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 교사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개념을 인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Perceiving Creativity Concept by Kindergarten Teachers

  • 투고 : 2017.03.02
  • 심사 : 2017.03.30
  • 발행 : 2017.04.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접대상자는 서울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 4명이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하여 면접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木下(기노시다)의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유아 교사들은 독특한 사고, 풍부한 표현력 등이 창의성교육의 핵심개념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주로 아이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지는 학습, 누리과정 교수 등을 통해서 창의성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보다 앞서 수행된 초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개념을 탐색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유아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관하여 상당히 일치된 핵심개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비교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이 일관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유아들에게 개념 및 교수방법 등이 양호하게 잘 전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qualitative study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concep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The interviewees are 4 current teachers in kindergarten in Seoul. Data was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by Kinoshita, a kin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kindergarten teachers who experts in child education understood key concepts of creativity as unique thinking and rich expression ability. Such concept is mainly acquired at the class in which direct encounter with children is made. Besides, they formed the concept of creativity through reading books and articles, graduate studies and teaching Nuri Curriculum. I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targe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y had shared wide concept, but kindergarten teachers shared only some key concepts on creativity. This result would mean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the early children education is relatively coherent and such concept and teaching method are relatively well delivered to children at the education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배공민, 황희숙,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이야 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중재학회지, 제6권, 제1호, pp.19-33, 2015.
  2. E. P. Torrance, The Torrance of Creative Thinking: Norme and 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linois: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1974.
  3. E. P. Torrance, Why fly? : A Philosophy of Creativity, Cambridge, MA: MIT Press, 1995.
  4. G. Daivis, Creativity is forever(4th ed.), Dubuque, LA: Kendall/Hunt Publishing, 1990.
  5. M. Flyer and J. Collings, "British teacher's view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25, No.1, pp.75-81, 1991.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1.tb01356.x
  6. 조연순, "창의성: 21세기 교유의 키워드,"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창의성 교육의 진단과 발전방향 모색, 5월 22일 서울: 이화여대 교육관 B동 B151호, pp.3-9, 2009.
  7. 최규리, "한국 초등학교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창의성 교육의 진단과 발전방향 모색, 5월 22일 서울: 이화여대 교육관 B동 B151호, pp.33-61, 2009.
  8. 노영희, 김호, "창의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제9호, pp.163-181, 2007.
  9. 박옥자,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 김호, 서선진,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인 저널에 나타난 창의성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열인 유아교육연구, 제14호, 제5권, pp.205-227, 2009.
  11. 민혜영, "유아의 확산적 사고 및 정서적 기질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61-279, 2003.
  12. 조무정, 진석언,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35-59, 2016.
  13. 조기순, 학습복잡계 기반의 집단 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4. 장인희, "한국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반구조화된 심층면접 조사 분석을 통한 창의성 개념 생성," 교육문제연구, 제40호, pp.141-167, 2011.
  15. 장인희, "초등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학교환경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반구조화된 심층면접 조사 분석을 통한 창의적 학교 환경 개념 생성," 영재와 영재교육, 제12호, 제2권, pp.193-222, 2013.
  16. 木下康人, M-GTA: グラウウンデットセオリー アプローチの實践 - 質的研究への誘い - 東京: 弘文堂., 2008.
  17. 최종혁, 질적연구방법론: 근거이론과 수정근거 이론의 실제, 서울: 신정, 2011.
  18. 성은현, 김누리, 김숙희, "고등학생용 창의적 수업환경 척도의 타당화," 창의력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pp.1-15, 2014.
  19. 이경화, 양혜진, "창의적 사고기법 활용 프로젝 트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33-47, 2015.
  20. 이송연, 안도희, "블록 놀이중심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109-127, 2015.
  21. 하순련, 서현아,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 유아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창의력교육 연구, 제16권, 제3호, pp.17-34, 2016.
  22. 조소영, 김빛내, 황희숙, "Bernstein의 생각의 도구를 활용한 동화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61-79, 2016.
  23. 강현숙, 박병기,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8권, 제4호, pp.735-359, 2014.
  24. 신혜경, 정광조, 박춘성,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창의력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41-61, 2016.
  25. 전주원, 유치원 교사의 경력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3.
  26. E. P. Torrance,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6, pp.114-143, 1972.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2.tb00923.x
  27. 안선희, 성은현, "창의성에 대한 부모인식, 가정 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특성간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63-79, 2016.
  28. 김경은, 이화선, 김은아, 최인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도 조사 -만2세, 5세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생활 과학연구소, 생활과학, 제10호, pp.167-187, 2007.
  29. M. A. Runco, Creativity-Theories and Theme: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Academic Press, 2007.