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장지연, 부가청, "우리나라 중.노년 인구의 건강 상태-주관적 건강상태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인구학, 제30권, 제2호, pp.45-69, 2007.
- 한국건강형평성학회, 건강형평성 측정 방법론, 도서출판 한울, 2008.
- E. Van Doorslaer and A. M. Jones, "Inequaliti es in Self-reported Health: Validation of a new Approach to Measurement," J. of Health Economic, Vol.22, No.1, pp.61-87, 2003. https://doi.org/10.1016/S0167-6296(02)00080-2
- M. Jylha, "What is Self-rated Health and why does it predict Mortality towards a unified conceptual Model,"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69, No.3, pp.307-316, 2009.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9.05.013
- 이인정, "노인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건강,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 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5-50, 1999.
- 최영, "가구형태에따른노인의건강상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123-149, 2005.
- 정연, 조영태, 오주환, "소득수준이 주관적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대별 차이: 2001, 2005년 서울시민보건지표조사 자료의 분석결과," 예방의학회지, 제40권, 제5호, pp.381-387, 2007.
- 전경숙, 장숙랑, 이선자, "노인의 장애 및 주관적 건강의 남녀차이와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 예방의학회지, 제42권, 제3호, pp.199-207, 2009.
- 박보현, 정민수, 이태진, "Associations of Inco me and Wealth with Health Status in the Korean Elderly," 예방의학회지, 제42권, 제5호, pp.275-282, 2009.
- 이성희, "대구시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13-124, 2012. https://doi.org/10.5932/JKPHN.2012.26.1.113
- 이미애, 김대철,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요인 및 건강행태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7-49, 2013. https://doi.org/10.7856/kjcls.2013.24.1.37
- M. Borenstein, L. V. Hedges, P. T. Higgins, and H. R. Roth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A Jon Wiley and Sons, 2009.
-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 K. Shibuya, H. Hashimoto, and E. Yano, "Indivi dual Income, Income Distribution, and Self Rated Health in Japan: cross Sectional Analysi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4, No.7328, pp.16-19, 2002. https://doi.org/10.1136/bmj.324.7328.16
- N. Kondo, G. Sembajwe, I. Kawachi, R. M. van Dam, S. V. Subramanian, and Z. Yamagata, "Income Inequality, Mortality, and Self-rated Health: Meta-analysis of Multi-level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Vol.339, pp.1-9, 2009.
- 우해봉, 윤인진, "한국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지위의 차이," 보건과 사회과학, 제9권, pp.66-107, 2001.
- 이미숙, "고령화 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제 25권, pp.5-32, 2009.
- M. Sverke, J. Hellgren, and K, Naswall, "No Security: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Job Insecurity and its Consequences," J.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7, No.3, pp.242-264, 2002. https://doi.org/10.1037/1076-8998.7.3.242
- 정혜주, Carles Muntaner, EMCONET Network, "고용관계와 건강불평등: 경로와 메커니즘에 관한 탐색," 한국사회정책, 제18권, 제3호, pp.245-287, 2011.
- 박진욱, 한윤정, 김승섭, "고용형태의 변화에 따른 건강불평등," 예방의학회지, 제40권, 제5호, pp.388-396, 2007.
- 전해옥, 김옥수, "직업유무에 따른 노인의 건강 상태, 수면 및 우울의 비교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203-1211,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3.1203
- 안옥희, 이종화,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86-290, 2008.
- 전해숙,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5권, 제2호, pp.35-53, 2012.
- 이정숙, 이인수,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제27권, pp.231-253, 2005.
- 김승곤,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노인복지연구, 제28권, pp.187-206, 2005.
- M. G. Taylor, "Timing, Accumulation, and the black/white Disability Gap in later Life," Research on Aging, Vol.30, No.2, pp.226-250, 2008. https://doi.org/10.1177/0164027507311838
- M. G. Taylor, "Capturing Transitions and Trajectories: the Role of Socioeconomic Status in later Life Disability," J.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5, No.6, pp.733-743, 2010.
