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대학생의 권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습권 및 노동권의 측면에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ights of Students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 투고 : 2016.12.06
  • 심사 : 2017.01.31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실습생으로서의 권리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습권 및 노동권 관점에서 이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인터뷰(FGI)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 19명의 실습생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권리인식은 총 5개의 범주 및 18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및 실습기관은 실습생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거나 미흡하였다. 둘째, 실습참여 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훈련생이자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실습생들은 훈련생으로서 적절한 지도와 교육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실습생들은 현장에서 실질적인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보상 및 안전문제 노출시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해 불안함과 부당함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실습생의 권리보호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실습기관 및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학생들의 권리보호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rights of students who are unde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s trainees,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in particular. This study utilized FGI method, and a total of 18 trainees participated. As a result, awareness of students who joined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as reduced to five categories in total and 19 sub-categories. The results is as following. First, social work field trainees did not aware of their rights. Second, the field trainees were taking the role with double positions as a trainee and a worker, and experiencing confusion and difficulties thereof. Third, they were not provided proper instructions as trainees, and feeling burden therefrom. Fourth, even though the students were providing actual labor at the field, they felt anxiety and unfairness because they were not properly protected when they were faced with issues regarding reasonable reward and safety. Fifth, due to such difficulties, students were demanding that field organizations and schools make positive efforts to improve awareness about protection of the rights. Based on such results, offered basic data for field training improvement plans and intended to explore alternative plans for improvement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숙, 2011,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이 인지하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습 수퍼비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8: 169-195.
  2. 강철희.최소연, 2005,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현황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2): 51-79.
  3. 강희숙.강신옥.안우상.이환복.조경미, 2008,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습경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4: 175-196.
  4. 고용노동부, 2016, "일경험 수련생에 대한 법적 지위 판단과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고용노동부 정책자료집.
  5. 국가인권위원회, 2006,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실습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연구보고서.
  6. 권혁, 2016, "전공의에 대한 노동법적 지위와 보호방식에 대한 소고: 대전고법 2014.11.26., 2013나11186 판결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47: 121-145.
  7. 김기태.양옥경.홍선미.박지영.최명민, 2005, "한국 사회복지실천 교육모델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19-67.
  8. 김미옥.장수미.정익중.전종설.심정원, 2014, "오래된 문제, 또 한번의 시도 : 사회복지실천론과 기술론 교육에 관한 교수 및 현장전문가의 인식", 사회복지연구, 45(4): 89-119
  9. 김선영.서원경, 2008,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아동학회지, 31: 135-150.
  10. 김수정, 2014, "사회복지 노동권 확보모색 방안을 위한 FGI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2): 135-150.
  11. 김순례.이종은, 2005,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98-106.
  12. 김승용.박은주, 2012, "사회복지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7: 1-26.
  13. 김종진, 2013, "사회복지사 노동인권 무엇이 문제인가", 월간복지동향, 18(2): 51-54.
  14. 노지영, 2016, "임상실습에서 간호학생의 피로경험", 인문사회21, 7(3): 346-361.
  15. 노혜련.주석진.이혜진, 2010, "학교사회복지 실습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교육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18: 1-28.
  16. 노호창, 2014, "무급인턴의 법적지위와 보호방안에 대한 검토", 노동법논총, 32: 139-165.
  17. 박근혜.김은정.배은경, 2015, "사회복지 현장실습 수업참여 학생들의 액션러닝에서의 경험과정 연구", 청소년학 연구, 22(12): 27-55.
  18. 박성제, 2011, "영상취재요원(VJ)의 근로자성: 대법원 2011.3.24. 선고2010두10754 판결", 노동법학 39: 403-406.
  19. 박종엽.이효선, 2009, "수퍼비전 체계속에서 수퍼바이저와 실습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실습생의 실습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4): 5-40.
  20. 박지영.심경순.최말옥, 2009, "부산지역 사회복지 현장실습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143-169.
  21. 배진형.김희수.안정선, 2014,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실습생의 어려움과 대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8: 1-43.
  22. 순덕기,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심경순, 2013,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3(5): 311-321.
  24. 양옥경, 2005,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 97-127.
  25. 유태균.이선혜.서진환 역, 2004,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Sherman, Edmund, and Reid, W. J., 1994, 서울: 나남출판.
  26. 이경재, 2011,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 복지연구, 8(2): 5-31.
  27. 이경아.서홍란, 2011, 사회복지현장실습대학생 현장실습조사 결과, 고양: 공동체.
  28. 이무성, 2015, "현장실습 참여학생에 대한 산재시 법적인 성격", 법학연구, 26(2): 335-368.
  29. 이봉주.강홍구.최명민, 2011, 사회복지 교육과정 및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30. 이정미, 2016, "대학생 현장실습조사 결과", 2016 국정감사보고자료.
  31. 장우찬, 2013, "무보수 노무공급계약으로서의 교육훈련계약 인정 문제 : 대전 지방법원 2012. 9. 5. 선고 2012나8688 판결". 노동법학, 45: 469-473.
  32. 장우찬, 2016, "무보수 노무공급관계에 대한 노동법적 검토-무급 인턴의 법적 보호 방안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6(2): 335-368.
  33. 장수미,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 수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235-255.
  34. 장혜경.유영준, 2008,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5: 273-297.
  35. 정수경, 2004,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327-355.
  36. 정무성‧조해영, 2009, "사회복지전공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93-118.
  37. 정윤희.이경희, 2016,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391-399. https://doi.org/10.14400/JDC.2016.14.3.391
  38. 정종화.김욱진.김제선.김혜성.박영란.전석균, 2013, "한국사회복지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 23: 1-37.
  39. 정필운, 2009, "교육영역에서 당사자의 권리, 의무, 권한에 대한 헌법이론적 고찰", 법학연구, 19(3): 283-312.
  40. 정혜영, 2003,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0(3): 277-294.
  41. 조해영, 2009,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주영애, 2007,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실습생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진재문, 2014, "사회복지정책 교육의 진단 및 개선과제", 비판사회정책, 42: 212-248.
  44. 최명민.문순영.김승용, 2005, "대학 사회복지실습교육 모델(TOP-A)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2: 33-53.
  45. 통합입법예고센터, 2017, http://www.lawmaking.go.kr/lmSts/orLmPp/32876, 2017. 1. 25. 최종방문.
  46. 표갑수‧김현진, 2009, 사회복지 실습지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지역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10: 171-191.
  47.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3, 표준실습교육매뉴얼.
  4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역, 2011, 취업을 위한 학습, OECD., 2010, "OECD Review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earning for Jobs",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9. 한주빈, 2011,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학교요인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한주빈.오혜경.오봉욱, 2010, "사회복지실습생의 현장실습 평가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실습생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12: 147-171.
  51. 홍선미.최명민, 2010, "사회복지교육 실태진단 및 사회복지교육의 질관리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1-31.
  52. 홍순혜.조성심.안정선.방진희.엄경남, 2013,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24: 197-218.
  53. Gisela Dybowski, 2014. "독일직업훈련의 효율과 특성", 국제노동브리프, 12(5): 4-17.
  54. Harper, Michael C. 2015. "미국 무급 인턴제에 관한 규제", 국제노동브리프, 13(12): 4-11.
  55. Gelman, C. R, 2004, "Anxiety experienced by Foundation-year MSW Students entering Field Placement: Implications for Admissions, Curriculum, and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40(1): 39-54. https://doi.org/10.1080/10437797.2004.10778478
  56. Wentling, R.M. and Waight, C.L, 2000, "School and workplace initiatives and other factors that assist and support the successful school-to-work transition of minority youth",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7(2): 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