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back on assessment result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through Student Interactive Feedback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 허가은;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09-432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성과 함께 주목 받고 있는 형성평가의 정착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의 하나로 설정한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를, 비교집단에는 본인 확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는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는 수학적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있어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피드백 유형이 사용자의 주관적 반응에 미치는 (Effects of Feedback Types on Users' Subjective Responses in a Voice User Interface)

  • 이다솜;이상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9-2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시스템 사용 중 오류가 발생했을 때 제공되는 피드백이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피드백 유형(확인 피드백, 정교화 피드백)과 오류 유형(인식 실패, 수행 실패)을 독립 변수로 하고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와 피드백 수용성, 향후 이용 의도를 종속 변수로 하는 요인설계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을 한 결과, 피드백 유형만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와 피드백 수용성, 향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드백 수용성에 대해 피드백 유형과 오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VUI 설계 시, 오류 정보를 자세히 알려주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술기 수행 평가에서 평가자의 유형별 피드백이 간호대학생의 자가 평가의 정확성, 정서반응, 자기효능감, 인지하는 피드백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aminer's Verbal Feedback on Nursing Students' Accuracy of Self-assessment, Emotional Respon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Quality of Feedback in Skill Performance Assessment)

  • 김은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6-154
    • /
    • 2018
  • Purpose: In this study, effects of positive, negative, and mixed verbal feedback were examined for accuracy of self-assessment, emotional responses, self-efficacy, and perceived quality of feedback in skill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04 second-year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ir fundamentals of nursing class.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a positive, a negative or a mixed feedback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performance measure and then received the assigned the type of feedback from an evaluator. After delivery of feedback, they assessed their own performance using the same sheet as the evaluator and completed the survey for emotional response,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quality of feedback.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racy of self-assessment and perceived quality of feedback among the three groups ($x^2=4.74$, p=.094; $x^2=3.30$, p=.192, respectively). The negative feedback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elf-efficacy and positive emotions and more negative emotions than the other two groups (F=9.43, p=.009; $x^2=16.29$, p<.001; $x^2=5.69$,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Negative feedback can affect emotions and motivations for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and may interfere with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so instruc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when providing negative feedback. Mixed feedback with an effect similar to positive feedback could be an alternative.

고등학교 수학 교사 인식에 나타난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 차이 및 어려움 (Difficul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process-based assessment for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

  • 오서영;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239-256
    • /
    • 2022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행, 어려움 및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인천 지역 고등학교 수학 교사 6명을 대상으로 과정 중심 평가 경험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심층 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행에 대한 생각에 차이가 나타났고 평가 경험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교사들이 과정 중심 평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을 네 가지 차원의 제약(물리적, 교사의 전문성, 학교 문화, 사회 문화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안한다.

피드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지식의 탐구능력,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ssons adopting Portfolio Assessment regarding Feedback on Elema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Inquiry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 박희묵;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29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피드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지식, 탐구 능력,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자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시근교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2반을 선정하였다. 한반은 실험반으로 피드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다른 반은 비교반으로 피드백을 고려하지 않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이 반을 모두 가르쳤다. 연구 결과, 과학 지식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과학 지식의 하위 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피드백의 효과는 기억과 이해 영역에서 긍정적이었으나, 적용 영역에서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탐구 영역에서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문항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이 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인식에서 비교반보다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그러나 비교반 학생들은 자신의 포트폴리오 작품에 대한 인식과 피드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실험반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 PDF

청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편측 스테핑 운동이 편마비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lateral Stepping Exercise Combined with Auditory Feedback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 김현동;김영민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5
    • /
    • 2012
  • Background: Hemiplegic patients have the problems of the balance and weight shifting to the affected leg in walk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lateral stepping exercise combined with auditory feedback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the hemiplegic patients. Methods: Thirty hemiplegic patients were allocated in study group (n=15) or control group (n=15). General exercise and weight supporting exercise were conducted for the control group, and general exercises and unilateral stepping exercise combined with auditory feedback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group. Exercise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Berg Balance Scale (BBS),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and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OMA). Walking ability was measured by time up and go test (TUG), 10m walk test (10mWT), and six minutes walk test (6MWT). Results: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ere significant increased in both group (p<.05).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the study group were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s: Unilateral stepping exercise combined with auditory feedback is more effective than weight supporting exercise to increase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for the hemiplegic patients.

