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Learning Module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ies on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ual Change about Tide

인지갈등 전략을 적용한 학습모듈이 중등과학 예비교사의 조석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3.09
  • Accepted : 2017.04.10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isconceptions of tide and to develop a learning module that can change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concep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arning module for conceptual chan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test tool of tidal phenomena and the learning module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rst year students who majored science education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various misconceptions about tidal phenomena. Second, the developed learning module was effective in changing misconceptions about tid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to scientific concepts. However, some students had misconceptions about tidal phenomena after learning the developed module. The typical misconception was that they could not distinguish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earth and the moon revolve about the center of common mass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earth's rotation. And they did not know that they should not consider the earth's rotation while the earth was revolving around the center of common mass.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 예비교사들의 조석 개념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고, 오개념을 과학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학습모듈을 개발하여 개념변화에 미치는 학습모듈의 효과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석 개념 검사지와 인지갈등 전략을 적용한 조석 개념 학습모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사범대학 과학교육 전공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과학 예비교사들은 조석 현상에 대하여 다양한 오개념을 갖고 있었다. 둘째, 개발한 학습모듈은 중등과학 예비교사들의 조석에 대한 오개념을 과학개념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모듈의 학습 후에도 조석에 대한 오개념을 갖고 있었다. 그중 대표적인 오개념은 지구와 달이 공통질량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공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지구 자전에 의한 원심력과 구별하지 못하는 것과 지구가 공통질량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안 지구의 자전을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2. 국동식(1991). 대기압, 조석, 계절변화 대한 학생의 개념과 학년 간 이해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박사학위 논문.
  3. 권선희(2009).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조석에 관한 대체개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기숙(2006).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조석 관련 개념에 대한 면담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영신(2008). 고등학교 3학년들의 조석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유미(1998). 중학생의 수업 전.후의 조석 개념 변화. 과학교육연구논총, 14, 87-98.
  7. 김은지(2004). 제7학년 과학의 조석현상 학습을 위한 교재개발과 적용.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효남(1990). 국민학교 아동의 과학개념에 대한 실태 조사 및 교정을 위한 방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2), 11-24.
  9. 손준호(2015). 초등학생들의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 유형과 수업 방법의 제안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89-30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89
  10. 이기영(2006).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의 국면 분석을 통항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조석에 관한 정신모형 탐색.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1), 252-260.
  11. 전현정(2001). 자연 현상에 대한 중학생들의 과학적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Duschl, R., & Gitomer, D. (1991). Episemological perspectives on conceptual chang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839-858. https://doi.org/10.1002/tea.3660280909
  13. Feral, O. B. (2007). Effects of model-based teaching on pre-service physics teachers' conceptions of the moon phases, and other lunar phenome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5), 555-593. https://doi.org/10.1080/09500690600718104
  14. Garrison, T. S. (2010). Oceanography: An invitation to marine science(7th ed). Boston: Cengag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