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체제의 협력적 운영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투고 : 2017.10.30
  • 심사 : 2017.12.22
  • 발행 : 2017.12.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현실적인 탐색을 통해 현장적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교사체제를 정립함으로써 교사간의 협력적인 능력 창출과 운영에 대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간 경기도 소재의 K유치원에서 교사 16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인 및 집단면담 13회, 현장관찰 8회, 참여관찰 4회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키워드 분류, 유목화, 소주제 발견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협력적 운영에 대해 '업무 수행', '어려움', '기관의 지원', '변화'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갖춘 2인 교사가 협력적 운영의 과정, 변화를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 realistic manner, thus contributing to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establishing a system of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nd providing basic data to create and manage the collaborative capabilities of teache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13 semi-structure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ith 16 teachers at K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eight field observations, and four participant observations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7.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stage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nvolving keyword categories, classification, and discovery of sub-them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categorized the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into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institutional supports" and "changes." These findings lead to an expectation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will establish a foundation for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changes of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two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키워드

참고문헌

  1. 곽향림(2012). 구성주의 교실에서 진정한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유아들의 노력. 유아교육학논집, 16(1), 401-424.
  2. 권현서(2009).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 김경희, 나귀옥(2013).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설명을 통한 공동구성. 유아교육연구, 33(1), 191-214.
  4. 김수정(2002).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 밀 갈등요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안나(2014).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6. 김정은(2013). 어린이집 팀티칭 현황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현진(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4), 17-30.
  8. 김혜진, 김혜영, 홍창남(2015). 교사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123-148.
  9. 김효정, 임자영, 이대균(2011).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521-551.
  10. 김희연, 오문자(2009). 유아교실에서의 교사 협력; 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77-296.
  11. 나은숙, 양옥승(2007).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연구.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12. 문연심, 박희숙, 조안나(2017).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서울: 공동체.
  13. 박미경, 엄정애(2010).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0(5), 325-350.
  14. 박주호, 송인발, 이전이(2016).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 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43-265.
  15. 백나리(2012).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팀티칭 교수법 운영현황과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혜정, 김은영(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17. 서혜정, 변미영(2012).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아동학회지, 33(3), 149-175. https://doi.org/10.5723/KJCS.2012.33.3.149
  18. 양승희, 염순교(2007).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와 보육시설 근무환경과의 관계분석. 한국보육학회지, 7(4), 45-67.
  19. 엄정애(2001). 놀이와 유아교육 : 그 조화와 방향에 대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25.
  20. 염지숙(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21. 오지선, 박은영(2016). 어린이집 교사들의 경력차이에 따른 팀티칭 경험. 아동교육, 25(3), 247-273.
  22. 유희정(2014). 만1세반 3인 담임제 교사의 팀티칭에 대한 어려움 이야기.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79-105.
  23. 이문구(2006).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멘토링 실태 및 요구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4. 이영미(2014). 팀티칭 상황에서 유치원 초임 부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4(3), 207-227.
  25.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26. 전윤숙(2011).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지, 11(4), 167-187.
  27. 전효은, 엄정애(2011).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놀이의 활용에 관한 경력 교사의 경험과 어려움의 해결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5(5), 305-334.
  28. 정유진(2017). 학생지도 혼선, 1수업 2교사제 반발확산.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82201071221078001 에서 2017년 8월 5일 인출.
  29. 조인숙(2001).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직수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1), 197-218.
  30. 한국유아교육학회 편(1996). 유아교육사전(용어편). 용인: 한국사전연구사.
  31. 홍정선, 최인숙, 안연경(2008).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열린유아교육, 13(5), 429-457.
  32. Bronson, C .E., & Dentith, A. M. (2005). Facilitating effective collaborative team teaching: What instructional leaders need to know. A paper presentation at the Annual Convention of University Council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UCEA) November 11, 2005 Nashville, TN.
  33. Cannella, G. S. (2002).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유혜령 역). 서울: 창지사.
  34. Enz, B., & Christie, J. (1997).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al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 55-75.
  35. Isenberg, J., & Quisenberry, N. L. (1988). Play: A Necessity for All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64(3), 138-145. https://doi.org/10.1080/00094056.1988.10521522
  36. Shaplin, J. T., & Olds. H. F. (1971).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정해수, 김충행, 윤정일 공역). 서울: 동문사(원본발간일 196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