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reviewed the awareness of the military personnel as to job training executed in the Korean army and to figure out how this job training affects the military moral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study, 220 volunte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First,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status of-the-job education, the educational time marked 49.5% for 2-4 hours, the education of job capability development marked 77.7% for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the charged instructor of job training marked 56.8% for the education department. Second, in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job training on military morale, the recognition level of behavioral dimen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articipants' independe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cognitive dimen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articipants' independence, continuous learning culture, and educational level. Moreover, the emotional score increased with increasing learning culture and educational level. Third, an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job training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owed that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cultur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instructor's quality. Fourth, regarding the influences of military morale up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 Therefore, military morale improv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inducing individual development.
본 연구는 한국군에서 실시하는 직무교육에 대한 장병의 인식을 검토하고, 이러한 직무교육이 군사기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220명의 장병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직무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에서 교육 시간은 2-4시간이 49.5%, 교육은 내용은 직무능력개발 교육이 77.7%, 직무교육 담당강사는 교육부서 56.8%로 조사되었다. 둘째, 가설 1. 직무교육이 군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참가자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행동적 차원의 인식 수준이 높아졌고, 참가자의 자율성, 지속적 학습문화,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인지적 차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아울러 학습문화와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차원이 높아졌다. 셋째, 가설 2. 직무교육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 동기와 학습문화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의 정도가 높아졌고, 강사 자질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졌다. 넷째, 가설 3. 군사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행동적 차원, 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사기는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고 개인의 발달을 유도하는 중요 요인임을 다시 한번 검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