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and future of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 Focusing on social inclusiveness -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 - 사회적 포용성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11.03
  • Accepted : 2017.11.21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ocial inclusiveness for evaluation and future development of social policy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future of social policy in Korea depends on the level of social inclusiveness. Social inclusiveness can be measured by the extent to which social policy is inclusive and the level of citizens' perception of social inclusiveness. This study uses 4 frameworks (universality, progressiveness, life-long, and adequacy) of inclusive asset-based policy to evaluate the level of social inclusiveness of key laws and social polici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 has established normative systems of laws and social policies. Second, however, Korean social policy has multiple problems in universality, progressiveness, life-long, and adequacy. To enhance social inclusiveness of social policy, this study emphasizes the 'socialness' of social problems. Korea has faced market failure, the high level of rate experiencing poverty during life, and inefficiency of social policy. If we accept the socialness of social problems, social policy should attempt to increase publicness of social policy. The increase in socialness as well as social inclusiveness may be fundamental for inclusive society in Korea.

본 논문은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포용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사회적 포용성의 정도에 따라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미래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사회적 포용성은 일차적으로 사회복지 법과 제도 측면에서 얼마나 포용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추가적으로 사회적 포용성은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포용성의 인식정도로 측정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제도적 의미의 사회적 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 자산형성지원 제도의 4가지 분석틀(보편성, 누진성, 일생주기성, 그리고 적절성)을 이용하여 사회복지관련 주요 법(헌법과 사회보장기본법)들과 제도들을 평가하고 있다. 주요 분석결과로 한국 사회복지제도는 형식적 또는 규범적으로는 틀을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4가지 분석틀에 있어서 문제점들이 많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로서 일차적으로 사회문제의 '사회성'의 의미를 강조하고 이에 따라 공공성을 강화시키는 제도적 개입의 확충을 강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노동시장의 실패, 일생주기 동안 높은 빈곤 경험 비율, 그리고 사회복지정책의 비효율성을 통해서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사회문제는 개인적 책임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의 사회성 인식제고를 통해 공공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의 사회복지제도의 개선이 사회적 포용성을 향상시키고 포용사회를 달성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