  • PDF

형성평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태도,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 이현주;최경희;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79-490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피드백을 강화한 형성평가가 과학학업 성취,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여자중학교 3학년 학급 중 4개반 133명을 대상으로, 2개 학급(66명)을 통제반으로, 나머지 2개 학급(67명)을 실험반으로 임의 배정하여, 수업처치에 들어가기 전 학습단원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 정도와 과학 학습에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형성평가 문항을 이용하여 약 9주간(23차시) 수업을 실시한 후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도 검사, 태도검사,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형성평가를 실시한 후 그 결과에 대해 자세한 피드백을 제공한 실험반이 정답만을 제시한 통제반에 비해 과학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더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실험반 학생들은 과학 학습 및 형성평가와 피드백에 대한 태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형성평가를 통한 피드백은 교사-학생간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마련하였으며, 학생들이 그들에 대한 교사의 관심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통해 교사-학생간에 상호 의사소통 및 교감이 가능함을 시사해 주었다.

  • PDF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 김유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13
    • /
    • 2017
  • 본 연구는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서 수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평가지와 함께 가정에 통보하는 평가 체제를 따르고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과 통합한 수학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수업과 통합한 역량 중심의 평가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역량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평가 결과의 환류가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의 평가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역량 간의 중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를 통해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수업과 연계하여 이를 단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 이와 관련한 실행적인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평가 방법의 사용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해 주지만 평가 결과의 차이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변증(辨證) 기반 진료수행시험(CPX) 시나리오를 이용한 역할극에 대한 학생 자가 평가의 일치도와 개선 방안 (Consistency of Student Self-Assessment of Role Play Using the Syndrome Differentiation-Bas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Scenario and Improvement Measures)

  • 조학준;조나영;박정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7-53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concordance between student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in a role play using th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scenario developed based on Korean medical syndrome differentiation.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rst-year-students majoring in Korean Medicine. The role play based on clinical case was performed in the class of Korean Medicine Classics. Feedback on clinical skill competency got through student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and this study was compared and analyzed of result. Results : A simpl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clinical skill competency may appear to be consistent.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discriminative ability in the evaluation of clinical skill competency.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a bit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cores on the items that students expect to respond differently among the evaluation items. In addition, in order to dramatically improve the systemic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of clinical skill competency itself,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CTKM) course. Conclusions : Student's self-assessment and peer-evaluation as feedback on clinical skill competency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구학교 보고서에 나타난 중학교 과학과 과정중심평가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ience Classes from the Research Middle School Reports)

  • 김종희;박지영;유난숙;주민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2-195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이 중학교 과학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학교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과정중심평가 운영 지표 또는 진단 도구를 제시한 6개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에 대한 분석 관점(수업과 평가의 통합, 평가 요소와 평가 방법, 피드백 내용과 시기, 학습자의 성장 관리)을 추출하였다. 그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운영한 7개 중학교의 과정중심평가 연구학교 결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과 평가의 통합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운영할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기반하여 수업과 평가 계획이 잘 구현되고 있었으며, 모든 보고서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평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요소와 평가 방법 측면에서는 지식에 대한 평가 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고, 역량을 계획 단계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수업 실행에서는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평가 방법은 교사 중심의 관찰 평가와 보고서 평가에 치우쳐져 있고, 각 평가 요소에 대해 채점 기준의 설정이 미흡했다. 피드백 내용과 시기 측면에서 피드백은 주로 성취도 확인 측면에서 제공하였으며 학습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비계를 적절한 시기에 제공한 사례는 찾지 못하였다. 학습자의 성장 관리 측면에서 과학 수업을 통해 함양된 역량은 생활기록부의 과목별 세부 특기사항에 기재하는 형태로 관리하고 있었으며, 학습자의 역량 성장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평가의 결과를 교사의 수업 개선에 반영하는 내용은 보고서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