- S. Haas and L. Rohlfsen, "Life Course Deter minants of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functional Health Trajectori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70, No.2, pp.240-250, 2010.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9.10.003
- E. Grundy and G. Hol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older Adults: how should we measure it in Studies of Health Inequalities?," J.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55, pp.895-904, 2000.
-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 C. Segrin and S. A. Passalacqua, "Functions of Loneliness,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s, and Stress in Association with poor Health," Health Communication, Vol.25, No.4, pp.312-322, 2010. https://doi.org/10.1080/10410231003773334
- 강혜원, 한경혜, "부정적 가족 생활사건, 배우자 지지와 정신건강-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8호, pp.55-68, 2005.
- 남은우, Ikeda, Green, 문지영, 박명배, "Determi nant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Healthy City Wonju, Republic of Korea,"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5권, 제5호, pp.65-77, 2008.
- A. Ritsatakis, "Equity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t a City Level,"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24(suppl 1), pp.i81-i90, 2009. https://doi.org/10.1093/heapro/dap058
- 고영미, 조영태,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 노인 간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인 차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0권, 제2호, pp.41-53, 2013.
- 김동배, 유병선, 이정은, "노인의 건강불평등: 교육불평등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대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1호, pp.117-142, 2012.
- 송미숙, 송현종, 목진용, "경로당 등록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제23권, 제4호, pp127-142, 2003.
- P. Braveman, "What is Health Equity: and how does a Life-Course Approach take us further toward it?,"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Vol.18, No.2, pp.366-372, 2014. https://doi.org/10.1007/s10995-013-1226-9
- P. McDonough and V. Walters, "Gender and Health: Reassessing Patterns and Explanation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52, No.4, pp.547-559, 2001. https://doi.org/10.1016/S0277-9536(00)00159-3
- 강혜원, 조영태,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4호, pp.164-201, 2007.
- 강이주, 이영애,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6호, pp.1031-1044, 2010. https://doi.org/10.5934/KJHE.2010.19.6.1031
- 차승은,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차이: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371-392, 2007.
-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 제42권, 제3호, pp.86-118, 2008.
- 임소영, 강민아, 조성일,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281-308, 2013.
-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 M. W. Lipsey and D. B. Wilson, Practical Meta-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1.
- 이제영, "메타분석을 통한 영어 교과에서의 문법 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743-75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43
- 김지영, 김정렬, "영어 동화를 활용한 읽기 교육의 효과성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741-75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741
- A. M. Aloe and C. G. Thompson, "The Synthesis of partial Effect Sizes," J. of the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Vol.4, No.4, pp.390-405, 2013. https://doi.org/10.5243/jsswr.2013.24
- 정여진, 정영숙,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 노년학, 제34권, 제4호, pp.781-797, 2014.
- M. R. DiMatteo, K. B. Haskard, and S. L. Williams, "Health Beliefs, Disease Severity, and Patient Adherence: a Meta-analysis," Medical Care, Vol.45, No.6, pp.521-528, 2007. https://doi.org/10.1097/MLR.0b013e318032937e
- M. Pinquart and S. Sorensen, "Influence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and Compet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Vol.15, No.2, pp.187-224, 2000.
- 김여진, 임연옥,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 권, 제15호, pp.195-209, 2000.
- S. Duval and R. Tweedie,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95, No.449, pp.89-98, 2000.
-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1988.
- 정인숙, 전성숙, 황선경, 김동희, 하주영 역,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J H. Littell, J. Corcoran, and V. Pillai.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수문사, 2011.
- 정순둘, 김유휘, 최혜지,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pp.63-90, 2013.
- I. McDowell,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 G. G. Fillenbaum,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0, No.1, pp.45-51, 1979. https://doi.org/10.2307/2136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