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idents' and School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Reading Cultural Center: Focusing on Gyeonggi-Do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 역할에 관한 지역 주민과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 조미아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허정희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수원 곡정초등학교)
  • Received : 2017.05.22
  • Accepted : 2017.06.1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of understanding residents' and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reading cultural center.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survey on the residents' in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Korea whose library is open to local community and conducted telephone interview with librarians in these school librarie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idents' perceived that reading cultural programs of school library are necessary and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on the currently running reading cultural programs. Moreover, the residents' perceived that the reading cultural programs had positive impact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Second, although librarian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cultural center, it was shown that school library was not providing diverse reading cultural programs due to budget insufficiency.

본 연구는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 주민과 학교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지역 사회에 개방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대다수는 학교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운영된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담당 사서는 지역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교육청. 2011. 경기도 학교도서관운영 및 독서교육 진흥 조례. [online]. [cited 2017.5.19]. .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011. Gyeonggido School Library Operate and Reading Education Promotion Ordinance [online]. [cited 2017.5.19]..)
  2. 교육기본법. 2007. [online]. [cited 2017.5.18]. . (.)
  3.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7.5.19]. .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nline]. [cited 2017.5.19]. .)
  4.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 지역개방의 문제와 발전적 원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7-31. (Kim, Jong-Sung. 2010. "A Study on the Problems and Principles of the School Library OpeningPolicy."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17-31.)
  5. 김지봉. 2007. 공공도서관 서비스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Kim, Ji-Bong. 2007. Study on the Management Plans of the Open-Style School Library forthe Expansion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Points. M.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of Education.)
  6. 김하정. 2011. 지역문화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개방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Kim, Ha Jung. 2011. A Study on the State of the Art and Improvement of Open School Libraryas Community Cultural Center. M.A.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7. 박시영. 2015. 지역사회 개방형 초등학교도서관 운영 실태와 이용자 만족도 분석: 경남지역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Park, Si-Young. 2015. Analysis of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to the Public in a Local Community and User satisfaction: Focusing on Gyeongnam.M.A.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8. 신지연, 김유승. 2012.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277-297. (Shin, Ji-Yeon and You-Seung Kim. 2012. "A Study on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Community: Focused on School Libraries in Gang-Nam Gu, Seoul." The Korean Biblia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3(1): 277-29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1.277
  9. 신한솔. 2013. 공공도서관 분관역할로서의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Shin Han-Sol. 2013.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are Open to Public. M.A. thesis. Hong-Ik University.)
  10. IFLA.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ition [online]. [cited 2017.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