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 투고 : 2017.07.30
  • 심사 : 2017.09.22
  • 발행 : 2017.07.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 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D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2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명화감상과 동화 듣기 후 그리기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감수성, 독창성, 융통성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표현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와 그림 보고 연계성 있는 이야기 꾸미기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thus working out basic data to help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Study subjects were 20 4-year old children at D Child-care Center in Anyang City, Gyeonggi-do. The experiment group conducted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whereas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drawing activities after viewing famous paintings and hearing fairy ta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carried out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creativity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Regarding the sub-variables of creativity, the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in sensitivity, originality and flexibil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carried out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linguistic expressiveness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Regarding the sub-variables of linguistic expressiveness, the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in the area of 'story development after seeing paintings' and 'connected story development after seeing painting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eems to be in that it verified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and confirmed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are an effective technique to improv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라(2009). 아동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미술 감상 지도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보경(2013).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현옥(2002). 짧은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고경민(201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연오랑과 세오녀'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스토리 & 이미지텔링, 1, 11-34.
  5. 고진경(2017). 동화에 기반한 소집단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공영애(2008).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8. 교육부(2012.1.11).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9. 길신희(2006).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명숙(2002). 미술요소에 기초한 이야기 나누기가 유아의 그리기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문경(2010).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감상지도방안 연구: 미술비평.미술사.미학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보배(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선호(2003). 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선화(2015). 스토리텔링을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영민(1996). 이야기를 통한 영어교육. 초등영어교육, 2, 194-209.
  16. 김은아(2013).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의 효과: 유아의 그림감상능력, 창의성,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은혜(2015). 숲에서의 스토리텔링활동이 유아의 자기표현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인숙(2016). 노래와 그리기 연합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 능력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정(1988). 미술교육총론. 서울: 학연사.
  20. 김지현(2010). 이야기 중심의 그리기 활동 중 관찰된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능력.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혜전, 홍용희(2012). 자연유치원 만 5세아의 그림그리기 활동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43(4), 57-88.
  22. 김혜지(2012). 명화감상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류수은(2015). 창의성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무용창작 프로그램 개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문형순(1997). 교사의 발문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시아(2016). 유아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수학기초학습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여진(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아동의 창의적 미술 표현지도 방안 연구: 만 6,7세 아동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설경숙(2004). 훈화 동시를 통한 그리기 표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주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손은선(2014). 산책 후 토의 및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손혜영(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적응행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송미숙(2011). 그림책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송미화(2016). 자연물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신동진(2016).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신설아(2011). 감각 그림책 탐색에 기초한 그리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그림 표현 및 언어표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신유진(2009).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신은숙(2014). 동화책을 활용한 그리기 표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양선문(2015).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유아발레 프로그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오미경(1995). 그림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오상원(2012).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유정화(2006). 동화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유효인(2015).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윤길순(2017). 숲 유치원 교육을 통한 창작 동화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윤미영(2015). 3세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관련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윤화영(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미혜(2010). 유아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81-297.
  45. 이미혜(2016). 스토리텔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수경, 최진숙(2011). 포괄적 음악 강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형교육학회, 39, 125-149.
  47. 이유미(2014).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창의성 증진 미술 교육프로그램 연구: 6-7세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유진(2016). 전통놀이 관련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전통문화 선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유진(2017). 스프링보드 스토리기반 창의력 향상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3학년 그리기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정애(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이진희(2009).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수업이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2학년 전래동화 그리기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현아(2013). 유.아동 미술교육의 이해. 서울: 태영출판사
  53. 장문경(2015). 또래갈등에 관한 스토리텔링이 유아의 또래문제해결력과 언어표현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장영신(2010).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 감상 활동이 아동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 1, 2학년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장휘숙(1980). 유치원 아동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유창성과 독창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정강호(2008). 초현실주의 그림책이 유아의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일러스트레이션의 초현실주의적 표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정단비(2015).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정유선(2002).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와 심리에 미치는 효과: 5-7세 유아 대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정혜원(1999).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언어 그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현(2007).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영어지도방안.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조경미(1984). 6세 아동의 개념화 양식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조서희(2012).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그리기표상활동이 유아의 그리기능력, 공간지각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주영희(2001). 유아 언어 발달과 교육. 서울: 교문사.
  64. 지성애(2001). 미술교수방법이 유아의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1), 177-202.
  65. 채영란(2007).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발달 특성과 인지능력 및 재인기억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6. 최보미(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최예정, 김성룡(2005).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서울: 글누림.
  68. 최은실(2015). 음악 감상에 기초한 문학-음악 연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성향과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 허진(2017).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식물 기르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허태화(1997).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동화내용 이해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홍서영(2014).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사회과 지리 수업에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2. 홍지은(2011). 육하원칙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황다혜(2015).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황빛나(2014). 환상동화를 통한 그림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Changar, J., & Harrison. A.(1992). Storytelling activities kit. NY: Center for Applied Research in Education.
  76. Eisner, E. W.(1995).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서울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역). 서울: 예경(2001에 출판)
  77. Ellis, G. & Brewster, J.(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London: Penguin Books.
  78. Gardner, H.(1993). Creating mind. New York: Basic Books.
  79. Guilford, J. P.(1970). Traits of creativity. In P. E. Vernon(Ed.), Creativity(pp.167-188). Middlesex, England: Penguin.
  80. Haven, K.(2000). Super simple storytelling: A can do guide for every classroom, every day. Englewood. CO: Teacher Ideas Press.
  81. Hofer, M., & Swan, K. O.(2006). Digital storytelling moving from promise to practice.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Information Conference, 13(1), 679-684.
  82. Koster, J. B.(2001). Growing artists: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2nd ed.). Albany, NY: Delmar.
  83. Kozlovich, B.(2002). By word of mouth: A storytelling guide for the classroom. Honolulu, HI: Pacific Resources for Education and Learning.
  84. Lowenfeld, V. & Brittain, W. L.(1987). Creative and mental growth.(8th ed.). New York: Macmillan.
  85. Moran. J. D.(1983). Original thinking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 921-926. https://doi.org/10.1111/j.1467-8624.1983.tb00513.x
  86. Osborn, A..(1953). Applied imagination. New York: Scribner's.
  87. Schirrmacher, R.(2002).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4th ed). Albany, NY: Delmar.
  88. Schirrmacher, R.(2009).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6th ed). Albany, NY: Delmar.
  89. Starkweather, E.(1991). Creative research instrument designed for use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reative Behaviour, 5(4), 245-255.
  90. Torrance, E. P.(1963). Adventuring in creativity. Childhood Education,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