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patial Augmented Reality-based CCA for the Improvement of Traditional Sports Climbing Lessons

전통적인 스포츠 클라이밍 수업 개선을 위한 공간증강현실 기반 CCA 적용 효과 검증

  • 허명현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소재융합학과) ;
  • 이은영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소재융합학과) ;
  • 김동호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소재융합학과)
  • Received : 2017.01.18
  • Accepted : 2017.03.06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Sports climbing requires repeated movements within a limited space, which may cause climbers to lose their constant interest in it.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coaches should give lessons focusing on demonstrations to make sure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the movements on their own, However, in traditional sports climbing lessons, they give instructions on almost every movement of learners' hands and feet. Hence, there have been constant calls for replacing these existing sports climbing lessons and presenting new methods to ensure that learners can observe their coaches' demonstrations in real time and emulate them. An introduction of the image training using spatial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to solve these problems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motor skills and attitudes toward lesson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imbing Character Animation (CCA) as a learning tool for sports climbing.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it applied it to actual sports climbing to verify its utility.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lessons using spatial augmented reality-based CCA had a higher effectiveness than traditional sports climbing lessons in the degree of interest inducement, emersion and learning effects.

스포츠 클라이밍은 한정된 공간에서의 반복된 동작으로 인해 지속적인 흥미 유발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지도자는 시범 동작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존의 스포츠 클라이밍 수업은 지도자가 손과 발의 위치를 일일이 가리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스포츠 클라이밍 수업 방식을 대체하여 학습자가 시범 동작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그대로 따라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꾸준하게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 트레이닝 한다면 학습자의 운동기능 향상 및 수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클라이밍 학습 도구로서 CCA(Climbing Character Animation)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CA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스포츠 클라이밍에 적용했다. 그 결과 공간증강현실 기반 CCA를 이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스포츠 클라이밍 수업보다 흥미도, 몰입 및 학습효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R. Kajastila and P. Hamalainen, "Augmented climbing: interacting with projected graphics on a climbing wall," CHI '14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Toronto, Ontario, Canada, pp.1279-1284, 2014.
  2. 배재한, 노기영,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게임의 학습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8권, 제2호, pp.103-111, 2015.
  3. M. Billinghurst, R. Grasset, and J. Looser, "Designing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SIGGRAPH Computer Graphics, Vol.39, No.1, pp.17-22, 2005. https://doi.org/10.1145/1057792.1057803
  4. R. A. Magill and D. I. Anderson, The roles and uses of augmented feedback in motor skill acquisition, London: Routledge, 2012.
  5. G. Wulf, C. Shea, and R. Lewthwaite, "Motor skill learning and performance: a review of influential factors," Medical Education, Vol.44, No.1, pp.75-84, 2010.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9.03421.x
  6. R. Sigrist, G. Rauter, R. Riener, and P. Wolf, "Augmented visual, auditory, haptic, and multimodal feedback in motor learning: A review,"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Vol.20, No.1, pp.21-53, 2013. https://doi.org/10.3758/s13423-012-0333-8
  7. A. W. Sheel, "Physiology of sport rock climbing,"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38, No.3, pp.355-359, 2004. https://doi.org/10.1136/bjsm.2003.008169
  8. 대학산학연맹, 산악연감, 대학산악연맹출판사, 2012.
  9. 이기은, 양해술, "ICT 학습을 활용한 이미지 트레이닝이 운동기능 향상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837-2845,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10.2837
  10. 이재운, 전석, 김동호, "디지털 퍼포먼스에서 신체, 디지털 분신 그리고 통합된 세계의 관계-배우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션 매핑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6권, 제5호, pp.439-450, 2015.
  11. C. Y. Wang, W. J. Hwang, J. J. Fang, C. F. Sheu, I. F. Leong, and H. I. Ma, "Comparison of virtual reality versus physical realit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parkinson's disease: effects of moving targe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2, No.8, pp.1238-1245, 2011. https://doi.org/10.1016/j.apmr.2011.03.014
  12. 김하경, 이유경, "스포츠 클라이밍 교육을 위한 루트 파인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273-277, 2013.
  13. M. Liljedahl, S. Lindberg, and J. Berg, "Digiwall: an interactive climbing wall," Proceedings of the 2005 ACM SIGCH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er entertainment technology, Valencia, Spain, pp.225-228, 2005.
  14. C. Y. Choi, "A study of converting FK animation data to IK animation data for efficient animation editing,"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Vol.3, No.1, pp.109-126, 2007.
  15. 손영, 또래 교수의 집단 구성 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과학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5.
  16. 석임복, 강이철,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21-154, 2007.
  17. E. Horst, Learning to Climb Indoors, Falconguides, 2012.
  18. 백현기, 한상훈, 최은하, 김수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태도요인이 학습흥미도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735-749, 2008.
  19. 김정현, 계보경, 서진석, 김남규, 정선미, 이예하, 고범석,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반의 체험형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20. 류지헌, 조일현, 허희옥, 김정현, 계보경, 고범석, 증강현실 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1. 서희전,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습성취도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pp.137-165, 2008.
  22.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1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2.001
  23. R.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6, No.4, pp.355-385, 1997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24. 장상헌, 계보경,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제5권, 제2호, pp.79-85, 2007. https://doi.org/10.20924/CCTHBL.2007.5.2.079
  25. 김동규, 김기빈, 김영갑, "기계체조 학습에서 애니메이션 방식을 통한 CAI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8권, pp.953-961, 2002.
  26. C. J. Ziemer, J. M. Plumert, J. F. Cremer, and J. K. Kearney, "Estimating distance in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Does order make a difference?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Vol.71, No.5, pp.1095-1106, 2009. https://doi.org/10.3758/APP.71.5.1096
  27. Y. H. Chou, R. C. Wagenaar, E. Saltzman, J. E. Giphart, D. Young, R. Davidsdottir, and A. Cronin-Golomb, "Effects of optic flow speed and lateral flow asymmetry on locomotion in younger and older adults: a virtual reality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4, No.2, pp.222-231, 2008. https://doi.org/10.1093/geronb/gbp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