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교육이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개척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tics Education on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정웅열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17.04.14
  • 심사 : 2017.05.29
  • 발행 : 2017.05.31

초록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보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효율적인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인재상 중 하나가 진로 개척 능력을 가진 자주적인 사람임에 반해,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의 정보 교육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정보 교육이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개척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육은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인식 및 진로 탐색 능력을 향상시키고, 진로 선택 및 자기주도적인 진로 준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중학교 정보 과목의 이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 정보 교육의 필요성 및 정보 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educational effects and efficient education method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However, while the one of the human models specifi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cuses on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ability, research on Informatic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areer education is deficien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ormatics education 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bility and suggest implications. As a result, not the students' career recognition and career search ability, but also career choice and preparation also improved.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completion of the middle school Informatics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necessity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Informatics education research from the viewpoint of career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영준 (2015). 2015 개정 정보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준비.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3(2), 1-8.
  2. 이태욱․박정호․백선련 (2006). 컴퓨터교과교육론. 경기: 이한출판사.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0).
  4. 교육부 (2011).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0).
  5. 교육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추진계획. 교육부.
  6. 교육부 (2009).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7.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8. 한혜정 외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해설서 (중.고등학교)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교육과학기술부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3-7호 (별책 1).
  10. 교육과학기술부 (2013).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3-7호 (별책 1).
  11.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12. Barr, V. and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 48-54. https://doi.org/10.1145/1929887.1929905
  13. 유제순 외 (2015).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헤설서 개발 연구. 교육부.
  14. 김정현․박소영 (2012). 방과후학교정책의 학교교육 기능 강화 가능성 탐색. 교육정치학연구, 19(2), 1-21.
  15. 법제처 (2012).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 법제처.
  16. 김영순 (2012). 과학고의 교육과정과 조기졸업의 실태.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허재환 (2002).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관과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18. 이은경 (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교육부 (2016).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교육부.
  20. 최정원․이영준 (2014). 정보영재교육이 학습자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30(4), 295-312.
  21. 성태제 (2008).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2. 성태제․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3. Fraenkel, J. R., Wallen, N. E. and Hyun, H. H. (2010).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cuation. NY: McGraw-Hill.
  24. 유벙건․김자미․이원규 (20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4), 27-37.
  25. 박찬정․현정석․진희란 (2017). 문장구조중심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이해력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성별 및 추상적 사고수준별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6), 69-80.
  26. Wilson, B. C. (2010). A Study of Factors Promoting Success in Computer Science Including Gender Differences. Computer Science Education, 12(1-2), 141-164. https://doi.org/10.1076/csed.12.1.141.8211
  27. Papastergiou, M. (2008). Are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still masculine field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career choices. Computers & Education, 51(2), 594-608. https://doi.org/10.1016/j.compedu.2007.06.009
  28. 김슬기 (2016). 컴퓨팅 사고(CT)를 기반으로 한 SW 융합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 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