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외 뉴테러리즘의 사례분석과 국내 발생가능 유형에 대한 연구

A Case Study of Recent New Terrorism and Potential Patterns in South Korea

  • 전용재 (동국대학교(서울) 경찰행정학과) ;
  • 이창배 (동국대학교(서울) 경찰행정학과) ;
  • 이승현 (동국대학교(서울) 경찰행정학과)
  • 투고 : 2017.11.15
  • 심사 : 2017.12.11
  • 발행 : 2017.12.31

초록

열망을 성취하기 위한 도구로 테러리즘은 인류의 역사와 공존해 왔고, 범죄학의 연구대상으로 발전하였지만, 기존의 연구는 대개 북한을 테러리즘의 주체로 한정하고 있어 국제적 테러리즘의 추세에 대한 심층적 논의가 미흡하다. 뉴테러리즘의 시대에 이르러 연성 목표물(soft target)이 테러리즘의 주요 대상이 되었고, 피해가 대규모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현상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학술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는 국외의 주요 테러리즘 사건에 대한 사례분석과 전문가 설문의 AHP 분석을 병행하여 뉴테러리즘의 특성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발생가능성 및 형태를 진단하였다. 분석결과 북한 사회불만세력이 사제폭발물 차량 드론 등의 수단을 활용하여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공격하는 테러리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결과에 따라 첫째 환경설계를 통한 다중이용시설 방호능력의 제고, 둘째, 직무교육의 정기화를 통한 사이버 감시단의 전문성 제고, 셋째, 드론의 등록기준 강화, 넷째, 급진화 억제정책의 일환으로 상담센터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예방 및 대응의 균형적 접근을 통해 테러리즘으로부터의 안전지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errorism has existed in the entire human history and has become a significant topic in criminology while prior studies has focused on North Korea as the perpetrator, and this prevents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international trends of terrorism. As soft targets are the main target of new terrorism and because we never ignore the significance of the consequences, there are needs for more studies on the topic.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f major terrorism attacks and surveyed professionals in the field via an AHP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errorism and its potential patterns in South Korea. As a result, we found that North Korea or the left-wing may utilize homemade bomb, motor vehicle or drone for the purpose of attacking multi-use facilities in South Korea. For policy implications, we insist developing a better CPTED approach on those facilities,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cyber-watchdog via more training and education, stricter control on drone permit, and operation of counseling centers for preventing radical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숙. (2016). 테러학. 인천: 진영사.
  2. 곽영길. (2009). 뉴테러리즘의 실태와 대응전략. 한국테러학회보, 2(1): 32-56.
  3. 권오국.김윤영. (2017). 국제사회의 테러리즘 동향과 국내 테러대응 체계 및 시사점 분석. 통일문제연구, 29(1): 161-197.
  4. 권정훈. (2010). 국제 테러리즘의 변화와 전망, 그리고 대안. 한국치안행정논집, 7(3):231-253.
  5. 권정훈. (2017a). 테러리즘과 대테러시스템의 재조명.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6. 권정훈. (2017b). 한국 대테러시스템 운영의 재모색.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1): 151-170.
  7. 김상범. (2002). 테러리즘의 발전 추세와 미래 양상. 국방연구, 45(1): 123-155.
  8. 김윤영. (2016). IS테러가 북한에 미치는 영향과 대남테러: 대한민국도 국제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월간북한, (529): 73-79.
  9. 김충호. (2017). 한국군의 뉴테러리즘 위협에 관한 대응방안 연구: 수도서울 테러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동균. (2011). 뉴테러리즘에 대비한 한국 민간경비의 정책과제. 2011년도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8): 277-289.
  11. 박재풍. (2011). 뉴테러리즘의 의미재정립과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8(1): 165-187.
  12. 박철현. (2010). 국내 자생테러 발생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슬람 자생테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1(4): 61-89.
  13. 송재형. (2003). 고전적 테러리즘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뉴 테러리즘 양상에 대한 연구. 군사학연구, 1: 113-154.
  14. 오세연.윤경희. (2015). IS테러단체의 공습확대에 따른 자국 내 테러방생 위험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2: 277-308.
  15. 오세연.윤경희. (2016). 자국내 IS 테러단체에 의한 소프트타깃 테러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7: 87-117.
  16. 유재두. (2013). 북한 테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테러학회보, 6(2): 72-96.
  17. 유형창. (2012). 국제화에 따른 한국내 자생테러 발생 가능성과 대응전략.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1): 125-155.
  18. 윤민우. (2014). 최근 국, 내외 테러 동향과 테러공격 방법에 대한 분석. 경찰학논총, 9(3):221-249.
  19. 윤민우. (2017). 해외 테러리즘 최근동향과 국내 테러발생 위험성 예측.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6(1): 123-158.
  20. 윤태영. (2014). 테러리즘과 대테러리즘. 경남대학교 출판부.
  21. 이만종. (2014). 테러리즘과 국가안보. 서울: 진영사.
  22. 이상호. (2016). 북한 사이버테러 양상과 대응책: 비대칭 전력으로의 활용 및 유의성. 월간북한, (531): 76-81.
  23. 이정훈.최인규.이민형. (2011). 쉬운 도시안전과 테러리즘. 서울: 청목출판사.
  24. 이제영. (2010). 북한의 테러 가능성과 법적 대응방안. 한국테러학회보, 3(2): 213-235.
  25. 이현경. (2003). 북한의 테러동향과 미국의 대테러 대북전략. 북한연구학회보, 7(1): 65-82.
  26. 장석헌.이대성. (2011). 한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테러리즘의 분석과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8): 153-179.
  27. 정육상. (2014). 북한의 대남테러 가능성과 경찰의 대응역량 강화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11(3): 139-164.
  28. 최선우.류채영.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1(1): 212-239.
  29. 한상암.박호현. (2016). 다문화 범죄의 테러발생 가능성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김하일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60: 361-387.
  30. 허경미. (2016). 자생테러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노르웨이 오슬로 및 보스턴 마라톤테러범을 중심으로. 경찰학논총, 11(4), 217-250.
  31. Counter Extremism Project. (2016a). Gemany: Extremism & Counter-Extremism.
  32. Counter Extremism Project. (2016b). France: Extremism & Counter-Extremism.
  33. Global Terrorism Index. (2017). Insititute for Economics & Peace.
  34. Hoffman, B. (2003). Al Qaeda, trends in terrorism, and future potentialities: An assessment. Studies in Conflict & Terrorism, 26: 429-442. https://doi.org/10.1080/10576100390248275
  35. NCTV. (2016). National Counterterrorism Strategy for 2016-2020.
  36. Newman, G. R. and Clarke, R. V., (2007). Policing terrorism: An executive's guide, The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 U.S. Department of Justice, 2007-CK-WX-K008.
  37. Precht, T. (2007). Homegrown Terrorism and Islamist Radicalization: From Conversion to terrorism. Danish Ministry of Justice.
  38. Saaty, T. L., & Vargas, L. G. (2001). The seven pillar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Models, methods, concepts &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pp. 27-46). Springer, U.S.
  39. Sandole, D. J. (2006). The Fog of War on Terrorism: US Policy, Deception, and the Continuing Slide into the Clash of Civilizations. ILSA Journal Int'l & Comp. L., 13, 149.
  40. Woo, G. (2016). Terrorism Insurance as Insurance against the Failure of Counter-Terrorism: ISIS Attacks in Paris and San Bernardino. RMS. pp.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