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Influ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areer Maturity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정유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변상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7.04.05
  • Accepted : 2017.06.07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preliminary study to help prepare a career support program that combines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silienc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that end, a survey was executed on 345 female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one in the Southern area and one in Norther area of Kyunggi-do from March 6 through 20, 2017, and 33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using SPSS v.22.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income and school yea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influence career maturity. Thir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found to influence career maturity. Fourth, self-resilience was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maturity.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ce in that a career-maturity enhancing program combing all the factors mentioned herein can be served as useful information for universities and colleges which intend to offer such program to female students.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을 결합시켜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 6일 부터 3월 20일까지 진로지원센터를 운영하는 00도 00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34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33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수입과 학년은 진로성숙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대인관계능력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모두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도된 변인들을 결합시킨 진로성숙도 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를 지원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연,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 김현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 고용노동부, 2016 2월 고용동향, 2016.
  4.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pp. 191-215, 1997.
  5. Ramos-Sa'nchez and L. Nichols, "Self-efficacy of first generation and non firtst generation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college adjustment,"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Vol. 10, No. 1, pp. 6-18, 2007. https://doi.org/10.1002/j.2161-1882.2007.tb00002.x
  6. S. R. Asher, R. D. Renshaw, and S. Hymel, "Peer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In S. G. Moore. & C. R. Cooper(Eds.), The Young Child: Reviews of Research," Vol. 3, pp. 137-158, 1982.
  7. H. Thurman, The search for common ground, New York, Hamper & Row, 1971.
  8. G. A. Bonanno,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stoo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 American Psychology, Vol. 59, pp. 20-28, 2002.
  9. J. H. Block and P. F. Gierde,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Personality Antecedent, In J. Roff, A. S. Masten, D. Dicchetti, K, H, Neuchterlein, & S. Weintraub(Ed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0. 남기양,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 곽현, 대학생의 진로신념과 진로결정 자율성, 계획된 우연기술 및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2. 김규순, 대학생의 성격 특성과 직업선택이 진로 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3. 김은영,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 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4. 김희수, REBT를 중심으로 한 진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대인관계 능력, 진로태도 성숙,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5. 임주영, 윤경자,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만족도 및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 18, No. 3, pp. 113-130, 2013.
  16. 함윤정, 김용수,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 54, No. 4, 2015.
  17. 이복희,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8. 이수분, "여대생의 진로지향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Vol. 29, No. 2, pp. 49-68, 2016.
  19. 차희정, 학생의 진로대리학습에 따른 진로자기 효능감과 진로적응성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문승태, 박미하,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Vol. 25, No. 3, pp. 39-60, 2012.
  21. http://www.welfare24.net/ab-3124-149
  22. 이슬, 음악대학 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진로태도 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조연교,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활용이 진로태도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4. 이상희, 서유란, "한국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성차연구," 청소년상담연구, Vol. 20, No. 1, pp. 37-53, 2012.
  25. A. Bandura, "Recycling Misconceptions of Perceived Self-efficac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8, pp. 231-255, 1984. https://doi.org/10.1007/BF01172995
  26. D. G. Gardner and J. L. Pier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ithin the organization an context," Group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Vol. 23, pp. 48-70, 1993.
  27. 윤영애, "부모가 지각한 양육태도와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Vol. 16, No. 4, pp. 123-148, 2014.
  28. P. Yelsma, "Self-esteem and social respect within the high school,"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138, No. 4, pp. 431-442, 1998. https://doi.org/10.1080/00224549809600398
  29. W. C. Compton,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서은국, 김진주, 성민선 역(2007), 긍정심리학입문, 서울: 박학사, 2005.
  30. 김혜영,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1. 한현지,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2. M. J. Steven and M. A. Campion, "The knowledge, skill an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 17920, No. 2, pp. 503-530, 1994.
  33.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2.
  34. 권경미, 교양무용 참여 대학생을 위한 우울증 및 대인관계(성격장애)척도개발과 적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5. 유명란,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6. 박미경,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 체감 및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모형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7. 이상길, "담임교사와 대화공감도를 비롯한 학교 변인과 고교생의 진로정체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 18, No. 3, pp. 613-627, 2006.
  38. 박명신, 이희래, "여대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복지상담 교육연구, Vol. 3, No. 1, pp. 77-93, 2014.
  39. S. P. Shcelin and B. G. Guerne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40.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pp. 39-101, 1980.
  41. M. Rutter,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 57, No. 3, pp. 316-336, 1987.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42. 이조경, 백순희, "학대피해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6, No. 3, pp. 102-11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102
  43. N. Garmezy,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Vol. 56, pp. 127-136, 1983.
  44. E. C. Kolh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170, No. 5, pp. 1067-1079, 1996.
  45. E. L. Cowen, P. A. Wyman, W. C. Work, and G. R. Parker, "Test comparison among stress-affected, stress-resilient and non-classified 4th-6th grade urban childre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20, pp. 200-214, 1990.
  46. O. Atsushi, N. Hitoshi, N. Shinji, and K. Motoyuk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Vol. 35, pp. 57-65, 2002.
  47. D. E. Super,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 57, pp. 151-163, 1955.
  48. K. B. Hoyt, The School Counselor and Career Educatio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7.
  49. J. O. Crites, Manual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for Adults. Monterey, Calif: CTB/ McGraw-Hill, 1978.
  50. 김양희, 한국 여대생의 문화적 성향 잠재계층 분류와 진로관련변인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1. 노혁,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수준 연구," 청소년학연구, Vol. 13, No. 6, pp. 306-328, 2006.
  52. 주진석, 청소년의 직업가치가 진로성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3. 최영재,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전공만족도.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4. 남궁혁, 청소년의 진로성숙 및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5. 김형균,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6.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and P. 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No. 2, pp. 663-671, 1982.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57. 김아영, 차정은,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교육심리연구, Vol. 17, No. 2, pp. 25-43, 2003.
  58. 나성윤,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9. 서현석, 후기청소년의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후기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0.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1. 강명숙,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가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2.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3. 김말선,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4. 탁승현,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자기 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5. 소용준, 박준성,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취업진로학회, 제6권 제4호, 통권16호, pp. 23-44, 2016.
  66. 서우석,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 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제28권, 제4호, pp. 149-171, 2015.
  67. 금선미, 여대생이 지각한 희망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68. 이현아,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성격 5요인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9. 이보민,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0. 황윤진, 무용전공 여대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
  71. 정희영, 미용전공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2. 김동일, 남지은, 강민철, "중학생의 대인관계지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급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 1-22, 2015.
  73. 주희진, 조규판,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의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7권, 제8호, pp. 491-508, 2017.
  74. 김수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