016/S0014-2921(01)00221-5
- M. A. Zottoli and J. P. Wanous, "Recruitment source research: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0, pp.353-382, 2000. https://doi.org/10.1016/S1053-4822(00)00032-2
- 강순희, "청년 일자리 탐색방법이 취업성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77-99, 2010.
- 이경상,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 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Lin, Nan,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Y: Cambridge University, 2001.
- M. S. Granovetter,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 M. S.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ory, Vol.1, pp.201-233, 1983. https://doi.org/10.2307/202051
- 오성욱, 김균, 이만기, 취업(채용)경로별 이용특성 분석을 통한 공공고용서비스 (PES)의 발전방안(정책연구 2010-03), 한국고용정보원, 2010.
- 이현주, 대졸자의 구직방법이 초기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J. J. Beggs and J. S. Hulbert, "The Social context of Men's and Women's Job Search Ties: Membership in Voluntary Organizations," Sociological Perspectives, Vol.40, No.4, pp.601-622, 1997. https://doi.org/10.2307/1389465
- 안재희,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제16권, 제2호, pp.85-110, 2006.
- 곽윤숙, "대졸 여성의 직업세계 이행: 저해요인과 지원체제 방안," 진로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pp.1-16, 2006.
- 김성훈, "사회 연결망과 공식경로를 통한 첫 취업의 개인적 결과와 사회적 결과," 한국사회학 제39권, 제1호, pp.53-85, 2005.
- 이병훈, "구직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5권, 제1호, pp.1-21, 2002.
-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6권, 제3호, pp.209-230, 2003.
- D. Blau and R. Philip, "Job Search Outcomes for the Employed and Unemploy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8, No.3, pp.637-655, 1992 https://doi.org/10.1086/261698
- 강유진, 직무만족도에 대한 네트워크의 유형별 효과 - 구직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두순, 이주현, 이성재, 김지은, 2011(2009)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1차년도 기초분석보고서,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노동부, 2011.
- R. V. Dawis and L. H. Lofquist,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An individual-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 R. D. Bretz and T. A. Judg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for satisfaction, tenure,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4, pp.32-54, 1993.
- T. N. Bauer and B. Erdoga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utcomes: Now and into the future, In C. R. Wanberg (Ed.), The oxford handbook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12.
- K. Lauver and A. Kristof-Brown,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9, No.3, pp.454-470, 2001. https://doi.org/10.1006/jvbe.2001.1807
- 오성욱, 이승구,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2권, 제22호, pp.1-19, 2009.
- 어윤경,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721-738, 2010.
- 차성현, 주휘정,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177-215, 2010.
- J. Allen and R. Van Der Velden, "Educational Mismatches Versus Skill Mismatches: Effects on Wages, Job Satisfaction and on-the-Job Search," Oxford Economic Papers, Vol.3, pp.434-452, 2001.
- Datcher, Linda, "The Impact of Informal Networks on Quit Behavior,"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5, No.3, pp.491-495, 1983. https://doi.org/10.2307/1924196
- Curtis J. Simon and John T. Warner, "Matchmaker, Matchmaker: The Effect of Old Boy Networks on Job Match Quality, Earnings, and Tenure,"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10, No.3, pp.306-330, 1992. https://doi.org/10.1086/298289
- 서형도,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성공: 조직적합성, 직무적합성 변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오성욱,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4호, pp.93-11, 2013.
- http://www.danielsoper.com/statcalc/calculator.aspx?id=31)
- 정지선, 이수정, 신정철,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직업개발연구, 제14권, 제3호, pp.53-78, 2011.
- 한국고용정보원, 주요 업종별 채용 트렌드 변화 연구, 2017.
- 김선아, 민경률, 이서경, 박성민, "직업선택동기의 선행.조절.결과요인에 관한 연구-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pp.455-500, 2013.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12/0200000000AKR20161012082000003.HTML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20932&code=14190000&cp=n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