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강명자, 이해정 (2003).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9(3), 305-314.
-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 권영란, 문영경 (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97-609.
- 김근면, 임지영, 김은주, 이용미, 황미희, 장정희 등 (2011). 신규간호사의 이직에 대한 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주관성 연구, 23, 163-182.
- 김미숙 (2014). 민간어린이집원장의 전직 원인과 민간어린이집 활성화 지원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배 (2014). 스포츠강사의 이직에 대한 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옥희 (2010).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 원인 및 해결방안에 관한 인식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설, 최윤경, 김문정 (2011). 보육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265-286.
- 김은숙 (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 김한용 (2010). 중소기업 핵심 종업원의 이직 결정 및 억제 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흥규 (1992). 주관성 연구를 위한 Q 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6(1), 1-11.
- 김흥규 (2008). Q 방법론: 과학 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희태, 이슬기, 김경희 (2014). 보육교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3(1), 137-157.
- 남미경, 박봉환 (2016, 11). 유아교사 이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생태유아교육학회 2016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 문동규 (2012). 보육교사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25-44.
- 문미선 (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소영 (2009).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영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보건복지부 (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5).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서지영 (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치원 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 신원식 (2014). 한국 직장인들의 이직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비판사회정책, 43, 275-301.
- 심숙영 (1999). 유아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5-22.
- 양안숙 (2008).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회, 12(4), 367-388.
- 유영설 (2014). 육상코치의 이직의도에 대한 태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9(2), 125-139.
- 유현숙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경준, 지경빈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정책적 시사점: 서울형 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71-197.
- 육은영 (2015). Q 방법론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은자, 이인자, 안정화 (2013).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태도: Q 방법론적 접근. 주관성 연구, 26, 57-69.
- 이명순 (2004). 유치원 이직에 관한 교사와 원장의 이야기. 영유아교육연구, 7, 49-67.
- 이승은, 서현 (2012). 자유선택 활동 후 정리정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분석: Q-방법론적 접근. 유아교육연구, 31(6), 51-74.
- 이은주, 양성은 (2012).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이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21-136. https://doi.org/10.7466/JKHMA.2012.30.2.121
- 이용교 (2010).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지혜 (2013). 어린이집교사의 이직 및 퇴직 배경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승렬, 권혜진 (2005). 이직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이직 동기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361-391.
- 전선영 (201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계숙, 윤갑정, 손환희 (2015). 부모-교사 파트너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Q-방법론의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9(2), 243-272.
- 정혜영, 이경화 (2014).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우울 및 소진의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3), 159-181.
-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 조형숙, 이경민 (2004).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영유아교사 양성체제 확립 방안. 유아교육논집, 8(4), 219-237.
- 차주경 (2011). 사립유치원 교사의 이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예린, 임원신 (2012).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사 중도 이직 경험과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6(5), 5-29.
- 최예슬 (2014).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결정 경험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아, 김미정 (2013). 교사에서 원장이 되는 과정에서의 이직 갈등.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25-50.
- 표갑수, 황영자 (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 한국교육개발원 (2011). 2011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부.
-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16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부.
- 홍춘자 (200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해익, 남미경 (2011, 5).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격 및 처우.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년 춘계공동 학술대회자료집 발표논문, 서울.
- Farrell, D., & Rusbult, C. E. (1981). Exchange variables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The impact of rewards, costs, alternatives, and investment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8(1), 78-95. https://doi.org/10.1016/0030-5073(81)90016-7
- Fleischer, B. J. (1985). Identification of strategies to reduce turnover among child care workers. Child Care Quarterly, 14(2), 130-139. https://doi.org/10.1007/BF01113406
- Iverson, R. D.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city of Iowa City, USA.
- Steel, R. P., & Ovalle, N. K. (1984).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4), 673-686. https://doi.org/10.1037/0021-9010.69.4.673
- Watts, S., & Stenner, P. (2014).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 방법론 연구의 실행(백평구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원판 2012).
Cited by
- 다시 현장으로 돌아간 한 유아교사의 사건화된 경험: 들뢰즈의 존재론에 기초한 후기 질적 연구 vol.39, pp.5,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