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of Instruction Helping 8th Grade Students Discover the Power Laws and its Application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지수법칙 발견을 위한 교수 설계 및 적용

  • Received : 2017.03.28
  • Accepted : 2017.05.15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By designing and applying the lesson helping to discover the power laws,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lass. To do this, we designed a discovery lesson on the power laws and applied to 54 8th grade students. As results, we could observe the overproduction of monotonous laws, tendency to vary the type of development and increase error to students without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various errors. All participants failed to express the generalization of $a^m{\div}a^n$ and some participants expressed an incomplete generalization using variables partially for the base or power. We could also observe an error of limited generality or a representation error which did not use the equal sign or variables. In the survey of students, there were two contradictory positions to appeal to the enjoyment of the creation and to talk about the difficulty of creation. Based on such results, we discusse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relating to the discovery of power laws.

본 연구는 학생의 지수법칙 개발을 골자로 하는 교수법을 설계 및 적용해봄으로써 수업의 실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5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지수법칙에 대한 발견식 수업을 계획하여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지수법칙 사례 개발측면에서는 단조로운 법칙의 과다 생산, 선행학습의 경험이 없는 학생일수록 개발 유형이 다양하며 오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 여러 형태의 오류 등을 목격할 수 있었다. 법칙의 일반화와 표현 측면에서는 $a^m{\div}a^n$ 유형의 일반화 표현에 모두 실패하였으며, 밑이나 지수 중 하나만 문자로 일반화한 표현이 적지 않게 등장하였다. 또한 일반성이 제한된 오류나 변수와 등호를 사용하지 않은 표현 오류를 접할 수 있었다. 수업의 설문에서는 창조의 막연함을 호소하는 입장과 창조의 즐거움을 이야기하는 상반된 두 입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지수법칙 발견과 관련한 교수학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 외 12명(2013). 중학교 수학 2. 서울: 교학사.
  2. 김대성(2005). 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이 학습과제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세경(2009). 학습과제 유형에 따라 귀납적 발견학습과 연역적 발견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식.우정호.박영배.박교식(1997). 수학교육학 용어 해설 (6). 수학교육학연구, 7(1), 475-484.
  5. 김윤숙(2001). 수학과 도형 학습에서 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의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동(2011). 발견학습과 설명학습의 비교에 따른 학습지도연구 - 미분단원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도종훈.박윤범(2011).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유리수 지수 $a^{\frac{n}{m}}$의 정의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 50(1), 61-67.
  8. 손용일(2003). 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이 학업적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항균 외 6명(2013). 중학교 수학 2. 서울: 지학사.
  10. 이강섭 외 10명(2013). 중학교 수학 2. 서울: 미래엔.
  11. 이미복.양성호(1995). 지수법칙의 지도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 12, 77-90.
  12. 이병수(2012). 실수계의 공리를 이용한 지수 $a^r$의 학습과 지도.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8(2), 159-172. https://doi.org/10.7858/eamj.2012.28.2.159
  13. 이헌수.김영철.박영용(2013). 무리지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오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3), 583-600.
  14. 이헌수.박형빈.배강수(2011). 무리 지수를 갖는 수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오류. 수학교육논문집, 25(2), 323-339.
  15. 이홍우(2000). 증보교육과정탐구. 서울: 박영사.
  16. 정아름(2000). 컴퓨터를 활용한 발견학습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1학년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영기(2000). $(-8)^{\frac{1}{3}}$에 내재된 수 체계 확장의 의미와 오류해석. 수학교육, 39(2), 145-150.
  18. 황선욱 외 8명(2013). 중학교 수학 2. 서울: 좋은 책 신사고.
  19. Bruner, J. S. (1961). The act of discovery. Harvard Educational Review, 31, 21-32.
  20. Bruner, J. S.(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NY: W. W. Norton.
  21. Freudenthal, H.(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22. Lefrancois, G. R. (1997). Psychology for teachers (9th ed). Belmont, CA:Wadsw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