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ildren's Poetry Activity through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Program in A Small Group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 Park, Boo S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ong Eui Women's College) ;
  • Lim, Myeung 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 Nam Health University) ;
  • Park, Yoon Joe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Welfare, Yeo Ju University)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Although listening to music is the most basic musical experience that is ahead of all the other musical activities, it tends to be neglected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difficult teaching methods. This study is to compose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by reflecting thoughts of children, draw children's attention to listening to music, and let them to discover and create musical concept and structures by themselves, accompanied by related activities through which children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children's poem. Considering the peculiarities of three-four year-olds, it may be difficult for them to create poems individually, so we let them to write poem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in which they can share their opinions and observe their peers' reaction. We provided a teaching method to teachers who find activities of listening to music and writing poems difficult, then we analyzed the effect. When children finished writing poems in small groups through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reflecting their thoughts, they placed greater weight on preparing to listen to music at first, but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y discovered musical concepts and became active in music appreciation. In the related activity, writing poems inspired them to think creatively, listening to their peer's stories. Even children who were not interested in children's poem showed higher participation. Teachers found children's creative words to be interesting, discovering the joy of creation.

음악적 경험 중에서 감상활동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을 구성하고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만 3, 4세의 발달 특성상 개인별 동시 짓기의 어려움이 있어서 자신의 의견을 나누며, 또래들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소그룹 토의를 통한 동시 짓기로 접근 하였다. 현장에서 음악 감상과 동시 짓기 활동을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생각을 반영한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를 한 결과 유아들은 초기에는 음악 감상을 위한 준비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으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음악적 개념을 발견하고, 음악 감상에 적극적이었다. 연계활동으로 동시를 지을 때 또래의 이야기를 들으며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되었고, 동시에 관심이 없었던 유아들도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교사도 유아의 창의적인 단어에 흥미를 보였고, 유아들과 함께 창작의 기쁨을 느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성희(2016). 두줄쓰기 기법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영희(2015).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준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고지민(2011). 걸음마기 영아-어머니 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공효은(2012). 음악감상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곽이정(1999).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곽정례(1994). 어린이 글짓기. 서울: 문학아카데미.
  7. 교육부(1998). 유아를 위한 친사회적 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부.
  8. 권민균, 석미경(2004).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소그룹 토의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59-378.
  9. 김광자, 박영옥(2006).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 방안: 보육시설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151-173.
  10. 김명순, 조경자(1998).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음세대.
  11. 김미숙(2000). 체험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미정, 이숙희(2008).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에 기초한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443-467.
  13. 김성균(1990).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II. 감상을 통한 유아 교육. 서울: 국민서관.
  14. 김승희(2007). 설문을 통한 유아 음악 감상 실태 조사 연구: 5-7세 지도교사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연수(2014).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및 민감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영희(2001). 유아를 위한 음악 감상지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재숙(200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동시 활동 실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희, 김연희(2003). Rousseau의 자연사상과 아동음악교육. 한국보육학회지, 3(1), 69-91.
  19. 김지영, 김나림(2015).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유아음악 수업이 예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포트폴리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241-262.
  20. 남선옥, 김호(2013).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241-263.
  21. 문금희, 이민정(2006). 포괄적 음악 감상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95-424.
  22. 문혜련(2007).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 음악 감상 방법의 제안과 그에 따른 활동의 예. 어린이미디어 연구, 4, 41-63.
  23. 박부숙(2003). 통합적 음악 감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화목(1989). 아동문학개론. 서울: 민문고.
  25. 성영화, 최진숙, 정현영(2010). 음악개념중심의 유아음악 예비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0(4), 167-183.
  26. 성진희, 성경희(1999). 창의적 음악 감상. 서울: 아마데우스클래스.
  27. 안경숙. 정연희(1994). 프로젝트 접근법의 활용. 서울: 다음세대.
  28. 안옥수(2010).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양승희, 임명희(2011).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1(1), 19-39.
  30. 옥수정(2004). 동시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유덕희(1983). 아동발달과 음악교육론. 서울: 개문사.
  32. 유창근(1989). 현대아동문학론. 서울: 동문사.
  33. 윤수진, 한석실(2009).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보육학회지, 9(3), 119-132.
  34. 이몽희(1996). 유치원에서의 문학 지도를 위한 동시의 상징성 연구. 부산경상전문대학 논문집. 제16호.
  35. 이명화(2001). 동시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동시 짓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미경(2001). 유치원 음악 교육에 관한 실태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민정(2002). 음악활동에 관한 교사의 태도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0, 19-38.
  38. 이상미(2011). 음악 감상을 통한 음악적 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개념 학습과정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9, 283-314.
  39. 이샤론(2011).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송은(2001).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제18호.
  41. 이수경, 최진숙(2011). 포괄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형교육학회, 제39집, 125-149.
  42. 이영자, 이기숙(1994).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43. 이유정(2011).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은주(2017). 우정활동이 삽입된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인아, 이완정(2015).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3), 1-17.
  46. 이홍수(1990).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47.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48. 장자영(2005). 통합적인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Alper(1987).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NY. Teachers College Press.
  50. Crinklaw-Kiser, D.(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rk proces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Vol.51, No.5.
  51. Davis, J. E.(1977). Poetry as Motivation for Read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22nd, Miami Beach, Florida).
  52. Dixon, G. & Chalmers, F. G(1990). The expressive Arts in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53. Dyer, S. M. & Schiller, W.(1993). 'Not wilting flowers again!'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in movement and performanc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54. Eva, M., Sherry, N., & Stephanie, F.(2013). Meaningful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PEARSON.
  55. Flohr, W. J. (1996). Children's electro physiological responses to music.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ic Education World conference(22nd), Amsterdam, Metherlands, July, 1996.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10017).
  56. Greenberg. M (1979). Your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J: Prenyice-Hall.
  57. Hayes, D. S., Bruce. E., Chemelski, D., & Palmer, M.(1982). Nursery rhymes and prose passages: Preschooler's liking and short-term retention of story ev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18(1), 49-56. https://doi.org/10.1037/0012-1649.18.1.49
  58. Holt, D. M. et al.(1988). Reading, movement education and music : An integrated approach. Educational Document : ED
  59. Mursell, J. L.(1992). 음악적 성장을 위한 교육(한국 음악 교재 연구회 역)Growth Process in Musical Education.
  60. Sayre, N. E.(1990). The perfect mix : Creative movement an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al Document : ED
  61. Schliesman, M.(1998). Poetry for Every Child. Book Links, v7, n6, 35-39.
  62. Sharron, L.(1990). Music-movement-make-believe : The link between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ern Association on Young Children Under Six. Educational Document : ED
  63. Webre, E. C.(1993). Guidelines for children's poetry appreciation and poetry writing and suggested books and activiti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