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오복숙 (남부 건강가정지원센터) ;
  • 원유순 (파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 함승례 (군포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Received : 2017.04.27
  • Accepted : 2017.06.04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prove the meditating effect of aggress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negatively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positively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aggressions, bu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positively them. Third, while adolescents' aggression factors influenced negatively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adolescents' aggression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y also analyz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느끼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격성요인은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넷째, 공격성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는 및 대인관계 간에 있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운, 김지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 1041-105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041
  2. 이형진, 황동진,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청소년 휴대전화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1호, pp. 5-31, 2015.
  3. 강희경,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 326-33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326
  4. 안은미, 이지연, 정익중,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5권, 제1호, pp. 201-226, 2013.
  5.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경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4호, pp. 5-33, 2014.
  6. 노미화, 허미정, 최연실,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배려심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제33권, 제2호, pp. 119-134,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2.119
  7. 김수정, 정익중, "아동학대가 우울.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효과와 최신효과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43권, pp. 1-28, 2013.
  8. 김혜영, "보호관찰청소년의 비행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및 부모양육행동의 영향력," 한국아동복지학, 제10권, pp. 9-31, 2000.
  9. 전소영, 이정윤, "보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제33권, 제1호, pp. 185-200, 2011.
  10. 이일현, Easy Flow회귀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4.
  11. 송영주, "학업성적 만족도와 또래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후기 아동기와 초기 청소년기의 비교," 생애학회지, 제6권, 제3호, pp. 1-15, 2016.
  12. 이재성, 문영경, 최형임,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제21권, 제2호, pp. 233-246, 2012.
  13. 이정은, 배성만,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5 요인 성격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687-70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