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투고 : 2017.01.10
  • 심사 : 2017.02.03
  • 발행 : 2017.04.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10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감정노동(${\beta}=0.356$, p<.001)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간호전문직관(${\beta}=-0.376$, p<.001), 의사소통능력(${\beta}=0.170$, p=.017) 순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전체 변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해 약 25.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3.34, p<.001). 그러므로 감정노동 감소, 간호전문직관 및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98 nursing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September 19, 2016 to October 10, 2016.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emotional labor had the greatest effect on clinical practice stress(${\beta}=0.356$, p<.001), followed b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25.4%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F=23.34, p<.001). In conclusion, strategies for reducing emotional labor and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형희경, 주연숙, 임신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4호, pp.394-404,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4.394
  2. 김소영, 임선영, 최혜미,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문화기술의 융합, 제1권, 제4호, pp.59-64, 2015. https://doi.org/10.17703/JCCT.2015.1.4.59
  3. 이지원, 어용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7권, 제2호, pp.125-134,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125
  4. 박병준, 박선정, 조하나,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 전문직관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20-22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7.220
  5. 이내영, 김소희, 김영선,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619-629,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3.619
  6. S. Trenholm and A. Jens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 한국간호교육평가원, 간호사 핵심역량 및 간호학 프로그램 학습성과, 2012.
  8. H. O. Altiok and B. Ustun, "The Stress Sources of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Vol.13, No.2, pp.760-766, 2013.
  9. 황선경, 이윤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불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18-527,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518
  10. 김미옥,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609-61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6.609
  11. 양선이, "간호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286-296, 2016.
  12. D. Weis and M. J. Schank,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32, No.2, pp.201-204, 2000.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0.00201.x
  13. 박현정, 오재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2호, pp.417-42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2.417
  14. 임경민, 조은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556-56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4.556
  15. 강민아, 이수경,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452-461,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452
  16. V. Zamanzadeh, L. Valizadeh, L. Sayadi, F. Taleghani, F. Howard and A. Jeddian, "Emotional labour of caring for ho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s: Iranian nurses' experiences," Asian Nursing Research, Vol.7, No.2, pp.91-97, 2013. https://doi.org/10.1016/j.anr.2013.04.004
  17. A. A. Grandey,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95-110, 200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18. K. Jack and C. Wibberley, "The meaning of emotion work to student nurses: A Heideggeria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51, No.6, pp.900-907, 201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10.009
  19. 강소영, "간호학생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1호, pp.77-87,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77
  20. 남문희, 김혜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호, pp.263-273,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63
  21. 남문희,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실습만족도가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527-536,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527
  22. 조인영,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및 의사소통교육요구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2593-2601,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4.2593
  23. 이외선, 구미옥,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 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749-2759,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49
  2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5. R. B. Rubin, P. Palmgreen, and H. E. Sypher, Communication research measures: a sourcebook, NY: Guilford Press, 1994.
  26.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27.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6호, pp.1091-1100, 2005.
  28.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29.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 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 연구, 제21권, 제2호, pp.129-141, 1998.
  30. D. Beck and R. Srivastava,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0, No.3, pp.127-133, 1991.
  31. 김순례, 이종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8-106, 2005.
  32. 조은주, 임경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의사소통능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236-244, 2016.
  33. 박정화, 정수경,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618-628, 2016.
  34. M. Takase, E. Kershaw, and L. Burt, "Does public image of nurses matter?,"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18, No.4, pp.196-205, 2002. https://doi.org/10.1053/jpnu.2002.127014
  35. 홍성실, 홍정아, 전원희, "간호학생의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 권, 제6호, pp.361-36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361
  36. 송지호, 김미원, "간호학 임상실습교육 실태 조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51-26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51
  37. 이미애, 신영진, 박정숙, 권삼숙, 권선주, 김신정, 이향년, "임상실습 교육시 간호사와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9권, 제1호, pp.51-6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