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 투고 : 2017.01.11
  • 심사 : 2017.02.23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연구는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서 수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평가지와 함께 가정에 통보하는 평가 체제를 따르고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과 통합한 수학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수업과 통합한 역량 중심의 평가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역량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평가 결과의 환류가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의 평가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역량 간의 중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를 통해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수업과 연계하여 이를 단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 이와 관련한 실행적인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평가 방법의 사용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해 주지만 평가 결과의 차이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ses of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integrating assessment and instruction, which had been conducted in an elementary school whose assessment system involves frequent tests from a formative perspective on assessment. The research outcome is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ing instruction made possible for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competencies-oriented teaching, whereas more emphasis needs to be focused on the assessment feedback. Second, assessment on math competencies involves multiple dimensions; therefore, it needs to be managed to prevent problems arising due to overlap between different competencies. Third, though it has been identified that with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gradually improve the areas short of competency, more practic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in this regard. Fourth, even with the fact that various types of evaluation ensure its fairness, make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 before arriving at a comprehensive assess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교육청 (2016). 2016 초등 수행평가 예시자료 : 3-6학년 2학기.
  2. 고은성, 박민선, 이은정 (2016).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 학교수학, 18(1), 61-83.
  3. 교육부 (2015a). 학생 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 교육부 훈령 169. 2016. 04. 05.
  4.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5. 김도한 외 18명 (2009). 2009년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김민경, 조미경, 조유리 (2012).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소재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63-95.
  7. 김수동 (2011). 한국과 일본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3), 293-318.
  8. 김영기, 양승욱 (2000).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 현황. 학교수학, 2(2), 509-543.
  9. 박종서, 박해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초등수학교육, 4(2), 151-163.
  10. 성태제, 권오남 (1999).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의 과제와 전망. 학교수학, 1(1), 217-234.
  11.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화,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 (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2. 임시연, 안병곤 (2014). 수학과 과정과 이해 수준을 중심으로 단원 평가 문제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연구발표대회 논문집.
  13. 장수진, 김수미 (2014). 수학과 서술형평가 문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기도 교육청 창의서술형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97-318.
  14.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박미미, 한수연 (2012a).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2(3), 401-427.
  15.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김구연 (2012b). 과정 중심의 수학교과 평가방안 연구. 한국창의재단 정책연구 2012-1.
  16. 조용환 (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17.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67-83.
  18. Morgan, C., & Watson, A. (2002). The interpretative nature of teachers' assessment of students' mathematics: Issues for equ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2), 78-110. https://doi.org/10.2307/749645
  19.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https://doi.org/10.1080/0969594X.2011.582838
  20. Watson, A. (2000). Mathematics teachers acting as informal assessors: Practices,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 69-91. https://doi.org/10.1023/A:1003933431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