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Land U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교통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7.04.25
  • Accepted : 2017.06.2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urbanization of Namyangju-Si from 2001 till 2008,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 of surrounding land u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cessibility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 of land use. Based on the result from correlation analysis, I simulated from the view point of interactions between agents of land use and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by using MAS. I tried to forecast, based on space, the change of surrounding land use caused by the change of accessibility. I conducted landscape analysis by using a land registration map. Also, I conducted GIS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simulation analysis of traffic data, land use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 of surrounding land u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cessibility. I could find out a certain pattern that new roads and railroads causes the within 500m adjacent land to change into urban land use, which led me to construct a system through which land use changing phenomenon can be expe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cessibility. It is expected that it can make the best use of selecting the location where new transportation facilities are constructed.

수도권의 도시화는 서울로의 교통 접근성의 변화에 따라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도시화 과정 속에 교외화, 주택 수의 증가, 도심용지 토지이용 증대 등의 다양한 공간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1~2008년 간 경기도 남양주시의 도시화 경관현상을 살펴보고 교통(도로 및 철도) 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상관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MAS)을 이용하여 교통접근성과 토지이용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교통접근성의 변화로 인한 주변 토지이용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예측하고자 한다.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위성영상 자료와 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거시적 미시적 경관 분석을 실시한 후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자료와 토지이용 자료를 활용하여 GIS분석 및 통계 분석,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신규 도로 및 철도가 생성됨에 따라 주변 500m 이내에서 도심 토지용지로 변경되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도로 및 철도가 생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토지용지 변화 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교통시설 입지 대상지역 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우, 강양석, 김광익, 김대영, 김세용, 김태환, ... 황기연. 2016. 도시의 이해. 박영사, p.9-10.(Kwon YW, Kang YS, Kim KI, Kim DY, Kim SY, Kim TH, ... Hwang KY. 2016. Understanding the city. Parkyoungsa, p.9-10.)
  2.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 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5):177-186.(Kim DO, Ryu YG, Choi HG. 2002. A Study on the Setting up Method of Subway Access/Egress Area by Walking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7(5):177-186.)
  3. 김훈희. 2001. 토지이용변화 확률에 따른 녹지 환경의 민감성 평가.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Kim HH. 2001. The Assessment of the Sensitiveness of the Forest Environment by the Probability of Land Use Change[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4. 원석환. 2010.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의 시.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Won SH. 2010.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change of urban land u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cessibility[thesis]. KyungHee University.)
  5. 원석환. 2010.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 변화의 시.공간적 분석. 공간정보학술대회 자료집. p.32-39(Won SH. 2010.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land use change by accessibility changes.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Conference. p.32-39)
  6. 이형동 .황철수. 2006.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변화와 시공간적 특성 분석: 고양시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지리학연구. 40(1):155-167.(Lee HD, Hwang CS. 2006. The spatio-temporal change of the land use pattern according to the substantial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 40(1): 155-167.)
  7. 황철수. 2008. 대단위 개발에 따른 토지이용변화의 공간 통계적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지리학연구. 42(4): 648.(Hwang CS. 2008. The application of spatial statistics for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followed by substantial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2(4): 648.)
  8. 황철수. 2010. 미시적 공간단위 자료를 활용한 토지이용변화 탐색. 국토지리학회지 지리학연구. 44(2): 229.(Hwang CS. 2010. Exploring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based on the small cadastral un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4(2): 229.)
  9. 환경부. 2002.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p.24-32.(Ministry of Environment. 2002. Mapping of Land Cover Map using Satellite Imagery Data. p.24-32.
  10. Antrop, M.. 2000. Background concepts for integrated landscape analysis. Ecosystems and Environment. 77(1-2):17-28.) https://doi.org/10.1016/S0167-8809(99)00089-4
  11. Tobler, Waldo.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234-240 https://doi.org/10.2307/143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