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groindustrialization in the era of Free Trade Agreements: A case of kiwi fruit contract farming

자유무역협정 시대 농산업화 사례 연구: 키위 계약생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지수 (호서대학교 글로벌통상학과)
  • Received : 2017.10.19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oles and effects of FTAs (Free Trade Agreements) in agroindustrialization, and to navigate its implication for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utilization of FTAs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 paper, in particular, is based on a case of contract farming, which has often referred as the key factor of agroindustrialization. By doing this, this paper has the importance academically in enhancing the study of FTA utilization to the study of agroindustrialization, and practically in exploring the implication for the FTA implementation policy that provides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issues of agriculture secto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ighlighted that the role of government that intermediates, monitors, and controls the equal and the fair relationship between the agribusiness firms and farms is essential for the further progress of agroindustrialization under the keen competition created by FTAs.

이 글은 FTA 활용이 우리 농산업화에 갖는 의미를 살피고, 농업분야 FTA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농산업화의 핵심인 농기업과 지역농가 간의 계약생산의 실 사례를 살피는 사례연구로서 학문적으로는 FTA 활용에 대한 논의를 농산업화 연구까지 확장하는 의의가 있고, 실천적으로는 우리 농업분야 과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FTA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FTA로 인해 유발된 경쟁 속에서 농산업화가 진전을 이루기 위해 농기업과 농가 간 평등하고 공정한 관계 형성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조정과 지원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