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Q 방법론적 분석

A Study on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 Methodological Approach

  • 박봉환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투고 : 2017.02.15
  • 심사 : 2017.06.08
  • 발행 : 2017.06.30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of turnover intention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ype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 This study has adopted the Q methodology as a method. first, open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101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incipals who work at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along with literature research,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Q samples(48 questions). Second, the Q sample was classified among the P sample and was comprised of 90 participants. Ninety early childhood teachers as P sample sorted the 48 Q statement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were identified as four-factor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ypes of turnover intention were interpreted as follows: 'The type of complex psychological conflict', 'The type of pursuit of social value', 'The type of dependence on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 type of realistic self-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ways for each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강명자, 이해정 (2003).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9(3), 305-314.
  3.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4. 권영란, 문영경 (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5.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97-609.
  6. 김근면, 임지영, 김은주, 이용미, 황미희, 장정희 등 (2011). 신규간호사의 이직에 대한 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주관성 연구, 23, 163-182.
  7. 김미숙 (2014). 민간어린이집원장의 전직 원인과 민간어린이집 활성화 지원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성배 (2014). 스포츠강사의 이직에 대한 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옥희 (2010).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 원인 및 해결방안에 관한 인식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설, 최윤경, 김문정 (2011). 보육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265-286.
  11. 김은숙 (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12. 김한용 (2010). 중소기업 핵심 종업원의 이직 결정 및 억제 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흥규 (1992). 주관성 연구를 위한 Q 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6(1), 1-11.
  14. 김흥규 (2008). Q 방법론: 과학 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5. 김희태, 이슬기, 김경희 (2014). 보육교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3(1), 137-157.
  16. 남미경, 박봉환 (2016, 11). 유아교사 이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생태유아교육학회 2016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7. 문동규 (2012). 보육교사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25-44.
  18. 문미선 (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소영 (2009).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백영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 보건복지부 (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3. 보건복지부 (2015).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4. 서지영 (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치원 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26. 신원식 (2014). 한국 직장인들의 이직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비판사회정책, 43, 275-301.
  27. 심숙영 (1999). 유아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5-22.
  28. 양안숙 (2008).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회, 12(4), 367-388.
  29. 유영설 (2014). 육상코치의 이직의도에 대한 태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9(2), 125-139.
  30. 유현숙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윤경준, 지경빈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정책적 시사점: 서울형 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71-197.
  32. 육은영 (2015). Q 방법론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윤은자, 이인자, 안정화 (2013).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태도: Q 방법론적 접근. 주관성 연구, 26, 57-69.
  34. 이명순 (2004). 유치원 이직에 관한 교사와 원장의 이야기. 영유아교육연구, 7, 49-67.
  35. 이승은, 서현 (2012). 자유선택 활동 후 정리정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분석: Q-방법론적 접근. 유아교육연구, 31(6), 51-74.
  36. 이은주, 양성은 (2012).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이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21-136. https://doi.org/10.7466/JKHMA.2012.30.2.121
  37. 이용교 (2010).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지혜 (2013). 어린이집교사의 이직 및 퇴직 배경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임승렬, 권혜진 (2005). 이직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이직 동기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361-391.
  40. 전선영 (201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계숙, 윤갑정, 손환희 (2015). 부모-교사 파트너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Q-방법론의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9(2), 243-272.
  43. 정혜영, 이경화 (2014).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우울 및 소진의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3), 159-181.
  44.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45. 조형숙, 이경민 (2004).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영유아교사 양성체제 확립 방안. 유아교육논집, 8(4), 219-237.
  46. 차주경 (2011). 사립유치원 교사의 이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최예린, 임원신 (2012).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사 중도 이직 경험과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6(5), 5-29.
  48. 최예슬 (2014).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결정 경험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은아, 김미정 (2013). 교사에서 원장이 되는 과정에서의 이직 갈등.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25-50.
  50. 표갑수, 황영자 (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51. 한국교육개발원 (2011). 2011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부.
  52.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16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부.
  53. 홍춘자 (200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황해익, 남미경 (2011, 5).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격 및 처우.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년 춘계공동 학술대회자료집 발표논문, 서울.
  55. Farrell, D., & Rusbult, C. E. (1981). Exchange variables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The impact of rewards, costs, alternatives, and investment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8(1), 78-95. https://doi.org/10.1016/0030-5073(81)90016-7
  56. Fleischer, B. J. (1985). Identification of strategies to reduce turnover among child care workers. Child Care Quarterly, 14(2), 130-139. https://doi.org/10.1007/BF01113406
  57. Iverson, R. D.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city of Iowa City, USA.
  58. Steel, R. P., & Ovalle, N. K. (1984).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4), 673-686. https://doi.org/10.1037/0021-9010.69.4.673
  59. Watts, S., & Stenner, P. (2014).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 방법론 연구의 실행(백평구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원판 2012).

피인용 문헌

  1. 다시 현장으로 돌아간 한 유아교사의 사건화된 경험: 들뢰즈의 존재론에 기초한 후기 질적 연구 vol.39, pp.5,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