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ction Research on Team-Based Learning Problem Solving Activity

팀 기반 학습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실행 연구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3.23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students' interest in team activities for problem solving, the effect of interest on it, and students' changes in perceptions and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 study reviewed documents prepared by students, such as work sheets, descriptive questionnaires, works and their photos, student activity photos and observation journals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 a problem solving team activity for making a model car was considered an interesting assignment by more than 90% of male/female students. The fact that female students could be more focused on this assignment than male students was discovered. Interest in the assignment not only had an influence on the points from the start (the blueprint) to the end (model cars completed based upon the designs) of problem solving, but also provided the traction power behind the assignment. Second, the problem solving team activity allowed the students to change their existing recognition (thoughts) while positively taking a lead or indirectly utilizing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including experiences of failure). Third, $2^{nd}$ graders in middle school had a tendency to solve problems in dependently rather than to receive help from others when they encountered problematic situations.

이 연구는 팀 기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흥미가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식변화 및 행동특성을 확인한 실행연구이다. 실행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학습 활동지, 서술형 설문지, 학생 작품 및 작품 사진 자료, 교사 관찰일지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팀 기반 문제해결 과제인 모형 자동차 만들기 활동은 90% 이상의 남/여학생에게 흥미 있는 문제해결 과제로 인식 되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문제해결 과제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과제에 대한 흥미는 문제해결 시작(설계도)부터 문제해결 종료(설계에 기반 한 완성된 모형자동차) 시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문제해결을 할 있도록 지원하는 견인력을 제공한다. 둘째, 학생들은 팀 기반 문제해결 활동을 통해 다양한 학습경험(실패경험 포함)을 능동적으로 주도하거나 간접적으로 제공받으면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자신의 인식(생각)을 변화 시킨다. 셋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문제해결 과정 중 어려운 문제 상황을 접하게 되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행동특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1998).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6호 [별책 10]. 서울: (주)대한교과서
  2. 교육인적자원부(2001). 기술.가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지학사.
  3. 김경일, 배진희, 이창완(2009), KLIWC를 사용한 남녀의 언어.심리적 특성 차이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1(3), 1307-1318.
  4. 류군, 김태훈(2009). 기술교과 설계 학습 활동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pp. 92-109.
  5. 류창열(2000). 기술교육원론. 충남대학교 출판부.
  6. 박수진(2015).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학습활동 추이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지. 21(4), 141-159
  7. 박윤정(2008). 프로그래밍 협동학습에서 친밀도에 따른 집단 구성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박주언(2006). 집단 구성에 따른 사회과 프로젝트 학습 효과 연구: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주호(2009). 실과(기술.가정)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심미자(2009). 팀기반학습(Team-Based Leaning)전략. 교육공학, 16(3), 57-60.
  11. 유재영.최준섭(2014).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이영민 외(2011). 공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모형 적용에 관한 형성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1-23.
  13. 이용숙(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4. 이형준, 조갑선(2004). 협동학습에서 집단 구성 방법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6, 409-421.
  15. 정문성(1999), 중학교 교실에서 협동학습 구조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시민교육연구, 28(1), 121-150.
  16. 조아라(2010).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학습 운영 방안 및 기대효과. 카토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7. 한국교유과정 평가원(2012), OECD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평가 도입에 따른 교육개선 방안. 2012 KICE 이슈페이퍼.
  18. Bryan K. Touchet, M.D., Kim A.Coon(2005). A Pilot Use of Team-Based Learning in Psychiatry.
  19. Cragin, J.(2004). Team-Based Learning in international situations. In L. K. Michaelsen, A. B. Knight, & L. D. Fink(Eds.), Team Based Learning. Sterling, VA: Stylus.
  20. Cruckshank, D. R., Gainer, D., & Metcalf, K. (1995). The act of teaching. New York, NY:McGraw-Hill, Inc.
  21. Davidman, L., & Davidman, P. T. (1994). Teaching with a multicultural perspective: A practical guide. White Plains, NY:Longman.
  22. Dennee, J.(1993). Developing a global perspective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clearing House, 66(6), 367-369. https://doi.org/10.1080/00098655.1993.11478605
  23.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mpany.
  24. Dewey, J(2010).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서울:과학교육사.
  25. EBS(2012). EBS 다큐프라임 놀이의 반란.
  26. Fink, L. D.(2004). Beyond small groups: harnessing the extraordinary power of learning teams. In L. K. Michaelsen, A. B. Knight and L. D. Fink(Eds.), Team-Based Learning: A transfomative use of small groups, (pp. 3-26),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
  27. Good, T. L., & Brophy, J. E. (1991). Looking in classrooms(5th ed.). New York, NY: HarperCollins Publishers.
  28. Herbart, J. F.(1913), Outlines of Educational Doctrine, Trans. Alexis F. Lange, N.Y, The Macmillan Company.
  29. Jae-Young, Yu.(2017). A Case Study on Problem-Solving Based on a Design Process in a Middle School Invention Class. Comtemporary Research in Technology Education(pp. 39-50)
  30. Jeffrey Carmichael(2009). Team-Based Learning Enhances Performance in Introductory Biology.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8(4), 54-61.
  31. Johnson, D. W., & Johnson, R. T.(1996).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American values: An appreciation. NASSP Bulletin, 80, 63-65. https://doi.org/10.1177/019263659608057911
  32. Manning, M. L., & Lucking, R. (1993). Cooperative leaning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The Clearing House, 67(1), 12-16. https://doi.org/10.1080/00098655.1993.9956007
  33. Michaelsen, L. K. (2004). Team-Based Learning in large classes. IN L. K. Michaelsen, A. B. Kingnt, & L. D. Fink (Eds.), Team-Based Leaning(pp. 153-168). Sterling, VA: Stylus.
  34. OECD(2012). PISA 2015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Second Draft. 34th meeting of the PISA Governing Board, 2012-10-29.
  35. Rottier, J., & Organ, B. J. (1991). Cooperative learning in middle-level schools. Washington, D. C.: National Educational Association.
  36. Slavin, R. E. (1985). 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Combi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 mathmatics. In R. E. Slavin, S. Sharan, S. Kagan, R. Hertz-Lazarowitz, C. Webb, & R. Schmuck(Eds.), Learning to cooperate, Cooperating to learn(pp. 177-209). New York: Plenum.
  37.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2nd ed.).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